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이 방법 하나면 암기 걱정 끝! 능동감각 Anki 완벽 활용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암기 100점 받는 비법 공개! (중학생도 이해 가능)

"암기는 무조건 외우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했던 나도 이걸 깨닫고 나서는 암기 때문에 틀린 적이 단 한 번도 없어! 심지어 엄청 집중 안 해도 저절로 외워진다고. 의대에서도 상위 10% 안에 들었고, 작년에만 150명 넘는 수험생이랑 의대생들 공부 도와줬어.

왜 암기가 중요할까?

솔직히 수학, 과학만 좋아하는 이과생들은 암기 싫어하잖아. "이해하면 기억되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할 수 있는데, 사실 이해할 게 없는 과목들도 많아. 특히 의대나 고등학교 내신 중에 그런 게 많지. 나도 의대 공부 시작하기 전에 엄청 두려웠어. 매주 시험인데 2~3천 페이지를 외워야 하고, 한 번이라도 과락하면 1년 유급이라니... 고등학교 내신 외우는 것도 힘들었던 나인데 말이야.

그래서 나는 암기라는 녀석을 어떻게 해결할까 엄청 고민했어. 그리고 나만의 방법을 깨닫고 나서는 암기 때문에 틀린 적은 없었어. 물론 "이걸 외워야겠다"는 생각 자체를 못 해서 틀린 적은 있지만, 외우기로 결심했는데 시험장에서 생각이 안 난 적은 없었다는 거지.

내가 쓰는 암기 비법: Anki (앙키)

나는 Anki라는 앱을 써서 암기했어. 귀찮으면 그냥 메모장에 앞에는 질문, 뒤에는 답을 적어도 똑같아. 이건 광고 아니고, Anki는 무료야! 컴퓨터랑 휴대폰 둘 다 설치해서 쓸 수 있고, 연동도 돼서 컴퓨터로 입력하고 휴대폰으로 보면 편해.

사용법은 유튜브에 많으니까, 오늘은 실제로 외우는 방법에 집중해서 말해줄게.

1단계: 공부한 내용을 질문으로 만들기

하루 공부 끝나고 오늘 외울 내용을 정리해 봐. 그리고 외울 내용을 한 문장으로 간단한 문제로 만들어. 시험 문제처럼 딱딱하게 만들 필요는 없어.

예시: "코끼리는 다리가 네 개고 코가 길다" 라는 내용을 배웠다면?

  • 질문: 코가 길고 다리가 네 개인 동물은?
  • 답: 코끼리

이렇게 앞면에 질문, 뒷면에 답을 적는 거야. 나중에 앞면 질문을 보고 뒷면 답을 맞추는 거지. 시험에서 어떻게 물어보는지 참고해서 질문을 만들면 더 좋아. 예를 들어 다리 개수를 자주 물어보면, "다리가 네 개인 동물은?", "다리가 여덟 개인 동물은?" 이런 식으로 묶어서 만들어도 돼.

이렇게 오늘 배운 내용 중에 외울 걸 다 질문으로 바꿔서 Anki에 적어두면, 오늘 복습은 끝! 편하게 자면 돼. 쉽지?

2단계: 틈 날 때마다 휴대폰으로 보기

복습은 다음 날부터 자투리 시간에 하면 돼. 휴대폰으로 Anki 앱을 켜면 오늘 볼 문제가 자동으로 준비되어 있어. 눌러서 하나씩 풀어봐.

어제 질문으로 만들어 놨기 때문에 엄청 집중해서 풀 필요 없어. 그냥 집중 안 될 때, 이동할 때, 폰 보는 척하면서 공부하면 돼. 문제를 읽고 혼자 답을 떠올려보다가 안 되면 뒤에 답을 보고. 틀린 문제는 앱에서 자동으로 더 자주 보여주니까 언제 복습할지 고민할 필요도 없어. 그냥 폰 보는 걸 까먹지만 않으면 돼!

왜 이 방법이 효과적일까?

이 방법은 엄청 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암기의 원리가 많이 들어있어.

  1. 능동적으로 생각하게 만들어: 공부한 내용을 질문으로 만들 때, "어떤 내용이 시험에 나올까?", "시험에서 어떻게 물어볼까?" 스스로 생각하게 돼. 이걸 내 말로 바꿔 적으면서 다시 한번 아웃풋하는 거지. 질문을 만들면서 총 세 번의 능동적인 생각을 하게 되는 거야.
  2. 머리를 쓰게 만들어: 이동 시간이나 쉴 때 폰으로 문제를 보면, 답을 스스로 생각해야 하잖아. 그냥 단어장처럼 쭉 읽는 것보다 훨씬 효과적이야. 고민하다가 답을 딱 보면 기억이 더 잘 돼.
  3. 주기적인 복습을 자동으로 해줘: Anki 앱에는 스페이싱 효과(Spaced Repetition)라는 원리가 적용되어 있어. 맞춘 문제는 더 오래 뒤에 보여주고, 틀린 문제는 더 자주 보여주는 식으로 복습 주기를 자동으로 조절해줘. 따로 계획할 필요 없이 앱이 알아서 해주니까 편해.

이런 원리들 때문에 Anki로 두세 번만 복습하면 안 외워질 수가 없어. 나는 의대 시험 볼 때 질문지를 100~200개 정도 만들었는데, 시험 당일 아침에 지하철 타고 가면서 다 볼 수 있었어. 당연히 시험 결과도 좋았지!

가장 중요한 건 태도!

사실 Anki 앱 자체보다 더 중요한 건 아웃풋을 많이 해야 잘 외워진다는 원리야. 내가 지난 영상에서 말했던 능동 학습이랑 같은 맥락이지.

암기법으로 1474 공부법이나 842 공부법 같은 걸 많이 말하는데, 이런 복습 주기나 회독 계획도 중요하지만,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태도가 훨씬 더 중요해. 헬스할 때 운동 루틴도 중요하지만, 자세가 더 중요한 것처럼 말이야.

오늘은 능동적으로 지식을 꺼내 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말해주고 싶었어. 그리고 Anki 앱은 이게 저절로 되게끔 도와주는 도구인 거지.

오늘 영상은 여기까지야. 더 자세한 공부법은 아래 링크에 내가 의대 입학할 때 썼던 공부법을 총 정리해 놓은 글이 있으니 꼭 읽어봐! 도움이 될 거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