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은 오메가3 그만 먹어도 됩니다 (서울대병원 이승훈 교수)
지방, 너 정말 뭘까? (중학생 눈높이 설명)
세상 모든 지식을 파헤치는 언더스탠딩, 오늘은 지방에 대해 알아볼 거야!
살다 보면 "이런 것까지 알아야 하나?" 싶은 지식들을 만나게 되잖아? 근데 사실 인생에서 진짜 중요한 건, 남들이 모르는 걸 알 때 오는 짜릿함과 가치라고 생각해. 그래서 오늘은 좀 어려운 얘기지만, 최대한 쉽게 풀어볼게!
지방, 무조건 나쁜 걸까?
"지방은 몸에 나쁘다!"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거야. 물론 너무 많이 먹으면 살도 찌고 안 좋지만, 사실 지방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야. 심장이나 근육이 움직이려면 에너지가 필요한데, 평소에는 이 에너지를 지방에서 많이 얻어. 마치 우리 몸의 중요한 에너지 창고 같은 거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기본 구조는 비슷해!
우리가 먹는 밥(탄수화물), 고기(단백질), 기름(지방)은 모두 탄소, 수소, 산소로 이루어진 유기 화합물이야.
- 탄수화물: 밥이나 빵처럼 포도당 같은 기본 단위들이 길게 연결된 거야. 이걸 우리 몸에서 잘게 부숴서 에너지로 쓰는 거지.
- 단백질: 고기나 콩에 들어있는 단백질은 아미노산이라는 기본 단위들이 연결된 거야. 이걸 우리 몸에서 아미노산으로 부숴서 근육이나 여러 기관을 만드는 데 써.
- 지방: 지방은 좀 더 간단한 구조인데, 기본적으로 중성 지방이라는 형태로 존재해. 이름처럼 전기가 잘 안 통하는 기름 같은 성분이지.
지방, 왜 복잡하게 저장될까?
지방은 다른 영양소랑 다르게 우리 몸에서 흡수될 때 좀 복잡한 과정을 거쳐. 기름이라 물에 잘 안 녹기 때문에, 우리 몸은 이걸 킬로미크론이라는 택배 상자에 담아서 혈액으로 보내. 마치 물에 녹지 않는 물건을 상자에 담아 배달하는 것처럼 말이야.
이 택배 상자는 간이나 다른 세포로 가서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나중에 쓸 수 있도록 다시 중성 지방 형태로 저장돼.
포화 지방산 vs 불포화 지방산: 뭐가 다를까?
지방산은 지방을 이루는 작은 조각인데, 이 지방산에 이중 결합이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포화 지방산과 불포화 지방산으로 나뉘어.
- 포화 지방산: 이중 결합이 없이 탄소들이 쭉 일렬로 연결된 모양이야. 마치 빳빳한 막대기 같지. 주로 육상 동물에 많아.
- 불포화 지방산: 탄소 사이에 이중 결합이 있어서 모양이 꺾여 있어. 마치 꺾인 레고 블록 같지. 이 꺾인 모양 때문에 세포막을 더 유연하게 만들어줘.
오메가-3, 왜 중요할까?
오메가-3는 불포화 지방산의 일종인데, 특히 이중 결합이 여러 개 있어서 모양이 많이 꺾여 있어. 우리 몸은 이 꺾인 지방산을 만들지 못하기 때문에 꼭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해.
- 중요한 역할:
- 세포막 만들기: 우리 몸의 모든 세포는 세포막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이 세포막을 만들 때 불포화 지방산이 꼭 필요해. 특히 뇌나 눈처럼 유연해야 하는 곳에서는 더 중요하지.
- 염증 줄이기: 우리 몸에서 염증 반응이 과하게 일어나면 오히려 우리 몸을 해칠 수 있는데, 오메가-3는 이런 염증 반응을 줄여주는 역할을 해.
어디에 많을까?
- 해조류: 김, 미역 같은 해조류에 오메가-3가 풍부해.
- 등푸른 생선: 고등어, 삼치 같은 등푸른 생선에 많아.
- 일부 식물: 호두, 치아씨드, 들깨 등에도 들어있어.
주의할 점:
- 과다 섭취: 너무 많이 먹으면 출혈 위험이 높아지거나 소화 불량이 생길 수 있어.
- 옥수수 기름: 옥수수 기름에도 오메가-3가 들어있지만, 튀기거나 가공하는 과정에서 트랜스 지방이 생길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해.
트랜스 지방: 최악의 지방!
트랜스 지방은 원래 자연에는 거의 없고, 주로 기름을 고온에서 튀기거나 가공할 때 만들어져. 이중 결합이 있지만, 모양이 꺾이지 않고 오히려 포화 지방산처럼 빳빳하게 굳어버리는 성질이 있어.
- 나쁜 이유:
- 몸에 쌓임: 우리 몸에서 잘 분해되지 않고 쌓여서 염증을 일으키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높여.
- 필요 없음: 우리 몸에 전혀 필요 없는 성분이야.
결론적으로,
지방은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지만, 어떤 지방을 어떻게 먹느냐가 중요해.
- 불포화 지방산 (특히 오메가-3): 세포막을 유연하게 하고 염증을 줄여주는 좋은 지방이야. 해조류나 등푸른 생선을 통해 충분히 섭취하는 게 좋아.
- 포화 지방산: 적당량은 필요하지만, 너무 많이 먹으면 좋지 않아.
- 트랜스 지방: 절대 피해야 할 나쁜 지방이야. 튀긴 음식이나 과자 등을 먹을 때 조심해야 해.
다음 시간에는 콜레스테롤과 스타틴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 테니 기대해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