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멧세라 233i 임상 해설! 비만 치료 핵심 데이터 정리

원본 제목

멧세라 MET-233i 임상 결과 정리

그로쓰리서치

조회수 조회수 140 좋아요 좋아요 17 게시일 게시일

설명

✔그로쓰리서치 텔레그램 입장 https://t.me/growthresearch 텔레그램에 입장하시면 - 국내주식 리포트 - 해외주식 리포트 모두 무료로 받아보실수 있습니다. 기업탐방 전문 독립리서치 그로쓰리서치가 여러분들의 투자를 응원합니다. #멧세라 #비만치료제 #비만치료제관련주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네.

현재 시간 6월 9일 메세라가 비만 및 과체종 치료제로 개발 중인 몇 233i의 임상 일상 결과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했습니다.

몇 233i는 피아주사형 초장기 지속형 아밀린 유사체로 비만 치료 목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오늘 임상 데이터에 대해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내 주식 실시간 정보.

야간 미국 주식 브리핑 전부 무료.

영상 아래 링크 클릭하고 그로스 리서치 텔레그램으로 들어오세요.

네.

안녕하세요.

그로스 리서치입니다.

자, 오늘 시간에는 이제 어 중요한 발표가 하나가 있었는데요.

이제 메세라에서 어 233i에 대한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를 했습니다.

근데 233i는 메스라의 주요 파이프라인 중 하나인데요.

지금 그 GLP1 수용체는 아니고 아밀린 유사체로 개발이 되고 있습니다.

서 이제 임상 시험은 이제 어 무작기 배정 위약 대조 이중행건 방식으로 수행이 되었고 이제 단일 투여 방식하고 다중 투여 방식에 대한 내용들이 좀 구성이 되었습니다.

그래서 1차 평가 지표 그니까 우리가 흔히 말하는 프라이머리 엔드 포인트라고 하죠.

그래서 233i의 안정성과 내약성을 좀 평가를 했고요.

그래서 이제 평가 항목에서는 뭐 혈액 검사 뭐 여러 가지가 있었습니다.

서 약물 발 약물 관련성 등이 있었고 그다음에 2차 주요 평가 지표에서는 세컨더리 키포인트 같은 경우에는 약물의 약물 동태약 어 그래서 약물이 몸속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이 약물 동태약에 대해서 좀 살펴봤고 뭐 이제 약물 동태약이 좀 주요 요소가 뭐냐 이제 흡수나 분포나 대사나 배설 뭐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체중 변화에 대한 효과가 있었고이 임상 시험에서 신약의 초기 안정성하고 반응을 평가하기 위해 참여한 사람들.

그래서 이제 세드라 그러죠.

우리가 단일 용량 단일 투여 방식이 있었고 그다음에 매드라고 하는 다회 투여 방식이 있었습니다.

네.

단일 투여 먼저 좀 보자면 이제 한 40명 정도의 피엄자가 있었습니다.

40명 정도 피자가 있었고 다섯 개 용량궁 그니까 하나 둘 셋 넷 다섯 개 그래서 0.

15mg 0.

3 0.

6 1.

2 2.

4 이렇게 다섯 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위약군은 플라시보는 10명 정도 있었고요.

그다음에 관찰 결과 어 모든 용량군에서 용량 의존적인 체중 감소 효과가 있었다라는 겁니다.

0.

1호보다 0.

3이 더 많고 0.

6이 더 많이 체종이 감소됐고 1.

2가 더 많이 됐고 2.

4가 더 많이 됐다는 겁니다.

그래서 2.

4mg 용량군에서는 8일차 기준에서는 평균 체중 감소율이 5.

3%였다.

그래서 위약군은 동일 기간 동안 체중이 0.

9% % 증가를 했다라는 겁니다.

요약하자면 이제 233i 같은 경우에는 낮은 용량에서도 이제 최종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용량이 증가할수록 효과가 더욱 커졌다라는 겁니다.

그래서 장기 지속형 아밀린 유사체 가능성을 보여주는 초기 임상 지표로 좀 볼 수가 있겠습니다.

그다음에 내역성을 좀 보자면 내역생도 단일 투여 방식 이제 세드라 그러죠.

세드 방식에서도 전반적으로 양호한 내약성을 보였다라는 겁니다.

그래서 가장 흔한 유발은 그 용량 의존적인 위장 관련 반응이 대부분이었었고 그다음에 대부분 이제 마일드할 마일드한 부분이 많았습니다.

왜냐 뭐 경증이죠 이게.

그래서 위표를 보시면 위장 관련 이상 반응에서는 이제 매스검 그다음에 구토가 가장 흔하게 발생을 했고 어느 정도 심했냐라고 봤을 때는 그냥 말했다.

