집값 매물 급감, 안정 신호일까? 무서운 상승의 시작일까?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부동산 매물, 단순하게 보면 오산!
요즘 부동산 매물이 줄고 있다고 해서 다 좋은 건 아니야. 오히려 상황이 좀 복잡해. 왜 그런지 쉽게 설명해 줄게.
1. 매물이 줄어드는 이유?
- 급한 사람만 판다: 요즘 집 팔려는 사람들 중에 정말 급한 사람만 매물을 내놓고 있어. 집값 오를 거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굳이 지금 안 팔고 기다리는 거지. 그래서 급하지 않은 매물은 다시 시장에 나올 가능성이 거의 없어.
-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 전국적으로 집 거래가 많이 늘어나고 있어. 거래가 늘어난다는 건 그만큼 급한 매물들이 팔리고 있다는 뜻이고, 그래서 전체 매물량이 줄어드는 거야. 이건 긍정적인 신호일 수도 있어.
2. 매물량만 보고 판단하면 안 되는 이유
- 매물에도 성격이 있다: 정부 정책 때문에 일시적으로 매물이 늘어날 수는 있어. 예를 들어, 예전에 양도세 비과세 정책 때문에 잠깐 매물이 늘었다가 다시 줄었잖아. 이런 건 일시적인 현상이지, 시장이 안 좋아졌다는 뜻은 아니야.
- 좋은 지역일수록 매물이 많다: 강남처럼 인기 있는 지역은 집을 사고파는 사람이 늘 많아서 매물도 항상 많아. 반대로 찾는 사람이 적은 지방은 파는 사람도 적어서 매물이 적지. 그러니까 매물이 많다고 무조건 나쁘거나, 적다고 무조건 좋다고 볼 수는 없어.
- 매물은 원래 늘어나는 게 정상: 우리나라 아파트가 1,300만 채나 되는데, 매년 35만 채씩 늘어나. 새 아파트에 사람들이 살다가 이사 가면서 자연스럽게 매물이 나오게 되어 있어. 그래서 매물이 늘어나는 건 정상인데, 오히려 줄어드는 게 이상한 거지.
- 사람들이 위기를 극복하려 한다: 집값이 떨어지는 위기가 와도 사람들은 어떻게든 그걸 이겨내려고 해. 그래서 집값이 계속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다시 오르거나 보합세를 유지하게 되는 거야.
3. 진짜 중요한 건?
- 전세 거래 비율: 집을 실제로 사용하려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지표야. 전세 거래 비율이 높은 도시일수록 좋은 집이 많다는 뜻이고, 서울이 이런 도시 중 하나야.
- 매물 가진 사람의 상황: 집을 가진 사람이 대출 때문에 급하게 팔아야 하는지, 아니면 여유가 있어서 기다릴 수 있는지 이런 상황이 더 중요해.
결론
지금 서울 매물이 줄어드는 건 급한 매물이 팔렸기 때문이고, 전체적으로는 거래가 늘면서 좋은 신호가 나타나고 있어. 매물량만 보고 시장을 판단하면 오산이야. 앞으로 시장이 어떻게 변할지 좀 더 지켜보는 게 좋을 것 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