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월세 세액공제와 현금영수증 정리 비법 | 절약 방법 총정리

원본 제목

월세 사시는 분들 '이것' 꼭 챙기세요!😲 | 월세 세액공제 vs 월세 현금영수증

부티비

조회수 조회수 89.4K 좋아요 좋아요 1.3K 게시일 게시일

설명

최근 월세의 가속화가 더욱 빨라졌죠 그로 인해 월세 사시는 분들이 많아졌는데요 월세 사시는 분들이 꼭! 챙겨야 할 '월세 세액공제와 현금영수증'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부티비 구독해주세요👉 http://bitly.kr/QasrImil 출연 및 비즈니스 문의 : butv.realestate@gmail.com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그래서 모티브 라도 & 입니다 요즘 제가 임대차 시장을 보면요 전세에서 월세로 되게 가속화 되기 시작을 했어요 그래서 이미 시장은 월세와 됐고 월세에 장점도 분명히 있습니다 월세를 살면서도 어떤 3 동적인 부분에서 절약할 수 있다면 이런 방법들을 알아야 되지 않나 해서 제가 오늘은 두 가지를 준비해 봤어요 월세 3 꿈 제 라는게 있고요 월세 현금영수증 공제 가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요 두개의 대해서 제가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첫번째로 제가 중요한거 뭘 3의 범죄가 월세 현금영수증 못 하는 더 혜택이 많습니다 따로 워야 자격 조건이 일단 무주택 세대주 또는 세대원 해야 되는데 이제 세대주 가 벼락에 어떤 어떠한 부분에서 소득공제를 받지 않은 사람이라면 세대원 도 대상이 된다 라고 되어있어요 그 다음에 총 급여의 대한 제안도 있습니다 1 년 총급여 에게 7000만원 이하 그리고 종합소득금액 6천만원 지 야 라고 어떤 급여 적인 부분에 제안을 뒀어요 그리고 이제 평수에 대한 그 제안 조금도 있습니다 국민주택 규모 전혀 84 제곱 미터 또는 기준시가 3억 이하의 주택 이외 되는 거에요 수도권 외에 도시지역의 읍면지역 이잖아요 이런 쪽은 전형 면접 액적의 m 까지도 가능하다고 하니까 참조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여기에는 반드시 전입신고를 해야 됩니다 자 그럼 월세 현금영수증 은 얘는 특별한 조건은 없습니다 월세 계약자 본인 2 가능하고요 혜택 받을 수 있는 가 능한 응 하고 그 다음에 월세를 소득 없는 직계존비속 가족을 통해서 혜택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집에 몸 특 짜이를 주 정도 없습니다 자 그럼 지금은 조금 자세히 들어가보겠습니다 그래서 아까 소득기준 의제가 7000만원 뭐 종합소득금액 6천만원 이야 이렇게 말씀을 드렸는데 곰이 트롯 1 구간이 더 있어요 총 급여의 5500만원 이아 무주택 근로자 그럼 종합소득금액 4000만원 이야 요 구간이 만들어졌습니다 사실 공제율이 기본 10% 입니다 근데 하나도 만들어진 요구가 는 공제율을 12% 로 했습니다 2% 더 어드밴티지를 중 거예요 그리고 올 셋의 공제 총 한도는 맥스가 750만원 이에요 제가 표를 하나 보여드릴께요 총 9백 3,000 만원 4,000 만원 5,000 5,500 6,000 7,000 있습니다 5,000 만원 와 골라 보겠습니다 12% 봉제를 들어가는거 그래서 월세 에게 30만 원이다 그러면은 여기서는 이제 세액공제를 432,000 원 까지 가능하다고 4 지금 보신 것처럼 여기 표를 보시면 금방 개선이 가능하실 거에요 자 그러면 현금영수증 부분을 볼게요 현금영수증 부분은 월세만 앞에 붙어진 사실 현금영수증의 혜택을 고대로 받는 것을 생각하면 베어 그래서 내가 받는 총급여 에게 25% 금액을 초과 했을 때 카드와 현금 요석 영수증 사용금액이 그 초가 부분에 한해 3만 공제를 해 줄게 그 초가 부분에 15% 도 30% 의 한해서만 공제를 해 주겠다 이겁니다 자제 예를 들어볼게요 총 급여의 7천만 원이 있다 월세를 60만원 해요 일 년에 얼마를 내는 거죠 7개 20만 원 이에요 그 다음에 이 사람이 신용카드를 2000만원을 사용해 때요 그랬을 때 7000만원에 25% 가 1,750 만원 이 되는거예요 그럼 이 초과 분을 볼게요 어차피 이 사람은 월세를 720만원 1년 동안 썼고 신용카드를 1년 동안 2천만 있었기 때문에 어촌 급여의 25% 인 1,750 만원 은 초가 됐어요 공제율이 낮은 신용카드 부터 까지 입니다 그런데 얘는 2천만 원 썼기 때문에 1,750만원 을 다 깔 수 있는거예요 그래서 2배의 10만원이 신용카드로 남구요 월 쇠가 7색 20만 원이 남아 있는 거예요 250만원에 는 10% 공제 250의 15% 니까 0.

