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세부 내용 암기 팁+객관식 문제풀이 비법! 합격 속도 2배 높이는 노하우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객관식 문제 잘 푸는 법 (중학생 눈높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객관식 문제 잘 푸는 방법을 알려줄게요. 총 3가지로 나눠서 설명할 건데,

  1. 암기법이랑 같이 객관식 문제 어떻게 푸는지
  2. 평소에 객관식 문제 어떻게 연습해야 하는지
  3. 실전에서 객관식 문제 빨리 푸는 방법

이 세 가지를 알려줄게.

1. 암기법이랑 같이 객관식 문제 풀기

지난 시간에 배웠던 암기법을 객관식 문제에 어떻게 적용하는지 보여줄게.

1. 책에 형광펜으로 밑줄 긋기:

  • 공부할 부분을 미리 정해두면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쉬워. 머릿속에 공부할 내용들을 정리하는 서랍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돼.

2. 기출문제 분석:

  • 문제 분석: 17번, 18번 문제를 보면 고대 문명에 대한 설명이 나와. 17번까지는 고대 문화에 대한 내용이 없다가 18번부터 나오기 시작했지? 이걸 보면 19년 시험에는 고대 문화도 공부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어.
  • 해설 분석: 해설에 빨간색으로 밑줄 친 부분은 기본서에 없는 내용이야. 이런 부분은 기본서에 옮겨 적어서 '단권화'를 해야 해.

3. 나만의 방식으로 외우기 (두문자 말고 스토리텔링!):

  • 두문자: '설도 5 2 자'처럼 두문자를 따서 외우는 방법도 있지만, 이건 나중에 다시 생각해야 하고 해독하는 과정도 필요해서 외울 게 두 배가 돼. 그래서 두문자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쓰는 게 좋아.
  • 스토리텔링: 우리가 가봤던 곳이나 겪었던 일은 잘 안 잊어버리잖아? 공부할 내용도 이미지나 스토리를 만들어서 외우면 훨씬 쉬워.
    • 예시 (수메르 문명):
      • 준비 단계: 문자를 만들고, 문서가 쌓여 도서관이 생겼어. (준비 단계에서 3가지)
      • 정복 단계: 왕이 나와서 전쟁으로 이웃 나라를 지배했어. (정복 단계는 전쟁!)
      • 정비 단계: 정복한 지역의 도량형을 통일하고, 학교를 세워서 사람들을 가르쳤어. 백과사전과 법전까지 만들었지. (정비 단계에서 교육, 시스템 정비)
    • 이렇게 '준비 - 정복 - 정비'라는 큰 흐름으로 스토리를 만들면 기억하기 쉬워.
  • 핵심만 기억하기: 모든 내용을 다 외우려고 하지 마. 객관식은 문제에서 힌트를 주기 때문에, 핵심 키워드만 기억하고 있다가 문제에서 힌트를 받으면 답을 찾을 수 있어. 예를 들어, '수메르 문명' 하면 '문자, 문서, 도서관, 전쟁, 도량형 통일, 학교, 백과사전, 법전' 같은 키워드를 떠올리면 돼.

4. 강의 활용:

  • 강의는 책에 없는 내용이나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을 보충하는 용도로 활용해야 해. 책에 다 나와 있는 내용을 그대로 읽어주는 강의는 들을 필요가 없어. 강사가 '나만의 스토리'나 '핵심 포인트'를 잘 짚어주는 강의를 듣는 게 좋아.

5. 책 정리:

  • 책에 내용을 읽고 나서, 중요한 부분은 짧게 요약해서 적어두자. 예를 들어, '준비, 정복, 정비'처럼 큰 흐름을 적고, 각 단계별 핵심 키워드를 표시해두는 거지.
  • 기출문제에서 나왔던 중요한 단어들만 따로 표시해두면 나중에 복습할 때 훨씬 효율적이야.

2. 평소에 객관식 문제 연습하기

  • 문제집은 깨끗하게: 문제집에 이것저것 많이 적어두면 나중에 뭐가 중요한지 헷갈려. 문제집은 내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 테스트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틀린 부분이나 헷갈리는 부분은 따로 연습장에 정리하는 게 좋아.
  • 눈으로 풀기: 대부분의 문제는 눈으로만 풀어도 충분해. 어려운 문제만 따로 연습장에 메모해서 풀어보자.

3. 실전에서 객관식 문제 빨리 풀기

  • 시험장 갈 때: 답을 표시해둔 문제집을 가져가서 마지막으로 훑어보는 게 좋아. 시험 전에 워밍업이 되는 거지.
  • 문제 풀이 순서: 문제를 받으면 1번부터 순서대로 풀지 마. 내가 바로 풀 수 있는 문제, 즉 내가 공부한 내용과 관련된 문제가 나오면 바로 풀어.
  • 모르는 문제는 과감히 넘어가기: 바로 풀 수 없는 문제는 동그라미를 쳐두고 나중에 풀자. 정답이라고 생각되는 문제들은 체크만 해두고 넘어가. 객관식은 100% 확신보다는 80% 정도 확신으로 넘어가고, 다시 볼 때 90% 확신으로 올리는 게 속도에 도움이 돼.
  • '쓰레기통' 활용: 내가 틀려도 되는 문제 개수를 정해두고, 그 문제들은 '쓰레기통'에 넣는다고 생각하자. 예를 들어, 100문제 중에 80문제만 맞춰도 합격이라면, 20문제는 틀려도 된다고 생각하고 부담 없이 풀어. 이렇게 하면 내가 풀 수 있는 문제에 집중할 수 있고, 시간 관리도 훨씬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핵심 정리:

  • 객관식은 많은 양을 외우기보다 핵심을 파악하고 스토리를 만드는 것이 중요해.
  • 평소에는 문제집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내가 얼마나 알고 있는지 테스트하는 용도로만 사용하자.
  • 실전에서는 내가 풀 수 있는 문제부터 빠르게 풀고, 모르는 문제는 과감히 넘어가자.

이렇게 공부하면 훨씬 즐겁고 효율적으로 객관식 문제를 풀 수 있을 거야! 다음 시간에는 서술형, 주관식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해 알려줄게. 파이팅!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