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2개 이상 직장인 필독! 4대보험 이중 납부 완벽 정리 ft. 꿀팁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4대 보험, 두 군데 이상 일하거나 소득이 여러 개면 어떻게 될까?

4대 보험은 우리가 나중에 편하게 살기 위해 지금 돈을 내는 거야. 근데 돈 버는 입장에서는 좀 부담스러울 수 있지. 특히 돈을 적게 버는 사람은 4대 보험료 때문에 실제로 받는 돈이 줄어들어서 싫어하고,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은 너무 많이 내는 것 같아서 싫어해.

어쨌든 돈을 벌면 4대 보험료를 내야 하는데, 만약 두 군데 이상에서 일하거나 소득이 여러 개면 4대 보험이 어떻게 되는지 알아볼게.

1. 두 군데 이상에서 일하는 경우

  • 건강보험: 일하는 곳 각각에서 내야 해. 월급을 기준으로 보험료를 계산해서 내는데, 만약 한 곳에서 일하는 시간이 너무 짧아서 건강보험 가입 대상이 안 되면, 그곳에서 받는 돈의 30%를 다른 소득이랑 합쳐서 2천만 원이 넘으면 추가로 건강보험료를 더 내야 할 수도 있어.
  • 국민연금: 이것도 일하는 곳 각각에서 내야 해. 근데 한 달에 503만 원(2020년 7월 ~ 2021년 6월 기준) 이상 벌면, 주된 직장에서 이미 최고 금액을 내고 있으니 다른 직장에서는 국민연금을 안 내도 돼. 만약 두 곳에서 버는 돈을 합쳐도 최고 금액을 넘지 않으면 각각 내고, 최고 금액을 넘으면 소득 비율에 따라 조절해서 내게 돼.
  • 산재보험: 이건 회사별로 따로 관리되니까 각 회사에서 내고, 회사가 전부 부담해.
  • 고용보험: 이건 주된 직장에서만 내면 돼. 주된 직장은 월급이 제일 많은 곳, 일하는 시간이 제일 긴 곳, 아니면 네가 선택한 곳으로 정할 수 있어. 만약 정규직으로 두 군데 이상 일하고 있다면, 정규직으로 일하는 곳에서 먼저 내야 해.

2. 두 가지 이상의 소득이 있는 경우 (회사에서 일하는 것 말고 다른 소득)

회사에서 일하는 것 말고 다른 소득이 있다면, 이건 주로 건강보험이랑 관련이 있어.

  • 직장 다니면서 다른 소득이 있을 때: 회사 월급에 대한 보험료는 회사랑 반반씩 내고, 회사 월급 말고 다른 소득에 대한 보험료는 네가 전부 다 내야 해.
  • 피부양자나 지역가입자일 때:
    • 피부양자: 만약 다른 소득이 너무 많아서 피부양자 자격을 잃게 되면, 지역가입자로 바뀌어서 건강보험료를 따로 내야 해.
    • 지역가입자: 여러 소득을 합쳐서 건강보험료를 계산해서 내게 돼.

요즘 건강보험료는 거의 세금처럼 소득이 있는 곳에는 무조건 붙는다고 생각하면 돼. (퇴직 소득이나 양도 소득은 아직 좀 다르지만!)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남겨줘!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