2 로 를 곱한 금액이 나오고요 그 다음에 720만원 에는 30% 공제 적 0.

3 을 곱한 금액이 나와서 총 1개 635,000원 이라는 금액을 적 만들어줘요 얘는 세계에서 바로 빼는게 아니라 이 사람이 소득세를 낼 때 소득 세율이 곱해 졌던 과세표준 금액 에서 요거를 차감을 해줘요 자 그러면 신청 방법을 가르 조 2 월세 현금영수증 같은 경우에는요 현금영수증 같은 경우에는 자동으로 되는게 아니라 여러분이 반드시 홈택스 에서 월세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을 해야 됩니다 그 다음에 간수와 자료 제출을 하시면 되는 거에요 그리고 월세 3 공제 같은 경우에는 연말 정산 때 여기 필요한 서류를 회사에 제출 하시면 되요 보통 주민등록 등본 하고 월세 계약서 4번 올 3 이체 영수 중입니다 자 여기 체 영수증 같은 경우에 제가 말씀을 이제 드렸어요 바로 임차인과 임대인 의 명의가 계약서 상에 나와있는 당사자 의 가 맞아 떨어져야 돼요 부합해야 됩니다 그리고요 어 두개다 모이세 공제를 1 서두 공주의 모두가 집주인의 동의를 필요하지 않습니다 아 근데 엔딩이 예 제가 계약서 를 쓰는데 어우 레 임 대인이 앤님 채널 봐서 그런지 특약을 엄청 적더라구요 그런데 그 특이한 아내 소득 공제를 받거나 그 다음에 세액공제를 받지 않도록 특약을 딱 만들어 놓은 거에요 저는 그럼 하면 안되겠네요 라고 저한테 물어 보실 수 있어요 국가가 이렇게 얘기를 했습니다 특약에 그런 내용이 있어도 상관없다 얘기를 했으니 여러분 임차인 분들은 그냥 이렇게 하셔 가지고 혜택 받으시면 됩니다 그리고요 세무서를 1조 방문해도 돼요 그리고 우편 접수를 해도 된다고 하는데 저같은 경우에는 솔직히 말씀드리면 홈텍스 가 편한 것 같아요 자 그리고 지금 두 가지의 테를지 말씀드렸어요 어 그렇다면 날은 두 조건의 다해 등이 되게 빼니까 라는 두 개를 다 받을 수 있을까 그래서 정부는 얘기를 합니다 중복은 안 된다고 되게 다 가능하다면 어떤 곳을 선택하신 라 3 궁전을 좋다라고 제가 답을 드리는 거예요 아 그리고 지금 제가 혜택을 2개 말씀드렸는데 하나는 세액공제 고 1 다른 하나는 후도 공제 였습니다 현금영수증 그죠 그래서 현금영수증 처리 하는 경우에는 지금으로부터 3년 이내에 신고 가능합니다 그러니까 3년 이내 라는 것은 뭡니까 우리 갑옷 톰 임대차 기간을 한번 인연이 잖아요 그럼 2년 동안은 신고를 할 필요 없는가 왜 잘못했다가는 막말로 임대 이라고 사이가 나빠질 수 있어 근데 이 년 지나서 제가요 3년이 아직 안 됐기 때문에 신고를 해서 혜택을 볼 수도 있다 걱정 하지 마시라는 겁니다 자 그리고 3 봉제 같은 경우에는 경정청구 도 할 수가 있어요 그래서 최대 5년까지 가능 하다고 합니다 그럼 예를 들어 볼게요 그럼 이 추념식 2016년 1월부터 12일까지 소득이 있다 2016년 도 분은 언제 내죠 20 2017년 도 5월 31일까지 내조 이 심히 5월 31일까지 그 안에 m 은 경정청구를 할 수 있다 라고 알아 2시면 됩니다 자 경 종종 구도 홈택스 에 접수해서 들어가면 됩니다 월세 현금영수증 같은 경우에는 밭은 현금영수증 발급 신청을 한 다음에 경정청구를 해야된다 순서가 그렇다 그렇게 알아두시면 좋을것 같아요 자 여러분 잘 보셨죠 어 전세에서 월세로 가속화되면서 월세의 비중이 많이 늘어났습니다 월세도 과거에 비해서는 많은 부담이 됐어요 그러나 우리는 계속 부동산 생활을 할 수밖에 없습니다 집이 없이 어떻게 살겠습니까 하지만 이렇게 곳곳에 숨겨진 국가가 주는 혜택을 찾아서 사용한다면 선물한 이 선물이 들어 올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생겼으면 좋겠다 이런 말씀을 드리면서 5 영상 마치겠습니다 오늘 영상도 좋으셨다면 구독 좋아요 알림 버튼까지 부탁드리겠습니다 [음악]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최근 임대차 시장은 전세에서 월세로 빠르게 바뀌고 있어요.

