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내 집 마련 핵심 전략! 김경필 대표가 전하는 똘똘한 한 채 성공 비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결국 당신은 아파트를 사게 된다: 중학생 눈높이 정리

1. "똘똘한 한 채"가 뭐길래?

  • 요즘 사람들 생각: "똘똘한 아파트 한 채" 하면 무조건 서울, 특히 강남이라고 생각하지? 근데 저자는 강남만 말하는 게 아니야.
  • 왜 중요해졌을까?
    • 부동산 시장이 복잡해지고 집값도 오르고 규제도 많아.
    • 내 집 마련은 꼭 필요한데, 집값은 오르고 대출은 줄어드니 기회가 점점 줄어드는 것 같잖아.
    • 그래서 "똘똘한 한 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거야.

2. "똘똘한 아파트"는 어떻게 골라야 할까?

  • 과거엔 이랬다! (하지만 지금은 좀 달라)

    • 외곽 vs 도심: 예전엔 은퇴하면 외곽에서 전원생활을 즐기려는 사람이 많을 줄 알았는데, 막상 은퇴한 사람들은 오히려 도심으로 들어오는 경우가 많대. 병원 가기 편하고, 자녀들이랑 가깝게 지내고, 친구들 만나기 좋아서 그런가 봐. 또 요즘엔 나이 드신 분들도 일하는 경우가 많아서 일자리가 많은 도심이 좋대.
    • 대형 vs 중소형: 넓은 집에서 살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있지만, "똘똘한 아파트"는 오히려 중소형 평형이 더 좋았대.
    • 단독 vs 공동주택: 단독주택은 꿈이지만, 요즘엔 도심에서 치안 문제도 있고, 공동주택이 커뮤니티 시설도 잘 되어 있어서 더 선호된대. 특히 지방 소멸 문제 때문에 도시로 인구가 몰리면서 치안이 중요해졌고, 공동주택이 더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거지.
    • 연립/빌라 vs 아파트: 연립이나 빌라도 좋은 곳이 많고 아파트보다 싼 경우도 있지만, 자산 가치 면에서는 아파트가 더 주목받는대. 특히 최근 전세 사기 때문에 더 그런 것 같아.
  • 결론적으로 "똘똘한 아파트"는:

    • 도심에 있고
    • 중소형 평형이고
    • 공동주택 (아파트)인 경우를 말해.

3. 주식 vs 부동산: 누가 더 부자 만들어줬을까?

  • 과거엔 부동산이 대세!

    • 스스로 돈을 번 사람들을 보면 주식보다 아파트로 부자가 된 경우가 훨씬 많았대.
    • 왜 그랬을까?
      • 투자 규모: 주식은 소액으로도 할 수 있지만, 부동산은 수억 원을 투자해야 하잖아. 큰돈을 오래 투자하기엔 주식보다 부동산이 쉬웠던 거지.
      • 변동성: 주식은 가격이 확확 오르내리지만, 아파트는 가격이 떨어져도 당장 팔지 않고 살 수 있으니 버티기 쉬웠대.
      • 투자 시간: 주식은 20~30년씩 길게 묻어두기 어렵지만, 아파트는 그렇지 않았던 거야.
      • 사용 가치: 집은 내가 살면서 편의를 누릴 수 있잖아. 집값 오르는 건 덤으로 얻는 거지.
  • 앞으로는 어떨까?

    • 과거만큼은 아니겠지만, 그래도 아파트 없이 부자가 되기는 쉽지 않을 거래.

4. "똘똘한 아파트"는 언제 사야 할까?

  • 골든 타임은 신혼 때부터!

    • 집값 예측은 어렵지만, 앞으로 10~15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오를지는 예측 가능하대.
    • 가장 좋은 시기는 신혼 때부터 계획하는 거야.
      • 신혼 때부터 저축 계획을 세우면, 월급에서 저축하는 게 당연해져서 다른 데 돈 쓸 생각을 덜 하게 돼.
      • 아이 낳고 나면 교육비 때문에 돈 쓸 일이 많아져서 집 마련이 더 어려워진대.
    • 경제 활동 시작 후 15년 안에!
      • 25살에 일 시작하면 40살 전에, 30살에 시작하면 45살 전에 집을 사야 한다는 거지.
      • 이 시기를 놓치면 계속 뒤로 밀릴 수밖에 없대.
  • 미혼인 사람들은 더 불리해!

    • 혼자 돈을 모아서 집을 사려면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린대.
    • 결혼해서 맞벌이를 하는 게 집 마련에 훨씬 유리하대.

5. "내 집 마련"을 막는 5가지 장애물 (오적)

  1. 육아로 줄어드는 맞벌이 기간: 육아 휴직 등으로 소득이 끊기는 기간을 최소화해야 해.
  2. 소득 대비 너무 높은 전세/월세: 가구 소득의 2.5배 이상 되는 전세는 피하는 게 좋아.
  3. 소득 대비 높은 차량 유지비와 여가 생활비: 외제차 타고 해외여행 다니면서 집 마련은 어렵겠지?
  4. 자녀 출산 후 시작하는 주택 마련 계획: 신혼 때부터 계획해야 해!
  5. 주택을 자산이 아닌 소비재로 인식하는 생각: 집은 그냥 월세 내고 사는 곳이라고 생각하면 안 돼.

6. 돈을 얼마나 모아야 할까?

  • 월급의 절반을 저축해!
    • 사회 초년생 때부터 월급의 50%를 저축하면 집 마련 성공 가능성이 높아진대.
    • 나중에 돌아보면 "그때 절반이라도 저축할 걸" 하고 후회할 수 있대.

7. 대출 규제, 그래도 괜찮을까?

  • 정부 규제는 잠시 숨 고르기: 최근 대출 규제가 강화된 건 사실이야. 집값 상승을 잠시 멈추게 하려는 거지.
  • 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공급: 규제만으로는 집값을 잡기 어렵고, 결국 집을 충분히 공급해야 한대.
  • 대출, 무리하지 마!
    • 내가 살고 싶은 아파트에 대출 없이 전세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자산이 있다면, 대출받아서 사도 괜찮대.
    • 하지만 그보다 더 무리한 대출은 피해야 해.

8. 앞으로 집값은 얼마나 오를까?

  • 장기적으로는 국채 10년물 금리를 참고해!
    • 단기적으로는 금리 변동에 따라 집값이 오르내리지만, 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과 관련이 깊대.
    • 과거 데이터를 보면, 국채 10년물 금리 수준과 비슷한 정도로 집값이 올랐대.
    • 그러니 앞으로 집값 상승률에 대한 기대치를 너무 높게 잡지 않는 게 좋대.

9. 책의 핵심 메시지

  • "결국 당신은 아파트를 사게 된다. 아파트 산다고 벼락 부자 되지 않겠지만 이 메시지를 외면할 경우 미래의 인플레이션의 공격에 당신은 그 대가를 꼭 치르게 될 수도 있다."
  • 이 말은 아파트를 사서 부자가 되라는 뜻이 아니라, 아파트를 제테크 수단으로만 보지 말고, 인플레이션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방어 수단으로 생각하라는 뜻이야.
  • 지금 당장 큰 부자가 되지 못하더라도, 아파트를 제때 마련하지 않으면 미래에 가난해질 수도 있다는 경고인 거지.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