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의사 박경철의 뼈 때리는 엘리어트 파동이론 완벽 해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주식 투자, 파동과 각도로 시장을 읽는 법
주식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건 트랩(속임수)과 필링(실패)을 이해하는 거야. 이걸 알면 시장의 거의 모든 움직임을 추세로 설명할 수 있어.
파동 이론의 역사
- 일본의 사카타 오법 (250년 전): 쌀 선물 시장을 평정했던 혼마 무네히사가 만든 이론이야.
- 찰스 다우의 다우 이론: 월스트리트 저널을 창간하고 주식 시장의 기본 원리를 제시했지.
- 엘리어트 파동 이론: 주가가 파동처럼 움직인다는 이론으로, 많은 기술적 분석가들이 이를 바탕으로 자신만의 이론을 만들었어.
- 기타 파동 이론: 일본의 기자모리 파동 이론, 점성술사였던 메리먼 파동 이론 등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해.
이 이론들은 모두 같은 차트를 보고 다른 이야기를 하는 걸까? 아니면 같은 현상을 다른 용어로 표현한 걸까? 이들의 핵심은 뭘까?
파동과 각도의 중요성
- 파동: 주가는 파동처럼 움직이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해. 엘리어트 파동은 이를 1-2-3-4-5 상승 파동과 A-B-C 하락 파동으로 설명해.
- 상승 파동: 1, 3, 5번 파동은 상승 추세를 따르고, 2, 4번 파동은 조정을 나타내.
- 하락 파동: A, C 파동은 하락 추세를 따르고, B 파동은 반등을 나타내.
- 각도: 파동의 높낮이뿐만 아니라, 파동이 얼마나 시간을 필요로 할지, 얼마나 각도를 가지고 움직일지도 중요해. 각도가 급하면 파동이 연장될 가능성이 높고, 각도가 완만하면 조정이 길어질 수 있어.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탄생
엘리어트는 철도 보선원으로 일하다가 50세가 넘어서 주식 투자를 공부하기 시작했어. 100년간의 미국 주식 시장 데이터를 분석하여 파동의 규칙성을 발견했고, 이를 바탕으로 "파동의 원리"라는 책을 출간했지.
하지만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완벽하지 않아. 파동의 높낮이는 예측할 수 있지만, 파동이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는 예측하기 어려웠지. 엘리어트가 사망하기 전에 피보나치 수열을 접하면서 파동 이론을 완성했지만, 시간 예측은 숙제로 남았어.
파동 이론의 핵심 원칙
- 파동 연장의 법칙: 상승 파동 중 하나(1, 3, 5번)는 연장될 수 있지만, 조정 파동은 연장되지 않아.
- 파동 교대의 법칙: 2번 조정 파동이 단순하면 4번 조정 파동은 복잡하게 나타나고, 반대로 2번 조정 파동이 복잡하면 4번 조정 파동은 단순하게 나타나.
- 불변의 법칙:
- 상승 파동 이후의 조정 파동은 절대 출발점을 하회하면 안 돼.
- 4번 조정 파동은 1번 파동의 고점을 돌파하면 안 돼.
파동 이론의 한계와 보완
- 개별 종목 적용의 어려움: 엘리어트 파동 이론은 주로 주가 지수에 적용되며, 개별 종목에는 적용하기 어려울 수 있어.
- 시간 예측의 한계: 파동의 높낮이는 예측 가능하지만, 파동이 진행되는 시간은 예측하기 어려워.
- 패턴과 각도의 중요성: 파동 이론만으로는 부족하며, 패턴과 각도를 함께 이해해야 시장을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어.
투자자를 위한 조언
- 추세와 패턴을 따르라: 주식 투자의 기본은 추세를 따르고, 기본적인 패턴을 이해하는 거야.
- 거래량과 지표를 활용하라: 거래량과 다양한 지표들을 함께 분석하여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해.
- 심리를 다스려라: 탐욕과 공포에 휘둘리지 않고, 객관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투자해야 해.
- 기다릴 줄 알아라: 바닥이라고 생각될 때 바로 매수하기보다는, 추세 전환을 확인하고 신중하게 접근해야 해.
주식 투자는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꾸준히 공부하면 누구나 성공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