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젯밤 미국은?] 미국 충격 선언 "이제 반도체 통행세 걷겠습니다"...엔비디아, AMD운명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뉴욕 증시 요약 (중학생 눈높이)
1. 뉴욕 증시, 축제 분위기! 특히 기술주 대박!
- 나스닥 최고 기록 경신: 기술주들이 신나게 올라서 나스닥이 역사상 가장 높은 곳까지 올라갔어. 마치 축제 같았지!
- 애플이 주인공: 이 축제의 주인공은 단연 애플이었어. 주가가 엄청나게 올라서 13%나 뛰었거든. 2020년 이후 최고의 한 주를 보냈다고 해.
- 트럼프의 경고는? 그런데 이런 신나는 분위기 뒤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무서운 '관세 폭탄' 경고가 있었어. "내 관세 정책 막으면 대공황 온다!"라고 협박했지.
2. 시장은 왜 태평할까? '치킨 게임' 중!
- 애플의 자신감: 시장은 애플이 관세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 모습을 보고 "관세, 생각보다 별거 아니네?" 하고 안심하는 분위기야.
- 트럼프 vs 시장, 눈치 싸움:
- 1단계: 시장은 "트럼프가 세게 말하지만 설마 진짜로 끝까지 하겠어? 결국 물러설 거야." 하고 버티는 중이야.
- 2단계: 트럼프는 시장이 조용하니까 "봐, 내 정책 지지하잖아. 문제 없어!" 하고 착각할 수 있어.
- 3단계: 트럼프가 시장의 착각을 믿고 진짜로 관세 정책을 밀어붙이면... 시장은 큰 타격을 입겠지.
- 결론: 지금 시장은 트럼프가 물러설 거라고 믿고 버티는 중인데, 트럼프는 그걸 동의로 오해할 수 있는 아슬아슬한 '치킨 게임'을 하고 있는 거야.
3. 이번 주 주목할 경제 지표!
- 소비자 물가 지수 (CPI) & 생산자 물가 지수 (PPI): 이 지표들이 9월 금리 인하 여부와 폭을 결정하는 데 중요해. 발표 전후로 시장이 흔들릴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해.
4. 테슬라, 도조 프로젝트 중단? 하지만 더 큰 그림이 있다!
- 핵심 인물 퇴사 & 프로젝트 중단 보도: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 핵심 인물이 회사를 떠나고, 일론 머스크가 '도조' 설계 중단을 지시했다는 보도가 나왔어.
- 머스크의 해명: 하지만 머스크는 "도조 프로젝트는 중단하지만, AI 칩 개발 자체를 포기하는 건 아니다. 오히려 AI5, AI6 같은 차세대 칩에 집중하겠다."라고 밝혔어.
- 전략적 선택과 집중: 여러 갈래로 흩어진 자원을 차세대 AI 칩 개발에 집중하겠다는 전략이야. 마치 여러 게임을 조금씩 하는 것보다 하나의 게임에 집중해서 레벨업하는 것처럼 말이지.
- XAI와의 시너지 기대: 테슬라의 모회사인 XAI와 협력해서 시너지를 낼 거라는 전망도 있어.
- 도조는 '막다른 길'이었다: 결국 도조는 더 이상 미래가 없는 실패한 경로였고, 차세대 칩인 AI6가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면서 과감하게 프로젝트를 정리했다는 거야. 도조의 기술과 정신은 AI6로 옮겨간다고 보면 돼.
5. 인텔 CEO, 트럼프의 경고에 흔들리나?
- 트럼프의 직격탄: 트럼프 대통령이 인텔 CEO가 중국과 너무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며 즉시 사임하라고 공격했어.
- 중국과의 연결고리: 인텔 CEO가 과거 중국 기술 기업에 투자하고 이사회 멤버로 활동한 이력이 있어서, 미중 기술 패권 전쟁에서 트럼프 눈에는 거슬리는 거지.
