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한 아이로 키우는 비밀! 2부 ‘잘 노는 아이’ 집중 탐구”
아이와 함께 잘 노는 법: 똑똑함보다 행복한 아이로 키우기
아이는 태어날 때부터 세상을 탐험할 능력을 가지고 태어나. 보고, 듣고, 만지는 모든 경험이 아이에게는 신기한 자극이 되지. 그런데 아이가 노는 걸 보면 걱정하는 부모님들도 많아. '이게 쓸데없는 시간은 아닐까?' 하고 말이야. 하지만 사실 아이가 놀면서 스스로 배우고 실험하는 거야. 놀이는 아이의 자신감을 키우는 행복한 재능이기도 해.
아빠도 육아 멘토! 놀이의 중요성
얼마 전 평택에서는 아빠들이 모여 아이와 함께 노는 방법을 배웠어. 지퍼팩에 물감을 짜서 벽에 붙이고 손으로 만지며 촉감 놀이를 하는 건데, 아이뿐만 아니라 아빠들도 엄청 집중하는 모습이었지.
육아 멘토 박현규 씨는 바쁜 아빠들도 짧더라도 아이와 집중해서 놀아주는 '퀄리티 타임'이 중요하다고 말했어. 놀이는 아이의 두뇌 발달, 자존감, 정서 발달, 인지 발달, 운동 발달, 언어 발달까지 모두 도와준대. 실제로 세 살 때 놀이를 잘한 아이가 일곱 살 때 정신적인 문제가 적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뇌는 1층(생명), 2층(감정), 3층(이성)으로 나뉘는데, 사고력과 창의력을 담당하는 3층의 전두엽은 5~6세 때 왕성하게 발달해. 이때 호기심을 자극하는 놀이와 상호작용이 전두엽 발달에 큰 도움이 된대.
아이 주도 놀이 vs 부모 주도 놀이
하지만 부모님들은 아이의 반응에 고민하기도 해. 평택의 하준이 아빠는 아이와 놀아주는 게 처음이라 늘 고민이었어. 아이가 아빠와 놀기보다 엄마와 놀고 싶어 하자 서운하기도 했지.
실험 결과, 아이가 원하는 놀이를 할 때 집중력과 몰입도가 훨씬 높았어. 반면 부모가 원하는 놀이를 강요하면 금방 흥미를 잃고 다른 놀이를 찾거나 지루함을 표시했지.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를 할 때 뇌에서는 도파민이 분비되어 성취감과 즐거움을 느끼고, 이는 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대.
장난감보다 중요한 부모의 관심
장난감 마트에서 아이들은 갖고 싶은 장난감을 고르느라 정신이 없어. 하지만 부모님들은 집에 있는 장난감과 비슷하거나 이미 가지고 있는 것을 사주려 하니 아이들은 때를 쓰기도 하지.
그런데 아이들이 새 장난감을 원하는 진짜 이유는 뭘까? 바로 부모와 함께 놀고 싶은 마음, 자신의 마음을 이해받고 싶은 욕구 때문이야. 실험 결과, 아이들은 혼자 놀 때보다 부모와 함께 놀 때 뇌파가 훨씬 활성화되었어. 비싼 장난감보다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아이의 뇌 발달에 더 큰 자극을 준다는 거지.
전통 놀이의 힘
요즘에는 오히려 놀 거리가 적었던 옛날 방식의 놀이가 아이 발달에 좋다고 주목받고 있어. 부산의 육아 지원 센터에서는 전통 놀이를 통해 아이와 부모가 교감하는 시간을 가졌어.
'단동 십지' 같은 전통 놀이는 아이의 신체 발달, 소근육 발달, 두뇌 자극, 정서 발달에 모두 도움이 된대. 특히 몸을 움직이는 놀이는 뇌 활성화를 높여 지능 발달에도 좋다고 해. 큰 아이들이 동생들에게 놀이를 알려주며 사회성과 자신감을 키우는 모습도 볼 수 있었어.
디지털 기기,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디지털 기기는 아이들의 흥미를 끌지만, 너무 이른 노출은 좋지 않아. 빠른 자극에만 반응하게 되어 장기 기억력, 인내심, 자기 조절 능력이 떨어질 수 있거든.
하지만 피할 수 없다면 부모와 함께 보는 것이 중요해. 영상 내용을 함께 이야기하고 새로운 단어를 짚어주면 아이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실험 결과, 부모와 상호작용하며 영상을 본 아이들이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학습 효과가 더 높았지.
너무 이른 학습은 금물! 적기 교육의 중요성
요즘은 아이들이 또래보다 뒤처질까 봐 일찍부터 학습을 시키는 경우가 많아. 하지만 아이의 뇌 발달 시기에 맞지 않는 무리한 학습은 오히려 뇌 발달을 방해할 수 있어.
아이가 흥미를 느끼기 시작했을 때, 부모는 아이의 자율성에 맡기고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켜봐 주는 것이 중요해. 똑똑한 아이보다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아이가 필요로 하는 놀이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이 중요해.
함께 놀 때 빛나는 아이들
결론적으로, 아이와 함께 잘 노는 것이 아이의 뇌 발달과 행복에 가장 중요해. 대단한 놀거리가 아니더라도 아이가 좋아하는 놀이로 교감하고, 혼자보다 여럿이 함께 놀 때 아이는 더 큰 성장과 행복을 얻을 수 있어. 잘 노는 아이는 자존감이 높고 유능감을 느끼며 행복한 아이로 자랄 수 있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