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OpenAI 창업자, 실리콘밸리 엘리트들과 치열하게 일하며 깨달은 '삶의 의미' | Netflix Gen AI 개발자 Kyle Ahn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넷플릭스 개발자, 타입안의 성장 스토리

1. 넷플릭스 입사 전

  • 한국에서의 학창 시절: 공부가 어려워 해외 유학을 결심. 부모님의 믿음 덕분에 캐나다로 떠남.
  • 캐나다에서의 대학 생활: 공부보다는 놀면서 영어를 익혔고, 성적은 좋지 않았음.
  • 철들게 된 계기: 한국에 돌아와 부모님이 자신을 위해 집을 파셨다는 사실을 알고 충격. 부모님의 희생에 보답하기 위해 열심히 살기로 결심.
  • 첫 창업 도전 (언더스텝): 눈 치우는 사람과 집주인을 연결해주는 서비스 개발. 경력 한 줄을 쌓기 위한 프로젝트였지만, 글로벌 스타트업 어워드에서 수상.
  • 제조업 회사 근무 (프라이스 인더스트리): 현실적인 이유(더 높은 연봉, 캐나다 거주)로 제조업 회사에 입사. 풀스택 개발자로 시작하여 1년마다 머신러닝 엔지니어, 데이터 아키텍트로 직책 변경.
    • 성장의 계기: 아무것도 없는 자신을 뽑아준 회사에 대한 감사함으로, 가장 어렵고 하기 싫은 프로젝트에 자원. 밤새워 공부하고 사람들에게 물어보며 문제를 해결. 결국 프로젝트 성공으로 이어짐.
  • 오픈AI에서의 경험: 창립 멤버들의 뛰어난 능력에 자격지심을 느끼며 겸손함을 배움.
    • 빠른 성과 창출: 똑똑하지 못하다면 빠르게 성과를 내자는 생각으로, 데이터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절반의 기간으로 단축. 상사로부터 "기대 이상"이라는 평가와 함께 연봉 인상.
    • 연구 프로젝트 도전: 연구가 필요한 프로젝트에 자원했으나, 부족한 실력으로 어려움을 겪음. CTO, CEO에게 직접 피드백을 요청하며 방향성을 잡고, 매일 리서치 리포트를 작성. 결국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오픈AI 추천서까지 받음.

2. 넷플릭스 입사 후

  • 넷플릭스 지원 이유: 빅테크 기업 경험을 통해 무엇이 다른지 직접 느껴보고 싶어서.
  • 면접 과정: 8~9개의 면접을 거쳤지만, 마치 함께 일하고 싶은 사람을 뽑는 대화처럼 느껴짐. 코딩 면접, 시스템 디자인 면접, 문화 면접 등 다양한 과정을 통해 넷플릭스의 '자유와 책임' 문화를 체감.
  • 강렬했던 피드백: 팀 멤버로부터 "너는 사람들과 맞춰가는 법을 배워야 해. 이게 넷플릭스 방식이야."라는 직설적인 피드백을 받음. 처음에는 위축되었지만, 피드백의 본질을 파악하고 개선하려 노력.
    • 개선 노력: 피드백을 받은 후 바로 월요일에 미팅을 잡아 장문의 문서를 작성하여 자신의 업무를 상세히 설명.
    • 변화: 이러한 노력 덕분에 "너는 변했어. 이제는 잘 맞춰가는 것 같아."라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음. 이 경험을 통해 혼자 일하는 것이 아닌, 팀과 함께 조율하며 나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깨달음.
  • 넷플릭스의 문화 (키퍼 테스트): 함께 일하는 사람이 다른 곳으로 떠날 때, 그 사람을 잡고 싶은지 여부를 수시로 평가하는 문화.
    • 불안과 성찰: 입사 초기에 동료가 키퍼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해 떠나는 것을 보며 불안감을 느낌. 매주 매니저에게 자신의 키퍼 테스트 통과 여부를 질문하며 개선점을 찾으려 노력.
    • 깨달음: 키퍼 테스트는 사람을 겁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스스로 성과와 퍼포먼스를 돌아보게 하는 기회임을 깨달음.

3. 앞으로의 다짐

  • 꿈의 실현과 새로운 목표: 넷플릭스 입사라는 꿈을 이루었지만, 꿈은 끝이 없다는 것을 느낌.
  • 성장 방식: 남들처럼 멋진 방법을 배우기보다는, 한 시간 더 공부하고, 하나 더 해보고, 하나 더 제안하는 '무대포' 방식으로 꾸준히 노력하며 자신을 강하게 만들어갈 것.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