- 주가 폭락 & 정부 보조금: 이 소식에 인텔 주가가 폭락했고, 정부 보조금을 받는 핵심 기업으로서 국가 정책 기조에 반하는 행보를 보였다는 점에서 큰 관심이 쏠리고 있어.
- 기업들의 '미국 우선주의' 검증: 앞으로 기업들은 개인의 배경이나 투자 이력보다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는지를 대통령과 행정부로부터 직접 검증받아야 할 수도 있어.
6. 금리 인하 주장하는 연준 이사, 미쉘 보우먼
- 고용 지표 보고 더 확신: 최근 고용 지표가 예상보다 좋지 않게 나오자, 보우먼 이사는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자신의 주장이 더 확고해졌다고 밝혔어.
- 금리 세 번 인하 주장: 올해 금리를 세 번은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남은 연준 회의가 세 번뿐이니 모든 회의에서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파격적인 주장이야.
- 물가 vs 고용 딜레마: 연준은 물가를 잡으면서 고용 시장을 유지해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어. 금리를 내리면 고용에는 좋지만 물가가 오를 수 있고, 금리를 올리면 물가는 잡지만 고용이 악화될 수 있지.
- 트럼프의 압박: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의장을 공격하며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어.
7. 중국, 엔비디아 칩에 '보안 문제' 제기!
- 중국 언론의 비판: 중국 언론은 엔비디아 H20 칩에 보안 문제, 성능 문제, 친환경 문제 등을 제기하며 중국 소비자들에게 엔비디아 칩 구매를 자제하라고 촉구했어.
- 중국 반도체 생태계 키우기: 이는 국가 안보 우려도 있지만, 미국의 기술 통제에 맞서 자국 반도체 생태계를 키우려는 중국의 절박함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야. 화웨이 같은 중국 기업들이 성장할 공간을 만들어주려는 전략이지.
- 엔비디아의 '통행세': 결국 엔비디아는 중국에 칩을 팔기 위해 미국 정부에 매출의 15%를 '통행세'로 내기로 합의했어. 중국의 AI 발전 속도를 늦추고, 미국 반도체 산업을 지원하는 재원으로 활용하겠다는 거야.
8. 이더리움, 비트마인 주가 폭등!
- 이더리움 가격 4,000달러 돌파: 이더리움 가격이 4,000달러를 돌파하면서, 이더리움을 대량 보유한 비트마인이라는 회사의 주가가 24%나 폭등했어.
- 최대 이더리움 보유 기업: 비트마인은 세계 최대 이더리움 보유 기업이 되었다고 발표했고, 앞으로도 보유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해.
9. 트럼프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와 한국
- 알래스카의 중요성: 트럼프는 알래스카를 미국의 미래를 책임질 보물섬으로 만들고 싶어 해. 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고, 자원 시장을 장악하려는 큰 그림을 그리고 있지.
- 한국과의 연결고리: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는 한국의 철강, 선박 회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야. 한국이 과거 미국산 에너지 구매 약속을 이 프로젝트 참여로 이행하라는 제안을 받을 수도 있어.
10. 금값 상승, 관세와 금리 인하 기대감
- 미국 세관의 금 분류: 미국 세관이 금괴를 관세 부과 품목으로 분류하면서 금값이 올랐어.
- 금리 인하 기대감 & 인플레이션 공포: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도 금값을 올리는 요인이야. 전문가들은 금값이 더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11. 401 프로젝트: 퇴직 연금 계좌에 비트코인 담기?
- 신중해야 할 이유: 비트코인은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퇴직 연금 계좌에 담을 때는 신중해야 해.
- 로스 IRA 활용: 일반 401 계좌보다 세금 혜택이 좋은 로스 IRA 계좌를 활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어.
오늘의 마무리:
오늘은 정말 다양한 소식들을 다뤄봤어. 뉴욕 증시부터 테슬라, 인텔, 암호화폐, 금까지! 앞으로도 여러분에게 유익한 정보들을 계속 전달해 줄게.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 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