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부 세법 개정 핵심 총정리! 다주택자 규제와 강남 5070의 충격 실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오늘 라이브 정리해 줄게! (중학생 눈높이)
오늘 라이브에서 나온 이야기들을 쉽게 정리해 줄게!
1. 종부세, 왜 늘었다고 하는 걸까?
- 결론부터 말하면, 종부세는 올랐어. 작년에 집값이 많이 올라서 공시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야. 공시 가격이 오르면 당연히 재산세랑 종부세도 같이 오르는 거지.
- 근데 정부에서는 "종부세 안 건드린다"고 했잖아? 이게 좀 헷갈릴 수 있는데, 이건 앞으로 세법 개정안에 부동산 세금 강화 내용은 안 담겠다는 뜻이야. 즉, 지금 당장은 종부세를 더 올리거나 하진 않겠다는 거지.
- 하지만! 집값이 계속 오르면 결국 공시 가격이 오르고, 그러면 종부세도 오를 수밖에 없어. 마치 물가가 오르면 과자값도 오르는 것처럼 말이야.
- 그래서 결론은? 당장은 큰 변화가 없겠지만, 장기적으로는 집값 상승 때문에 종부세 부담이 늘어날 수 있다는 거야.
2. 주택 수 말고 가격으로 세금 매기자고?
- 요즘 "똘똘한 한 채"만 가지고 있으면 집값이 너무 오른다는 이야기가 많잖아? 그래서 주택 수를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는 대신, 집값(가액)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어.
- 이게 왜 나왔냐면, 과거에 정부에서 다주택자를 규제하려고 세금을 많이 올렸더니, 사람들이 집을 하나만 가지게 된 거야. 근데 그 하나 가진 집이 비싼 집이면 또 집값이 오르는 문제가 생긴 거지.
- 연구 결과도 나왔어. 서울에 12억짜리 집 한 채 가진 사람이랑, 수도권에 6억짜리 집 두 채 가진 사람이 집을 팔 때, 집값은 서울 사람이 더 많이 올랐는데 세금은 서울 사람이 더 적게 냈다는 거야.
- 그래서 주장하는 게 뭐냐면, 주택 수로 세금 매기는 건 한국밖에 없고, 집값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거나, 아니면 세금을 좀 낮추더라도 양도세를 걷는 게 더 낫다는 거지.
- 하지만 조심해야 할 점! 이런 제도가 바뀌면 예상치 못한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예를 들어, 집을 오래 가지고 있으면 세금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는데, 이런 제도가 바뀌면 혜택을 못 받을 수도 있거든. 그래서 항상 세금 관련 뉴스를 잘 봐야 해.
3. 강남 집 팔고 떠나는 5070?
- 기사에서는 강남에 오래 산 50대 이상 사람들이 집을 팔고 떠난다고 하는데, 이게 다는 아니라는 거야.
- 왜 팔까?
- 집값 많이 올랐으니까: 그동안 집값이 많이 올라서 차익을 실현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많아.
- 보유세 부담: 집을 가지고 있으면 내야 하는 세금(재산세, 종부세)이 부담스러울 수 있어. 특히 은퇴하면 소득이 줄어드니까 더 그렇지.
- 노후 자금 마련 및 증여: 번 돈으로 노후 생활을 편하게 하거나, 자녀에게 물려주려고 집을 파는 경우도 있어.
- 근데 여기서 중요한 건, 강남 집을 팔고 정말로 "떠나는" 사람보다는, 다른 좋은 집으로 "갈아타기"를 하거나, 자녀에게 증여하는 경우가 더 많다는 거야.
-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어. 증여, 부담부 증여, 저가 양수도 같은 방법이 있는데, 각각 세금이나 절차가 다르니까 잘 알아보고 해야 해.
- 결론적으로, 강남 집을 팔고 떠나는 5070 이야기는 일부 사실이지만, 모든 사람이 그런 건 아니고, 상황에 따라 다른 선택을 한다는 걸 알아야 해.
오늘 라이브에서 나온 이야기들이 좀 복잡할 수 있는데, 부동산 세금은 정말 알아야 할 게 많고 계속 바뀌니까, 앞으로도 이런 정보들을 잘 챙겨보는 게 중요해! 궁금한 거 있으면 언제든지 다시 물어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