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모두가 엘앤에프를 말할 때 에코프로를 외친 이유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K배터리, 중국 배터리 좆밥? 전문가들 의견 총정리!

진실은 결국 드러난다!

기름이 물에 뜨듯이, 진실은 잠시 숨겨질 수 있지만 결국에는 떠오르게 마련이야. 이건 과학적인 사실이라기보다는 우리가 오랫동안 쌓아온 믿음 같은 거지.

"중국 배터리는 좆밥이다"라는 말, 진짜일까?

어떤 사람은 "중국 배터리는 좆밥이다"라고 계속 주장하는데, 이게 사실인지 아닌지, 그리고 왜 이런 말이 나왔는지 한번 파헤쳐 보자.

2023년 5월, K배터리 찬양 열풍!

2023년 5월쯤에는 "에코프로 초격차 기술", "배터리 박사들의 팩트 체크" 같은 기사들이 많이 나왔어. K배터리가 최고고, 세계에서 가장 좋은 주식이라는 말까지 나왔지. 덕분에 몇몇 2차전지 회사 주가가 엄청나게 올랐었어.

하지만 전문가들은 다른 말을 한다?

그런데 2차전지 전문가들은 유튜브나 인터넷에서 떠도는 이야기 중에 틀린 게 많다고 지적했어. 특히 선양국 한양대 교수와 박철환 서정대 교수는 이런 주장에 대해 다른 의견을 내놓았지.

박철환 교수에 대한 비판

박철환 교수는 어떤 사람들은 전문가로 인정하지 않는다고 해. 그리고 에코프로가 경사보다 잘할 때도 있었지만, "초격차"라고 할 정도는 아니라고 봤어. SK도 에코프로뿐 아니라 LNF에서도 양극제를 받는데, 양극제 기술도 평균화되고 있다고 말했지. 국내 회사들끼리는 차이가 크지 않지만, 중국과 비교하면 차이가 엄청나다고 덧붙였어.

선양국 교수의 지적

선양국 교수는 유명한 유튜브 방송에서 사실과 다른 내용이 많다고 지적했어. 특히 에코프로비엠의 "농도 구배형 기술"은 전기차 주행 거리를 늘리고 화재 위험을 줄이는 어려운 기술이지만, LG화학도 비슷한 특허를 확보하고 있어서 어느 회사가 압도적으로 뛰어나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했어. 다만 에코프로비엠이 좀 앞서 있고, 다른 회사들도 비슷하다고 평가했지.

박철환 교수의 과거 발언과 현재 평가

박철환 교수는 1년 전에는 에코프로를 주식으로 좋다고 말했지만, 지금은 주가가 과대평가된 것 같다고 했어. 하지만 이 사람은 주식 전문가가 아닌데 왜 주식 가치를 평가하는지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지.

2차전지 시장,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 어려운 이유

2차전지는 기술적인 이야기가 많아서 일반 사람들이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기 어렵다는 점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고 해.

박철환 교수의 과거 논란

박철환 교수는 윤석열 대통령 인수위 시절 전문위원이었는데, 연구비 횡령 의혹으로 해촉될 예정이라는 기사가 있었지만 사실이 아니라고 바로잡았다고 해. 또 3% TV에 나와서 중국 LFP 배터리를 비판했는데, 이에 대해 반박하는 사람들도 있었어.

중국 LFP 배터리에 대한 시각

최근에는 중국 LFP 배터리가 좋다는 분위기가 많이 몰렸는데, 이것이 중국의 프로파겐다라는 시각도 있어. 한국은 LFP를 잘 안 하고 중국은 하니까, 중국 LFP가 좋다는 식으로 몰고 가는 거지.

박철환 교수가 배터리 전문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

박철환 교수가 배터리 전문가가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 중 하나는, 최근에 한국 로봇 산업 협회 상임 부회장으로 임명된 점이야. 배터리 전문가라면 왜 갑자기 로봇 산업협회 부회장이 되는지 의문이라는 거지. 마치 젓가락 전문가 하다가 여러 협회 회장을 맡는 김필수 교수 같은 느낌이라고 비유하기도 했어.

진짜 위대한 기업을 찾는 15가지 조건

책에서는 위대한 기업을 찾는 15가지 조건을 제시하는데, 그중에서도 영업이익률 개선을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해.

에코프로비엠의 실적 분석

에코프로비엠의 실적을 보면, 4분기에 매출이 반토막 났다가 1분기, 2분기에 크게 회복했어. 영업이익률도 다른 회사에 비해 높게 나왔는데, 여기에는 인도 투자 관련 이익 405억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해.

영업이익률, 왜 중요할까?

영업이익률은 같은 업종 내에서도 회사마다 크게 차이가 나. 영업이익률이 높은 회사가 좋은 회사라고 볼 수 있지. 그리고 영업이익률은 한 해만 보는 게 아니라 몇 년 동안의 추이를 봐야 해.

경기가 좋을 때와 나쁠 때의 영업이익률

경기가 좋을 때는 거의 모든 기업의 영업이익률이 높아지지만, 이때 오히려 영업이익률이 낮은 한계 기업들의 상승률이 더 클 수 있어. 하지만 경기가 나빠지면 이런 이익은 빠르게 하락하지. 그래서 불경기가 왔을 때 영업이익률을 얼마나 잘 방어하느냐가 중요해.

에코프로비엠 vs LNF vs 포스코퓨처엠 비교

2022년에는 에코프로비엠, LNF, 포스코퓨처엠 순으로 영업이익률이 좋았지만, 2024년에는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LNF 순으로 바뀌었어. LNF는 불안기에 영업이익률 방어가 잘 안 되는 모습을 보였지.

장기 투자 관점에서의 LNF

앞으로 6개월~1년 동안은 LNF가 에코프로비엠보다 수익률이 좋을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LNF는 탈락시켜야 할 종목이라고 보는 시각도 있어.

에코프로비엠의 강점: 수직 통합

에코프로비엠의 영업이익률이 높은 이유는 규모의 경제와 수직 통합 때문이야. 원재료부터 배터리까지 얼마나 수익 통합이 잘 되느냐가 원가 우위를 결정하는데, 에코프로 그룹은 이런 부분에 대한 투자가 잘 되어 있지.

"본전 되면 팔아야지"라는 생각은 금물!

좋은 주식은 길게 가져가야 해. 본전이 왔다고 해서 팔면 오히려 더 큰 기회를 놓칠 수 있어. "믿는 자에게 복이 있나니"라는 말처럼, 눈에 보이는 것만 믿지 말고 기업의 미래를 믿고 투자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거지.

결론적으로, K배터리는 중국 배터리보다 뛰어나다고 볼 수 있지만, 개별 기업에 대한 평가는 신중해야 해.

  • K배터리 기술력: 전반적으로 뛰어나지만, 특정 기술에 대한 "초격차"는 논란의 여지가 있어.
  • 기업별 경쟁력: 에코프로비엠은 수직 통합 등 강점을 가지고 있지만, LNF 등 다른 기업들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 투자 관점: 단기적인 시세보다는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고 투자해야 해.

이 모든 내용은 박순혁 작가님의 책과 강연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니, 더 자세한 내용은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을 추천해!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