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험에 꼭 나오는 고전 필수 어휘 5분 완벽 정리! 놓치면 후회해요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고전시가 단어 정리 (중학생 눈높이)
오늘은 여러분들이 그동안 엄청 요청했던 고전시가 단어들을 쉽고 빠르게 정리해 줄게!
명사
- 출원: '출'은 100, '원'은 10을 의미해. (이건 그냥 참고로 알아두면 좋아!)
- 진도: 원래는 강아지 이름 같지만, 여기서는 '갈매기'라는 뜻으로 쓰여. 화자의 친구나 벗으로 자주 등장해.
- 이화: '이'는 배꽃, '화'는 살구꽃을 의미해. 이 단어들이 나오면 계절이 봄이라는 걸 알 수 있어.
- 화: 고전시가에서 '물'이나 '원'을 상징하는 꽃으로 자주 나오니까 꼭 알아둬!
- 화암: 시골에 살면서 세상 이치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뜻해. 근데 여기서 '어리석다'는 부정적인 뜻이 아니라, 오히려 순수하고 때 묻지 않았다는 긍정적인 의미로 쓰일 때가 많아. 화자가 자신을 낮춰 말할 때 자주 쓰는 표현이야.
- 여름: 우리가 아는 '여름'이랑 똑같아. (근데 옛날에는 '열매'라는 뜻으로도 쓰였다는 거 알아두면 좋아!)
- 하: '자연'이나 '놀이'를 상징하는 말로, 그냥 '자연물'이라고 생각하면 돼. 굳이 '안개'나 '놀이'로 딱 나눠서 외울 필요는 없어.
부정적인 느낌의 단어 (이런 단어들은 따로 외워두면 해석하기 편해!)
- 근심, 시름: 근심, 걱정, 시름을 의미해. 부정적인 뜻으로 많이 쓰이니까 꼭 기억해!
기타 중요한 단어
- 황훈: 원래는 '노란 구름'이라는 뜻인데, 가을에 곡식이 노랗게 익은 모습을 보고 비유한 말이야. 즉, '곡식이 풍요롭게 익은 모습'을 뜻해.
- 모첨: '초가집의 처마'를 의미해. '모처럼'이라고 해석하면 안 돼!
- 풍진, 진세, 인세: 전부 '속세'를 뜻하는 말이야. '먼지', '붉은 먼지'처럼 속세와 관련된 단어들은 부정적인 느낌으로 쓰일 때가 많으니 따로 외워두는 게 좋아.
동사/형용사
- 선하다: 요즘은 '착하다'는 뜻이지만, 옛날에는 '쓰다'라는 뜻으로 쓰였어. (좋지 않은 뜻으로 쓰였지!)
- 하다: '하다', '지내다', '살아가다' 등 다양하게 쓰이는 활용도 높은 단어야.
- 살다: '낫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도 있어.
- 희다: '희다'라는 뜻이야.
- 엿보다: 요즘은 좋은 뜻이지만, 옛날에는 '불쌍하다'라는 뜻으로 쓰였어. 훈민정음에서 "이를 어여삐 여겨"라고 할 때도 '불쌍하게 여겨'라는 뜻으로 해석해야 해.
- 숨기다: '쓰이다', '태어나다', '만들어지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활용도 높은 단어야.
- 띄우다: '허리다'라는 뜻으로 쓰여. 부정적인 단어와 함께 쓰이면, 그 단어들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하면 돼. (예: 공명도 날 꺼리고, 부귀도 날 꺼린다 - 여기서 '꺼린다'는 부정적인 속성을 가진 단어라는 걸 알 수 있지!)
- 됴타: 요즘의 '좋다'와 발음이 비슷하지? 귀엽지?
- 좋다: 옛날에는 '깨끗하다'라는 뜻으로 쓰였어.
- 펄하다: '연하다', '서럽다'라는 뜻으로 쓰이지만, '대단하다'라는 긍정적인 의미로 많이 쓰여. (예: 조물주의 솜씨가 대단하다!)
- 어리다: 요즘은 '어리다'는 뜻이지만, 옛날에는 '어리석다'는 부정적인 뜻으로 쓰였어.
- 외다: '그르다', '옳지 않다'라는 뜻으로,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중요한 단어야. 이걸 모르면 전체 맥락 파악이 어려울 수 있어.
- 더하다: '많다', '크다'라는 뜻으로 쓰일 때가 많아.
- 시달리다: '변하다'라는 뜻으로, 특히 '마음이 변하다'라는 의미로 이별을 주제로 한 작품에서 자주 등장해.
이 단어들은 시험에 자주 나오니까 꼭꼭 외워두자! 고전시가 공부,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