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수시 상담 라이브] 8월 12일 오후8시 30분 중등부, 고1 학생 환영 대학입결상담, 고교학점제 교과목 선택해드립니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고교학점제, 중1~고1 학부모님들을 위한 입시 설명회 요약

안녕하세요! 아이디입시연구소 이정희 소장입니다. 오늘은 고교학점제와 관련해서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위한 입시 정보를 알려드릴게요. 수시철이라 바쁘시겠지만, 여러분께 도움이 되고자 라이브 방송을 준비했습니다.

1. 고교학점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 2028학년도 대입부터 고교학점제가 본격적으로 반영됩니다.
  • 서울대 입시 칼럼:
    • 인문계: 사회 4과목, 과학 4과목 이상 권장
    • 자연계: 과학 5과목 이상 권장
    • 권장 이수 과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 입시 홈페이지나 칼럼을 참고하세요.
  • 정시 전형 개편: 수능 1단계에서 학생부 40% 반영 예정. 내신 변별력 강화될 전망.

2. 질문 & 답변

Q1. 문과 학생인데 로스쿨 진학 희망, 학교에서 물리를 필수로 듣게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로스쿨은 계열 상관없이 상경계열이나 인문계열로 많이 진학합니다.
  • 학교에서 물리를 권장하는 이유는 공대 쪽으로 진로를 바꿀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공대 진학 시 물리 과목은 필수적이므로 미리 들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Q2. 1학기 성적 1.0인데 어느 대학까지 가능한가요?

  • 1.0이면 대부분의 대학에 지원 가능합니다.
  • 수시 배치표 참고: 화면 공유를 통해 서울대 지역균형 전형 기준으로 1.0이면 대부분 합격권임을 보여주었습니다.
  • 1등급의 중요성: 단순히 1.0이라고 해서 다 같은 1.0이 아닙니다. 표준편차 유추를 통해 자신의 1등급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금요일 라이브에서 자세히 다룰 예정)

Q3. 메디컬 희망하다 환경보건 쪽으로 진로 변경 시 2학년 선택 과목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생명과학 관련 과목은 필수적으로 수강해야 합니다. (생명과학의 유전, 세포와 물질대사 등)
  • 화학 관련 과목도 함께 수강하는 것이 좋습니다. (화학 반응의 세계, 물질과 에너지 등)

Q4. 과학/수학 선행은 어디까지 해야 할까요? (고1 기준)

  • 과학: 방학 때 통합과학 2를 끝내는 것이 좋습니다. 물리, 화학은 중3 겨울방학 기준으로 한 바퀴 선행을 마치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만약 안 되어 있다면 2학기 때 통합과학 2와 물리/화학 원을 병행하세요.
  • 수학: 대수까지는 한 바퀴 기본적으로 끝내는 것을 추천합니다.

Q5. 진로가 결정되지 않은 고1 여학생, 생기부는 어떻게 채워야 할까요?

  • 가장 먼저 문과/이과 진로를 결정해야 합니다.
  • 1학년 때는 전반적인 과목을 다루고, 2학년 때부터 구체적인 진로에 맞춰 과목을 선택하세요.
  • 여름방학 때 문과/이과 결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Q6. 문과 예정인데 2학년 때 과탐을 꼭 들어야 하나요? 교양 과목은 3학년 2학기에 들어도 되나요?

  • 이과 학생도 사탐, 문과 학생도 과탐을 한 과목씩은 들어야 하는 추세입니다. 지구과학이나 생명과학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교양 과목은 자신의 진로와 관련된 과목이라면 3학년 2학기보다는 미리 듣는 것이 유리합니다.

Q7. 반장 활동이 입시에 도움이 될까요?

  • 공동체 역량, 리더십 역량을 보여줄 수 있어 도움이 됩니다.
  • 반장 활동 외에도 다양한 활동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Q8. 상경계열 지원 시 문과생도 과탐을 들어야 하나요?

  • 문과 학생도 과탐 한 과목은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지구과학, 생명과학 등)
  • 상경계열은 수학과 경제 관련 과목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Q9. 교대 입시, 이과생이 유리한가요?

  • 과거에는 문과생이 많았지만, 최근에는 이과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교사는 수학, 과학 등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므로 문과/이과 구분 없이 지원 가능합니다. 이과생에게는 오히려 유리할 수 있습니다.

Q10. 일반고 vs 특목/자사고, 어디가 유리할까요?

  • 서울대 기준: 9등급제에서는 일반고 1.0과 특목/자사고 2.5~3.0의 갭이 컸지만, 5등급제로 환산하면 갭이 줄어들어 특목/자사고가 유리해질 수 있습니다.
  • 아이의 성향: 아이의 성향에 맞춰 내신 관리가 수월한 일반고 또는 특목/자사고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님의 학창 시절 경험을 참고하는 것도 좋습니다.

Q11. AI 계열 희망 시 수학/과학 선택 과목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수학: 인공지능 수학, 이산 수학, 대수, 미적분 2, 기아 등 수학 관련 과목을 최대한 많이 듣는 것이 좋습니다.
  • 과학: AI 계열은 컴퓨터공학과와 유사하므로 물리, 화학 과목을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Q12. 치대 희망 시 인공지능 수학을 들어도 괜찮을까요?

  • 치대와 직접적인 연관성은 낮지만, 만약 진로 변경 가능성을 고려한다면 인공지능 수학을 듣는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 치대 희망 시에는 지구과학보다는 수학 관련 과목을 더 추천합니다.

3. 추가 정보

  • 고교학점제 Q&A 게시판: 아이디입시연구소 네이버 카페에 고교학점제 관련 질문을 남겨주시면 답변해 드립니다.
  • 오픈톡방: 중학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및 학부모님들을 위한 오픈톡방이 개설되었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다음 라이브 방송: 10시부터 이정희 소장님과 함께하는 수시 상담 라이브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오늘 방송이 여러분께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앞으로도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유익한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