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 높은 교육 기회를 누리지 못해서가 아니었다. 생후 2개월부터 시작된 부의 불평등 무엇이 문제일까│다큐프라임│#골라듄다큐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가난한 나라의 아이들은 하루 1~2달러 벌어요.
- 가족은 작은 방에서 함께 살고, 질병에 자주 걸립니다.
- 연구 결과, 3살 아이들의 IQ가 낮아지고 있어요.
- 두 달 만에 뇌의 회백질이 줄어드는 걸 발견했어요.
- 스트레스와 빈곤이 아이 뇌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환경이 열악하면 뇌 활동이 낮아지고 발달이 늦어집니다.
- 자원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스트레스가 큰 문제입니다.
- 빈곤 아이들은 건강과 영양도 부족해요.
- 사회는 이 불평등이 공평하지 않다고 깨달아야 해요.
- 빈곤 아이들이 잘 자라지 못하는 건 불공평하다고 생각해요.
- 데비 실험으로 원숭이들도 불평등을 싫어한다는 걸 보여줬어요.
- 원숭이들은 공정성을 느끼고 불평등에 화를 냅니다.
- 인간도 협동과 공정성을 중요시하는 본능이 있어요.
- 불평등 혐오감은 협동 사회의 자연스러운 감정입니다.
- 일부는 불평등이 자본주의 시스템의 일부라고 말하지만,
- 우리는 오래전부터 자원을 공유하는 전통이 있었어요.
- 불평등이 시스템의 일부라는 생각은 잘못됐어요.
- 우리가 진화한 방식은 자원을 공유하는 협동적 삶입니다.
- 가난한 사람들은 열심히 일하지만, 돈은 적어요.
- 자원이 공평하게 분배되지 않는 게 현실입니다.
- 모두가 똑같이 살 수 있는 세상은 아직 멀어요.
- 세상이 얼마나 불평등한지 사람들은 잘 몰라요.
- 미국의 하위 40%는 부의 0.3%밖에 갖고 있지 않아요.
- 반면, 상위 20%는 부의 86%를 차지합니다.
- 우리는 지금 세상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어요.
- 하지만 사람들이 더 평등한 세상을 원한다는 희망이 있어요.
- 정치적 차이와 상관없이 모두 더 평등한 세상을 꿈꿉니다.
- 그래서 우리는 평등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