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각한 한국 부동산 실제 상황! 앞으로 집값 '이렇게' 될 겁니다 (심형석 교수 1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현재 미분양은 약 68,000세대입니다.
- 중공 미분양은 약 29,000세대입니다.
- 전체 미분양 중 중공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요.
- 입주 후 미분양은 매우 심각한 문제입니다.
- 미분양의 80%는 지방에서 나옵니다.
- 3년간 계속된 미분양 문제는 구조적 문제입니다.
- 정부는 지방 미분양 해결책을 찾고 있어요.
- 지방에서도 일부 지역은 좋아지고 있어요.
- 서울은 최근 부동산 시장이 탄력을 받고 있어요.
- 거래량은 급증 후 다시 줄어들고 있습니다.
- 토지 거래는 허가 절차로 인해 거래가 끊겼어요.
- 거래 절벽이 아닌, 절차상의 혼란이죠.
- 지방 미분양은 계속 문제지만, 일부 지역은 좋아지고 있어요.
- 한국의 1인당 GDP는 대만을 역전할 전망입니다.
- 내수 경기는 여전히 침체되어 있어요.
- 내수 부진으로 집값은 크게 떨어지지 않아요.
- 강남 아파트는 안전 자산으로 여겨집니다.
- 인플레이션 시대엔 부동산이 유리합니다.
- 특정 지역은 계속 강세를 보이고 있어요.
- 대선 이후 부동산 정책이 중요한 변수입니다.
- 공급 확대는 쉽지 않으며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 5년 이상 걸리는 분양 일정이 문제입니다.
- 정부는 지금 3기 신도시를 추진 중입니다.
- 새 정부는 공급보다 규제에 집중할 가능성이 높아요.
- 세금은 크게 오르기 힘들 것으로 보여집니다.
- 양도세는 현재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 상속세도 공제 한도만 늘어날 수 있어요.
- 부동산 정책은 정권과 무관하게 변화할 수 있어요.
- 대선 후 규제 강화 가능성도 있습니다.
- 6월 대선 이후 부동산 시장은 잠시 조용할 수 있어요.
- 7월 이후 대출 규제 강화가 예상됩니다.
- 대출 승인 시기를 잘 고려해야 합니다.
- 규제 정책은 9월 또는 10월에 나올 가능성 높아요.
- 정부는 고가 주택 대출 규제도 검토 중입니다.
- 지방과 수도권 규제 대상이 달라질 수 있어요.
- 앞으로 부동산 시장은 불확실성 속에 움직입니다.
- 월세 비중은 이미 65%를 넘어섰어요.
- 월세화는 집값 안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 월세 수익률은 2.5% 정도입니다.
- 보증금이 크면 월세 부담이 낮아집니다.
- 월세 상승과 집값 안정이 함께 올 수 있어요.
- 실물 자산인 부동산은 인플레이션 헤지입니다.
- 금값도 최근 급등하고 있어요.
- 내수 경기 침체는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 강남 아파트는 안전 자산으로 계속 강세입니다.
- 정치적 불확실성은 시장에 영향을 미칩니다.
- 대선이 끝나면 불확실성은 해소될 가능성이 높아요.
- 작년 총선 후 시장은 계속 상승했습니다.
-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조심스럽게 전망됩니다.
- 6월 대선 이후 보유세 정책이 중요한 변수입니다.
- 7월에는 스트레스 DSR 규제가 시행됩니다.
- 대출 규제 강화로 거래는 줄어들 수 있어요.
- 대출 승인 시기를 잘 체크해야 합니다.
- 7월 거래는 대출 승인 후 이루어집니다.
- 규제 정책은 9월 또는 10월에 나올 가능성 높아요.
- 정부는 고가 주택 대출 규제도 검토 중입니다.
- 지방과 수도권 규제 대상이 달라질 수 있어요.
- 공급은 시간이 오래 걸려서 당장 해결 어렵습니다.
- 정부는 이미 진행 중인 신도시를 활용할 계획입니다.
- 앞으로 부동산 정책은 정권과 무관하게 변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