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2024년 금리인하 불가능! 지금 꼭 알아야 할 금융 전망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하반기 시황 전망 및 인플레이션 심층 분석

이번 토요일 오프라인 행사에서는 하반기 시황 전망과 금리 인하 시점, 그리고 인플레이션의 과정과 과거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야기할 거야. 지금 관련 자료를 조사하고 있는데, 가장 눈에 띄는 건 프록터 앤 갬블(P&G) 실적 발표 내용이야.

P&G의 가격 인상과 인플레이션의 시작?

P&G가 관세 때문에 제품 가격을 5% 정도 올릴 것 같다고 발표했어. 이걸 보고 "가격이 올라도 소비가 안 죽으면 기업 실적은 괜찮지 않겠냐"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나는 이게 올해 하반기 최대 이벤트라고 봐.

상품 가격은 어떻게 결정될까?

상품 가격은 기본적으로 원자재, 인건비, 제조비, 유통비에 세금과 기업 이익(마진)이 더해져서 결정돼.

관세가 붙으면 어떻게 될까?

미국으로 수출하는 상품에 관세가 붙으면, 원래 가격에 10%가 아닌 15%가 더 붙는다는 거야. 그럼 가격이 얼마나 오를까?

기업들은 당장 가격을 15% 다 올리기보다는, 이익(마진)을 줄이거나, 인건비, 유통비, 원자재 비용을 절감하려고 노력할 거야. 예를 들어, 마진을 5% 줄이고, 인건비 3%, 유통비 2%, 원자재 3%씩 줄여서 상품 가격 인상 폭을 2~3% 정도로 맞추는 거지.

하지만 이렇게 줄인 비용은 결국 시간이 지나면 다시 오르거나, 시장 상황이 안정되면 기업들이 이익을 늘리기 위해 다시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높아. 결국 상품 가격은 조금씩 계속 오르게 될 거야.

인플레이션, 왜 계속될까?

트럼프 대통령은 월마트나 P&G 같은 기업들을 불러서 가격 인상을 자제하라고 압박하고 있어. 유통 시장을 직접적으로 겨냥하는 거지.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히지 않을 수 있다는 게 문제야.

코로나 이후 인플레이션 흐름:

코로나 때 돈을 많이 풀면서 일시적으로 물가가 크게 올랐었지. 미국은 7% 이상, 유럽은 10% 이상 올랐고, 영국은 2년 반 만에 물가가 30%나 올랐어. 우리나라 역시 편의점 도시락 가격이 3천 원에서 5천 원으로 오르는 등 비슷한 상황을 겪었지.

이후 물가 상승 속도는 줄어들어서 현재 미국 인플레이션은 2.8% 정도인데, 코로나 이전 수준(2~2.5%)과 크게 다르지 않아. 그런데 여기에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이 추가로 붙을 수 있다는 게 시장의 걱정이야.

소비가 죽지 않으면 인플레이션은 계속된다?

시장이 가장 두려워하는 건 소비가 줄어들지 않은 상태에서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거야. 2020년~2024년 초까지 콜라 가격이 계속 올랐던 것처럼, 기업들이 비용 상승분을 가격에 반영하면서 물가가 꾸준히 오를 수 있다는 거지.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금리 인하 기대감도 사라질 수 있어. 최근 채권 시장에서는 올해 금리 인하 횟수를 줄이는 쪽으로 베팅이 바뀌고 있거든. 만약 앞으로 발표될 물가 지표가 예상보다 높게 나온다면, 금리 인하 기대감은 더 낮아질 수 있어.

앞으로의 시장 전망

  • 낮은 각도의 우상향: 일부 전문가들은 앞으로 주식 시장이 급격하게 오르기보다는 매년 5~7% 정도의 낮은 각도로 완만하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 박스권 장세 가능성: 금리 인하가 예상보다 늦어지거나, 물가가 계속 오르면 시장이 크게 오르지 않고 박스권에 갇히는 장세가 펼쳐질 수도 있어. 주식만 보유해서는 큰 재미를 보기 어려운 상황이 올 수 있다는 거지.
  • 현금 보유의 중요성: 이런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주식 비중을 너무 늘리기보다는 현금을 보유하거나 신중하게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

월마트 실적 발표를 주목해야 하는 이유:

8월 21일에 발표될 월마트 실적 발표가 중요해. 월마트 CEO도 이미 6월부터 물가 상승을 예고했었고, 8월에는 15% 관세가 적용된 상품들을 받게 되기 때문이야. 월마트와 코스트코 같은 대형 유통업체들이 어떤 이야기를 하는지 잘 지켜봐야 할 거야.

P&G의 이번 관세 관련 발언은 앞으로 두고두고 회자될 만한 중요한 포인트라고 생각해. 관세가 붙으면서 기업들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그리고 이것이 장기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지 주목해야 할 때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