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상대방 진짜 모습 공개! (최명기 1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사람의 진짜 모습은 언제 드러날까?
사람들이 평소와 다르게 행동할 때, 우리는 그걸 '본성'이라고 생각하곤 해. 근데 정말 그게 본성일까?
1. 아플 때, 힘들 때
- 부부 관계: 배우자가 아프거나 힘들 때, 어떤 사람은 더 잘해주려고 하지만 어떤 사람은 다른 사람을 찾기도 해. 이게 그 사람의 진짜 모습일 수 있다는 거지.
- 가족 문제: 내 배우자는 나한테 잘하는데, 내 부모님이나 처가 식구들을 싫어하면 이것도 갈등이 될 수 있어. 이런 상황에서 배우자가 얼마나 유연하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진짜 모습이 드러나기도 해.
2. '본성'이라는 말, 함부로 쓰지 말자!
- 예시: 평소에 절대 안 먹는 음식을 굶어 죽기 직전에 먹었다고 해서 그게 그 사람의 '본성'은 아니잖아? 상황이 사람을 다르게 만들 수도 있다는 거야.
- 싸움: 화 안 내던 사람이 화를 내면 '이게 네 본성이구나!'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상대방은 '네가 나를 이렇게 만들었잖아!'라고 생각할 수도 있어. 즉, 상황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렇게 행동했을 수도 있다는 거지.
- 본능 vs 본성: 우리는 종종 '본능'과 '본성'을 헷갈려. 본능은 생존을 위한 기본적인 욕구고, 본성은 좀 더 복잡한 성격이나 기질을 말하는 건데, 이걸 뒤섞어서 쓰기도 해. 특히 나한테 유리할 때 '본성'이라는 말을 쓰기도 하지.
3. 관계가 변하는 이유
- 성적 매력: 성적 매력이 떨어지면 태도가 달라지는 남자들이 있어. 성적인 기회를 얻기 위해 양보했던 것들이 사라지는 거지.
- 아이: 아내가 임신하면 포악해지는 남편도 있어. 이걸 '앵커 이론'이라고 하는데, 미리 알기는 어렵지.
- 친화성: 사람들과 잘 지내는 능력, 즉 '친화성'이 높은 사람은 복수심이 적고, 타인의 입장을 잘 이해하며, 공감도 잘해. 이런 사람들은 대체로 이타적이고 차별하지 않아.
4. 내가 착해야 해!
- 착한 사람과의 결혼: 착하고 좋은 사람과 결혼해도, 내가 이기적이면 그 사람의 약점을 파고들어 결혼 생활을 불행하게 만들 수 있어.
- 결론: 배우자가 착한지보다 내가 착한지가 더 중요할 때도 있다는 거지.
5. 기대치 관리의 중요성
- 마케팅 공식: 고객 경험 = 경험치 - 기대치. 기대치가 낮으면 만족도가 높아져.
- 인간 관계: 사람에 대한 기대치가 너무 높으면 실망하기 쉬워. 결혼 전날이 만족도가 가장 높다는 말도 있듯이 말이야.
- 사랑과 수용: 중요한 건 기대치가 높고 낮음이 아니라, 얼마나 사랑하고 타인의 입장을 수용하는 마음이 있느냐야. 이런 마음이 있으면 기대치를 충족시키지 못해도 더 잘하려고 노력하게 되지.
6. 눈에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 외모와 성격: 외모도 출중하고 성격도 좋은 사람에게 끌리는 건 당연해. 하지만 외모만 보고 결혼하면 좋은 사람을 놓칠 수도 있어.
- 바람: 남자가 다 바람을 피우는 건 아니야. 통계적으로도 바람을 피우지 않는 남자가 더 많아. 바람을 피우는지 아닌지는 타고나는 부분도 있지만, 미리 알기는 어렵지.
- 진짜 싫어하는 것: 내가 진짜 싫어하는 것을 배우자에게서 발견하면 안 돼. 술 먹는 모습이 너무 싫다면 술 마시는 사람과 결혼하면 안 되는 거지.
7. 진정한 사랑을 찾아야 해
- 결혼: 서로 사랑하고 아껴주는 사람과 결혼해야 행복할 가능성이 높아. 말로만 사랑하고 아무것도 안 해주는 사람은 마음을 알 수 없어.
- 나 자신을 가꾸자: 내가 부자가 되고 싶으면 나도 돈을 벌어야 하고, 아름다운 사람이 되고 싶으면 나도 가꿔야 해. 하지만 그게 안 될 때 인생이 슬프기도 하지.
8. 겉으로라도 친절해지자
- 바꿀 수 있는 것: 타인을 대하는 태도와 따뜻함은 조금 바꿀 수 있어. 겉으로라도 친절해지면 기회가 더 늘어날 수 있지.
9. 돈과 인간성
- 돈이 많을 때: 돈이 많아지면 자신감이 생겨서 평소에 하지 못했던 행동을 하기도 해. 이때 숨겨져 있던 모습이 드러날 수 있지.
- 겁이 많은 사람: 겁이 많으면서 불친절한 사람도 있어. 자신이 강하다고 느끼면 남에게 불친절해지기도 하는데, 이건 그동안 눌려왔던 겁이 드러나는 것일 수도 있어.
10. 사랑하는 사람이 있을 때
- 긍정적인 면: 사랑하는 사람이 있고 나를 비난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자신감이 생겨 긍정적인 면이 드러나.
- 부정적인 면: 반대로 사랑이 잘 안 되면 부정적인 면이 드러날 수도 있지.
11. 자녀를 대할 때 드러나는 본성
- 자녀의 성공: 자녀가 성공하면 너그럽다가도, 자녀가 잘 안 풀리면 자존감이 낮아지기도 해.
- 진정한 사랑: 진짜 자녀를 아끼는 사람은 자녀가 잘되든 못되든 똑같이 사랑해 줄 거야.
12. 외모와 자존감
- 외모 변화: 외모가 변하면 자신감이 떨어져 위축되는 사람들도 있어. 우울증으로 살이 찌면 밖에 나가지 못하는 것처럼 말이야.
13. 돈과 인간적인 모습
- 돈이 많을 때 인간적: 돈이 많을 때 따뜻하고 베푸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원래 이타적인 사람일 가능성이 높아. 하지만 가족들은 서운할 수도 있지.
- 돈이 없을 때 인간적: 돈이 없을 때도 인간적인 사람은 자율성과 책임감이 높고, 자기 자신에 대한 불만이 없어. 그래서 돈이 많든 적든 의연하게 보이는 거야.
14. 상황에 따른 태도 변화
- 다양한 모습: 직장에서 상사에게 힘들게 대하다가, 직장 밖에 나와서는 도와주려고 하는 사람도 있어.
- 이해와 여유: 사람의 다양한 모습을 '그럴 때 저런 마음이구나' 하고 이해하면, 우리는 더 여유롭고 편하게 살 수 있어.
- 본성 파악의 길: 남의 본성을 파악하려 애쓰지 않는 것이 오히려 그 사람의 본성을 제대로 아는 길일 수도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