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4000 돌파 가능성! 지금 꼭 알아야 할 핵심 이유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시장 분석 및 투자 전략 요약
현재 시장 상황 및 투자 비중 조정 이유
- 한국 시장 4천 간다는 논리 비판: 상법 개정으로 인한 릴레이팅 가치 재평가 논리가 유동성 팽창 시기와 맞지 않다고 봄. 즉, 지금은 돈이 많이 풀린 시기라 싼 거 사서 비싸게 파는 것보다 앞으로 크게 성장할 것을 사는 게 더 유리한데, 한국 시장 논리는 과거 가치 재평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
- 투자 비중 축소: 위 이유 때문에 한국 시장 비중을 줄이고 있음.
최근 투자 성과 및 전략 변화
- 연초 수익률: 연초에 수익률이 높을 만한 곳을 고민하다가 큐트(QT) 쪽에 기회가 있다고 판단.
-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고 변동성이 줄어든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
- 과거 비트코인은 시장 흔들릴 때 급락했지만, ETF 상장 후 그런 모습이 줄어 레버리지 투자 리스크가 적다고 판단.
- 현재까지 이 전략이 좋았고, 올해 수익률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 주요 관심 지표: 유동성 관련 지표를 가장 중요하게 봄.
- 주요 일정: 7월 말 일본 금리 결정 (BOJ)을 주목.
- 금리 인상이 일어나면 단기적으로 차익 실현이나 숏 포지션이 나올 수 있으므로, 이때 추가 매수할 현금을 확보해 둘 계획.
- 그 전까지는 현재 포트폴리오를 유지하며 리밸런싱 준비.
- 최근 포트폴리오 조정:
- 삼성전자: 어제 기준으로 비중을 많이 정리함 (약 2% 상승 중).
- 하이닉스: 전체 포지션의 10% 정도만 보유하고 있음.
- 기존 보수적 포지션 (삼성전자, 메리츠): 비중을 많이 줄임. 삼성전자는 거의 다 정리, 메리츠는 100에서 30 정도만 남김.
- 공격적 포지션 (성장주 추종):
- 미국 시장: 팔란티어, 로비온드, 헛사이 등 성장성이 높은 기업에 공격적으로 투자 중.
- 한국 시장: 과거에는 삼성전자, 메리츠로 수익률을 방어했지만, 이제는 3, 4분기 및 내년 상반기를 대비해 공격적인 성장주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재편.
시장 전망 및 개인 투자자에게 전하는 메시지
- 지수 자체에 대한 관심 부족: 코스피 지수가 4천, 5천 가는 것에 큰 의미를 두지 않음. 개인의 섹터 수익률이 중요하다고 생각. 지수는 시장 온도를 보는 용도로만 활용.
- 시장 조정 가능성 대비: 7월 말 일본 금리 결정 이후 시장이 1~2개월 조정받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큰 변동성에도 견딜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공격적으로 구성해 놓음.
- 심심함과 트레이딩 고민: 현재 포트폴리오 재배치 후 할 게 없어서 트레이딩을 다시 할까 고민 중. 멤버십 운영 등도 고려.
- 오를 때 더 어려운 시장: 시장이 오를 때가 오히려 더 어렵다고 함. 언제 팔아야 할지, 어디로 가야 할지 고민하게 되기 때문.
- 확신 있는 한 명의 기조 유지: 시장에 대한 확신을 가진 한 명의 의견을 따르는 것이 유리하다고 조언. (본인 채널을 따라오라는 농담 포함)
- 본질에 집중: 시장 지수나 남들의 말에 흔들리지 말고, 자신이 보유한 자산의 상황, 휘둘릴 수 있는 지표, 일정 등을 파악하며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
- 포모(FOMO) 극복: 자산이 올랐을 때 더 사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포모)은 시장 경험이 쌓이면 과거 기회를 상기하며 극복할 수 있다고 설명. 미래에도 항상 새로운 기회가 온다는 믿음이 중요.
- 조심해야 할 시기: 시장이 오를수록 조심해야 하며, 떨어질 때보다 오를 때가 더 어렵다는 점을 인지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