ല소했다라는게 다수였습니다.

근데 용량이 늘어날수록 사람들이 조금 더 늘어났죠.

이거는.

그래서 참가자수를 좀 보자면 이렇게 나타났다라는 거고 어 그 중도별로 참가자수가 제시되어 있기는 한데 이거 참고해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근데 여기서 특이상이 뭐냐 용량이 증가할수록 이상바늘 발생률이 높아졌다라는 거고 0.

15mg에서는 이제 0명 그다음에 뭐 2.

4mg에서는 여섯명 이렇게 좀 발생이 됐다라는 거고 특히 이제 매스검하고 구토가 가장 흔한 이상 반응이었다라는 겁니다.

그래서 단일 투여 후에 이제 233i 같은 경우는 약물 동태학 분석 결과 이제 용량에 비례하는 약 동학적 특성이 확인이 되었고 관찰된 반감기는 약 19일 정도로 나왔다는 겁니다.

이렇게 19일 정도.

그러니까 C맥스의 50%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어느 어떻게 보면 19일까지 늘어났다라는 겁니다.

그래서 어이 그림 같은 경우에는 임상 시험의 단일 용량 단계에서 233i 약물 동태학 프로파일을 좀 보여 주는 겁니다.

그래서 X축 같은 경우에는 이제 그 가로죠.

이거는 시간입니다.

그래서 0일부터 28일까지 있는 거고.

어, y축 같은 경우에는 세로 그니까 평균 혈장 농도입니다.

로그 스케일이 이제 1천까지 있는 거고.

그래서 농도는 용량에 따라 좀 증가를 했습니다.

그래서 고용량일수록 초기 혈장 농도가 더 높고 그다음에 오랜 시간 동안 농도가 유지가 됩니다.

그래서 모든 용량에서는 부드러운 감소 곡선을 좀 그렸고 약물이 체내에서 일정한 속도로 대사하고 배출이 됐다라는 거죠.

그래서 233i 같은 경우에 약물 농도랑 용량이 좀 비례하고 약 19일간에 반감기를 갖는 초장기 아밀린 유사태체다라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가 봤을 때 야 이거 월 1회 투여 가능한 거야 이론적으로 지금 보여주고 있다라는 거죠.

그래서 어제 주가가 얼마나 올랐냐가 올랐다라는 거죠.

그래서 장기적으로는 몇 233i 같은 경우에는 몇 097i랑 병용 가능성이 있고 왜냐면 097i 같은 경우에는 GLP1이잖아요.

그럼 아밀린하고 GLP1하고 같이 쓰게 되면 어떻게 될까? 더 효과가 높아지지 않을까? 이런 생각이 들 수 있다라는 거죠.

그래서 단독 유지보다는 뭐 병형 투여 방식을 쓸 수 있는 가능성이 또 높다라는 거죠.

다회 투여 방식을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회 투여에서는 여기서도 40명 정도 참가를 했고네 개의 용량군이 있었습니다.

아까는 다섯 개였죠.

여기는 0.

25, 0.

3 0.

6 1.

2 이렇게 했었습니다.

그래서 1회씩 5주간 투여를 받았고요.

어 플라시보는 이제 여덟 명이었습니다.

그래서 메세라에서는 그니까 용량 의존적인 체중 감사가 여기서도 좀 나타났다라는 건데 여기는 두 개가 비슷하지만 갑자기 여기서 늘어날 때는 5.

7이 있었고 8.

4가 있었습니다.

1.

2mg 용량군에서는 36일째 위약군 대비해서 평균 체중감소 효과가 이제 8.

4%로 %로 나타났다라는 겁니다.

그래서 각 용량군에서는 이제 233는 내약성을 좀 양호하게 좀 나왔었는데 여기서도 좀 양호하게 나왔습니다.

가장 흔한 이상 반응은 당연히 소화기계에 관련 증상이었고 용량 의존적이었습니다.

여기도 용량 늘어날 때마다 더 많이 늘어났다라는 거고 뭐 0.

1 때 한 명 두 명 여섯 명 여덟 명 용량 늘어날 때마다 이렇게 늘어난 거죠.

그래서 모두 어느 정도였냐? 여기도 매스움인데 마일드한게 다였죠.

여기도 어 구토 마일드한게 다였죠.

그래서 큰 이상 반응은 없었다라는 거고 이게 그러면 용량이 늘어날 때마다 사람은 늘어나는데 뭐이 정도 효과면은 괜찮지 않을까 이런 생각을 해 볼 수 있다라는 거죠.

그래서 이제 233i 같은 경우에는 다외투여 약물동태학 분석 결과 097i PK 프로파일과 좀 일치를 했고 이게 몇 사람은 결국에는 어 2를 바탕으로 233i랑 그다음에 097i랑 월 1회 투여가 가능한 다중 자극 호르몬 복합 요법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라는 거죠.

