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가지 마음근력을 키우는 두 가지 방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마음근력은 어떤 일을 잘하는 힘이에요.
- 마음근력은 회복탄력성과 그릿의 원천입니다.
- 마음근력은 자기조절력, 대인관계력, 자기동기력으로 구성돼요.
- 자기조절력은 I & Me, 대인관계력은 I & You, 자기동기력은 I & It입니다.
- 마음근력의 기반은 전전두피질 네트워크인 mPFC입니다.
- 뇌는 여러 부위가 함께 네트워크를 이루어 기능을 발휘해요.
- mPFC는 다양한 네트워크의 허브 역할을 합니다.
- 마음근력 향상 방법은 두 가지, 전전두피질 활성화와 편도체 안정화입니다.
- 먼저, 전전두피질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해요.
- 두 번째는 편도체를 안정시키는 것이에요.
- 편도체 활성화는 두려움, 좌절, 분노를 유발할 수 있어요.
- 편도체 활성화는 전전두피질 기능을 저하시켜요.
- 원시인 뇌는 위기 시 근육을 빠르게 쓰게 만들어요.
- 현대인은 편도체 활성화를 줄여야 해요.
- 편도체 안정화는 먼저, 전전두피질 활성화가 뒤따라야 합니다.
- 편도체 안정화는 몸과의 내면 소통으로 가능해요.
- 감정은 몸의 변화에서 비롯돼요.
- 몸의 변화가 감정을 인지하게 해줍니다.
- 감정 조절은 몸을 조절하는 것으로 가능해요.
- 뇌 신경계는 12쌍의 신경이 몸과 연결돼 있어요.
- 이 부위들을 편안하게 하면 감정도 안정돼요.
- 고유감각과 내부감각이 감정을 느끼게 해줍니다.
- 자기참조과정은 자신을 돌아보는 과정이에요.
- 신경가소성은 반복 활성화로 뇌가 변화하는 거예요.
- 피아니스트와 아마추어, 프로와 초보의 뇌 차이도 이 변화 덕분입니다.
- 뇌 활성화와 신경가소성은 주로 수면 직전이 중요해요.
- 잠들기 전에 편도체를 안정시키고 전전두피질을 활성화하세요.
- 유튜브에서 "편안전활"을 검색해보세요.
- 잠자기 전에 누워서 소리만 들어도 좋아요.
- 앞으로 내면소통 훈련법도 계속 공유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