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 충동에 맞서는 법, 정현채 교수가 전하는 절대 포기하지 말아야 할 이유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자살, 왜 하면 안 될까?
안녕하세요!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정현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살에 대해 이야기해 볼 거예요. 왜 자살하면 안 되는지, 그리고 자살 충동을 어떻게 이겨낼 수 있는지 함께 알아봅시다.
우리나라 자살 현황, 심각해요!
- 경제 문제만이 전부가 아니에요: 자살 사망 원인 중 경제적 문제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 1/4 정도예요. 나머지 3/4는 다른 이유 때문이라는 거죠. 돈이 많아도 우울증으로 자살하는 경우가 많아요.
- 모든 직종에서 발생해요: 의사, 검사, 변호사, 심지어 스님까지,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와 상관없이 자살은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어요. 특히 산부인과 의사의 자살률은 일반인보다 훨씬 높다고 해요.
- OECD 국가 중 자살률 1위: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OECD 국가 중에서도 가장 높아요. 특히 30대부터 80대까지 모든 연령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어요.
- 젊은 층 사망 원인 1위: 10대, 20대, 30대의 사망 원인 1위가 자살이고, 40대, 50대에서도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해요. 하지만 학교에서는 자살하면 안 되는 이유에 대해 제대로 알려주지 않는 현실이에요.
자살 유가족의 고통, 편견과 차별
- 주변 사람들의 냉대: 자살한 사람의 가족들은 친척들에게 냉대받거나, 죽은 사람이 쓰던 물건을 귀신이 붙었다며 피하는 경우도 있어요. "자살한 가족이 있는 사람과는 어울리지 말라"는 말에 마음이 무너져 내리기도 하죠.
- 끝없는 슬픔과 고통: 자살은 자신뿐만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들의 마음까지 함께 죽이는 행위예요. 아들을 자살로 잃은 아버지가 쓴 책처럼, 유가족들은 끝없는 슬픔과 고통 속에 살아가요.
- 정신적 고통과 자살 충동: 자살자 유가족은 엄청난 충격, 무능감, 버려진 느낌, 분노, 죄책감, 수치심 등 다양한 감정을 겪어요. 이로 인해 일반인보다 자살 충동이 80배에서 300배까지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 실제로 자살한 딸을 그리워하던 어머니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안타까운 사례도 있었죠.
미디어 보도의 문제점과 개선
- 모방 자살 위험: 자살 방법을 자세히 보도하면 모방 자살 위험이 높아져요. 자살 방법이나 장소, 동기 등을 자세히 보도하는 것은 피해야 해요.
- 긍정적인 보도와 예방 정보: 언론은 자살을 미화하거나 합리화하지 말고, 부정적인 결과와 자살 예방 정보를 제공해야 해요.
- 자살 보도 권고 기준: 자살 보도 권고 기준에 따라 기사 제목에 '자살' 대신 '사망', '숨지다'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고, 구체적인 자살 방법이나 동기를 보도하지 않는 것이 중요해요.
자살 충동을 이겨내는 방법
- "그때만 넘기면 살 수 있다": 자살 시도 경험자들은 "그 순간만 넘기면 살 수 있다"고 말해요. 힘든 순간이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해요.
- 긍정적인 면을 보는 습관: 사물의 긍정적인 면을 보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해요. 이는 훈련을 통해 길러질 수 있어요.
- 살아야 할 이유와 목표: 빅터 프랭클 박사는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은 살아야 할 절실한 이유와 구체적인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었다고 말했어요. 삶의 의미를 찾는 것이 중요해요.
- "나는 살고 싶다"는 의지: 죽고 싶다는 충동보다 살고 싶다는 의지가 더 강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 중요해요.
자살 시도 후의 후회와 깨달음
- 순간의 후회: 많은 자살 시도자들이 뛰어내리는 순간 "내가 무슨 짓을 한 거지?"라고 후회한다고 해요. 살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해지죠.
- 인생관의 변화: 자살 시도 후 생존한 사람들은 인생관이 완전히 달라졌다고 말해요. 작은 벌레 하나도 죽일 수 없게 되는 생명에 대한 경외감을 느끼기도 하죠.
- 구조된 후의 감사와 다짐: 목숨을 건진 사람들은 감사함을 느끼고, 다시는 그런 어리석은 행동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해요.
자살은 결코 해결책이 될 수 없어요. 힘든 순간이 오더라도 주변 사람들에게 도움을 요청하고, 긍정적인 마음으로 삶의 의미를 찾아나가길 바라요. 다음 시간에는 자살 충동을 극복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더 자세히 이야기해 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