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부자들은 절대 하지 않는 말 7가지|부의 심리학 김경일 교수 강의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돈과 심리, 제대로 알고 현명하게 쓰자!

1. 돈과 쿠폰, 뭐가 다를까?

  • 쿠폰은 소비를 더 쉽게 만들어. 현금보다 쿠폰을 받으면 "이걸로 뭐 사야지!" 하고 더 쉽게 지갑을 열게 돼.
  • 여행 갈 때도 비슷해. 여행 가기 전에는 선택지가 많으면 좋지만, 일단 가기로 결정하면 오히려 선택지가 줄어들어야 끝까지 제대로 즐길 수 있대.
  • 결정하기 전에는 자유로운 선택지를, 결정 후에는 명확한 목적을! 정책이나 가게 쿠폰도 이런 심리를 이용하는 거야.

2. 미래 돈, 구체적으로 상상해야 돈이 된다!

  • "꿈이 뭐야?" 물어보면 "교사요!" 보다는 "사람들을 가르치는 일을 할 거야!" 처럼 추상적인 게 더 좋아. 그래야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나아갈 수 있거든.
  • 미래 돈도 마찬가지야. "100일 뒤에 20만원 받을래?" 보다는 "100일 뒤에 20만원 받으면 이걸로 뭘 할 수 있을까?" 구체적으로 상상해야 돈을 아끼고 모을 수 있어.
  • 중고차 할부 살 때도 마찬가지. 5년 뒤에 내가 갚아야 할 돈을 구체적으로 생각하면 충동구매를 막을 수 있지.

3. 돈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 부모님에게 배워야 해!

  • 부모님이 어떻게 돈을 버는지, 얼마나 힘들게 버는지 알려줘야 아이들이 돈을 아껴 써. 그냥 "아빠 힘들다"가 아니라 "아빠가 이렇게 열심히 일해서 우리 가족을 위해 돈을 벌고 있구나" 하고 느끼게 해줘야 해.
  • 아이들이 부모님의 직장 생활을 직접 보면 더 잘 이해할 수 있어. "아빠가 이렇게 열심히 일하는구나" 하고 느끼게 되는 거지.

4. 행복하지 않으면 돈을 낭비하게 돼!

  • 불안, 우울, 스트레스, 불면증은 모두 과소비와 충동구매로 이어질 수 있어.
  • 행복하고 건강하면 돈을 아낄 수 있어. 불행하면 그걸 보상받으려고 돈을 쓰게 되거든.
  • 직장 상사의 칭찬 한마디가 소비 습관을 바꿀 수도 있어. 칭찬받으면 기분이 좋아서 소소하게 소비하지만, 질책받으면 스트레스 풀려고 더 비싼 걸 사게 될 수도 있지.

5. '호구' 되지 않는 쇼핑법: 나만의 가격표를 만들어!

  • 할인율에 혹하지 말고, 물건을 보기 전에 "이건 얼마까지 주고 살 수 있을까?" 미리 가격을 정해놔.
  • 평소에 아이쇼핑만 하지 말고, "이 물건은 얼마까지만 사야지" 하고 미리 생각해두는 연습을 해. 이게 나중에 큰돈을 아끼는 방법이 될 수 있어.

6. '원트'와 '라이크'를 구분해야 현명한 소비를 해!

  • '원트(Want)'는 남들이 가지고 있어서 나도 갖고 싶은 거야. 이건 불편함에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
  • '라이크(Like)'는 내가 진정으로 좋아하고 필요해서 원하는 거야. 이건 기억하고 떠올릴 수 있는 것에서 시작돼.
  • 진정으로 좋아하는 건 기억하게 돼 있어. 친구들이 좋다고 해서 무조건 따라 하지 말고, 진짜 내가 좋아하는 건지 생각해 봐야 해.

7. '심리적 동점'을 만들어야 더 잘할 수 있어!

  • 스포츠 경기처럼, 돈 관리도 '동점' 상황을 만드는 게 중요해.
  • 주식 투자할 때도 마찬가지. 손실만 보지 말고, "이 구간에서는 그래도 잘했지" 하고 구간별로 끊어서 분석하면 동기 부여가 되고 더 잘할 수 있어.
  • 직장 생활에서도 마찬가지. 회사를 위해 최선을 다하되, 퇴사 후의 미래도 함께 생각해야 회사와 나 모두에게 좋아.

8. '부럽다'고 말해야 더 많이 배울 수 있어!

  • "부럽다"는 말은 질투와 달라. 질투는 상대방이 가진 걸 없애고 싶어 하는 거지만, 부러움은 나도 그걸 갖고 싶다는 뜻이야.
  • 부럽다고 솔직하게 말하면, 상대방이 기꺼이 알려줄 수도 있어.
  • "대단하다"고 칭찬하고 "어떻게 그렇게 하셨어요?" 하고 물어보면 더 많이 배울 수 있어.

결론적으로, 돈을 현명하게 관리하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심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 이 책을 통해 돈과 심리에 대한 지혜를 얻고, 더 나은 삶을 만들어가길 바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