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 공지: '영상 정리', '자막 품질'이 향상되었습니다!
영상 정리 기능의 가독성 향상. (일부)자막 줄바꿈 가독성 향상.
분석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URL을 확인하고 다시 시도해주세요.
YTN
최근 SK텔레콤 해킹 사태로 국내 주요 인프라의 사이버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해커에 의한 정보 유출이 의심된 사례들을 재점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9일 보안업계 등에 따르면 중국 해커에 의한 정보 유출이 의심되었던 사례 중 하나로 지난 3월 미국 법무부에 의해 기소된 중국 보안업체 아이순의 우리나라 외교부와 LGU플러스 해킹 의혹이 있습니다.
기소장에 따르면 아이수는 지난 7년간 인력 최소 100명을 동원해 이상의 중국 정부 기관의 해킹 서비스를 제공했으며이 과정에서 한국 외교부와 LG U플러스를 포함한 20여국의 정부 언론 NGO 등을 타깃으로 삼았습니다.
해킹 활동은 단순 기술 시현을 넘어서 수익 사업화 구조를 갖췄습니다.
이메일 하나를 해킹해 최대 7만5,000달러를 청구하는 등 정교한 영리 모델이 운영됐으며 중국 공안부와 국가 안전부의 지시로 활동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이번 의혹은 아이순 내부자 두 명이 지난해 6월 업무 대비 처후가 낮다고 생각해 내부 문서와 대화 기록을 폭로하면서 시작됐습니다.
기터브에 공개된 3,500페이지 분량의 내부 대화에는 LG건 한국 외교부 이메일 확보 등 한국 관련 구체적 언급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특히 켄 7324라는 아이디는 U플러스 통화기로 3T바트 확보 가능성을 언급했고이는 미국 법무부 기소장에 등장하는 아이순 영업 이사와 동일 인물로 추정됩니다.
이와 관련해 과학 기술 정보 통신부와 한국 인터넷 진흥원 등 관련 당국은 이번 의혹에 대해 조사한 결과 해킹을 입증할 명확한 혐의점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간접적인 정황 증거 외에 악성 코드, 잔존 등부 유출을 뒷받침할 기술적 증거도 확인되지 않았다고 설명했습니다.
한 국내 보완업체 관계자는 아이는 해킹 정보를 다크웹에 유포하지 않고 정부 기관에 은밀히 판매했기 때문에 공개된 흔적이 없다고 안심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다른 보완업계 관계자는 SKT 해킹이 발생한 시점과 당국의 조사 시작 사이 약 한 달에 간격이 있어 자체 점검 중 해킹 흔적이 삭제됐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