그래서 회사에서 얘기하는 이제 8K 공시거든요.

이게 저희가 8K 공시 따와 가지고 좀 설명을 드리고 있는데 이제 주요 마일스톤을 보자면 긍정적인 데이터 바탕으로 233i를 단독료법하고 몇 097i 병용료요법으로 후보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라고 얘기를 했고요.

그래서 단독요법 시험은 233i를 이제 12주간 주 1회 용량으로 투여한 후에 13주차에 노출량을 맞추고 나서 월 1일에 투여 방식으로 전환하는 설계를 진행하고 있고요.

이게 해당 시험 톱라인 데이터가 이제 언제 나오냐? 이제 25년 말에 나옵니다.

25년 말에 나오고 그다음에 233i랑 097i랑 병투여 시험이 이제 12주로 연장이 되었고 해당 요법의 톱라인 데이터가 25년 말이나 26년 초 이렇게 나올 예정이다라는 겁니다.

그다음에 메세라에서 또 8K 공시에서 얘기했던게 초장기 지속형 GP 수용체 장용제 034i가 있습니다.

어 근데 이거도 097 아이랑 병행료법에 대한 톱라인 인상 데이터도 25년 말에 예정이다라고 발표를 했습니다.

그래서 오늘 메세라 233i는 사실 어떻게 보면은 월 1회 투여 방식의 초장기 아밀린 유사체에 대한 긍정적인 데이터를 발표를 했는데 어 사실 이게 메세라가 DND 파마텍 연결되는 건 아닙니다.

근데 어 다른 부분에서 긍정적인 데이터가 또 나오게 되면은 저희가 이거 분석해 가지고 텔레그램에 올려 드릴테니까 아래 링크 보시면은 그 텔레그램 주소가 있습니다.

그래서 클릭하시면은 저희가 실시간으로 좀 보내 드리고 있으니까 한 번쯤 참고하시고 저희 텔레그램 한번 들어오셔 가지고 어 투자에 도움 많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면은 오늘도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음악]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메세라가 233i 임상 결과를 발표했어요.

2. 233i는 초장기 지속형 아밀린 유사체입니다.

3. 임상은 무작위, 위약 대조, 이중맹검 방식으로 진행됐어요.

4. 1차 평가는 안전성과 내약성을 봤어요.

5. 혈액 검사와 약물 관련성도 평가했어요.

6. 2차 평가는 약물 동태약을 살펴봤어요.

7. 체중 변화와 약물 반응도 관찰했어요.

8. 단일 투여와 다중 투여 방식으로 시험했어요.

9. 단일 투여는 40명, 5개 용량군으로 진행됐어요.

10. 용량별 체중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어요.

11. 2.4mg군은 8일차에 5.3% 체중 감량이었어요.

12. 위약군은 체중이 0.9% 증가했어요.

13. 낮은 용량에서도 효과가 있었어요.

14. 용량이 클수록 효과도 커졌어요.

15. 안전성도 전반적으로 양호했어요.

16. 위장 관련 부작용이 가장 흔했어요.

17. 구토와 메스꺼움이 주로 나타났어요.

18. 부작용은 대부분 가볍거나 경증이었어요.

19. 용량 증가 시 이상반응도 늘었어요.

20. 약물 동태는 용량에 비례했고 반감기는 19일이에요.

21. 혈중 농도는 용량에 따라 높아졌어요.

22. 약물 농도는 19일 동안 유지됐어요.

23. 월 1회 투여 가능성을 보여줬어요.

24. 병용 가능성도 검토 중이에요.

25. 097i와 병용하면 효과 기대돼요.

26. 다중 투여는 40명, 4개 용량군으로 진행됐어요.

27. 5주간 매주 투여했어요.

28. 체중감소는 용량 의존적이었어요.

29. 8.4% 체중 감량도 관찰됐어요.

30. 안전성도 양호했고 부작용은 가벼웠어요.

31. 약물 동태는 097i와 비슷했어요.

32. 월 1회 투여 가능성 높아 보여요.

33. 회사는 233i와 097i 병용 연구를 진행 중이에요.

34. 12주 임상은 25년 말 결과 기대돼요.

35. 병용 임상도 같은 시기에 결과 나올 예정이에요.

36. 또 다른 장기 지속형 제제도 연구 중이에요.

37. 오늘 발표는 긍정적 신호를 보여줬어요.

38. 메세라는 DND와는 관련 없어요.

39. 추가 데이터 나오면 텔레그램에 공유할게요.

40. 링크 클릭해서 실시간 정보 받아보세요.

41. 오늘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