2. 월세의 장점도 많아서 절약 방법을 알아야 해요.

3. 오늘은 월세 관련 두 가지 혜택을 소개할게요.

4. 하나는 월세 현금영수증 공제이고, 다른 하나는 월세 3% 공제입니다.

5. 현금영수증 공제는 무주택 세대주 또는 세대원이 가능해요.

6. 소득 기준은 연봉 7천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6천만원 이하입니다.

7. 국민주택 규모 또는 기준시가 3억 이하 주택이 대상이에요.

8. 수도권 외 읍면지역도 가능하며, 전입신고를 꼭 해야 해요.

9. 월세 영수증은 별도 신청 없이 자동으로 발급받을 수 없어요.

10. 홈택스에서 신청 후 자료를 제출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11. 월세 3% 공제는 연말 정산 때 서류를 제출하면 돼요.

12. 필요 서류는 주민등록등본과 계약서, 영수증입니다.

13. 계약서에는 임차인과 임대인 이름이 정확히 일치해야 해요.

14. 혜택은 집주인 동의 없이도 받을 수 있어요.

15. 특약이 있더라도 정부는 인정해줍니다.

16. 세무서 방문이나 우편, 홈택스에서 신청 가능해요.

17. 두 혜택은 중복 가능하지만, 둘 다 받을 수는 없어요.

18. 혜택은 3년 이내 신고하면 돼요.

19. 3년이 지나도 경정청구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20. 예를 들어 2016년 소득도 5월 31일 이전에 경정청구 가능해요.

21. 홈택스에서 신청 후 경정청구 절차를 따르면 돼요.

22. 전세에서 월세로 넘어가면서 월세 비중이 늘고 있어요.

23. 월세도 부담이 크지만, 혜택을 잘 활용하면 좋아요.

24. 정부가 준 혜택을 잘 챙기면 절약할 수 있어요.

25. 오늘 영상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알림 설정 부탁드려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