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산책길에서 만난 충격적인 세계 굶주림 이야기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오늘은 장 지글러의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라는 책을 소개했어요.
- 이 책은 1999년 프랑스에서 출간됐고, 2007년 우리나라에 번역됐어요.
- 많은 사람들이 읽는 베스트셀러이며, 서울대 수험생들이 좋아하는 책이에요.
- 하지만 100년이 넘은 어린이날과 모순된 점도 많았어요.
- 세상은 20년이 지나도 달라지지 않았어요.
- 진심으로 도움을 주고 싶어도 구조적 문제 때문에 쉽지 않아요.
- 결국 인간의 이기심과 무관심이 기아 문제의 핵심 원인입니다.
- 기후 변화, 전쟁, 부패도 모두 인간이 만든 문제예요.
- 저도 한 인간으로서 부끄럽고 미안한 마음이 들었어요.
- 저자가 말하는 결론은 희망을 갖고 노력하자는 것이에요.
- 아직도 전 세계 많은 아이들이 굶주리고 있어요.
- 코로나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기아 문제가 더 심각해졌어요.
- 아프리카, 아시아, 동유럽에서도 기아가 계속되고 있어요.
- 특히 소말리아는 내전과 무정부 상태로 고통받고 있어요.
- 2007년 기준 전 세계 기아 인구는 약 8억 5천만 명이었어요.
- 2020년엔 8억 1천만 명으로 늘었어요.
- 기아는 인간의 구조적 문제 때문에 계속되고 있어요.
- 풍부한 식량이 있어도 가난한 사람은 못 먹어요.
- 자연 도태설도 있지만, 인간이 만든 문제라는 생각이 강했어요.
- 난민 캠프에서 아이들이 고통받는 모습이 가슴 아팠어요.
- 기아는 구조적과 경제적 두 가지로 나뉘어요.
- 구조적 기아는 장기적 공급 부족에서 오고요.
- 경제적 기아는 갑작스런 위기 때문에 생겨나요.
- 전쟁이나 가뭄이 대표적 원인입니다.
- 정치인들이 문제를 숨기거나 무시하는 것도 문제예요.
- 구호 물품을 아무리 줘도 바로 먹지 못하는 아이들도 있어요.
- 식량 배급이 제대로 안 되고, 부패와 정치적 문제도 있어요.
- 국제기구의 도움도 있지만, 한계가 많아요.
- 강대국의 이익과 갈등이 도움을 어렵게 만들어요.
- 기아 문제 해결은 교육과 인프라 개선이 중요해요.
- 학교 교육이 기아 문제를 가르치지 않는 것도 문제죠.
- 광고도 감정만 자극하는 경우가 많아서 아쉬웠어요.
- 기후 변화와 환경 파괴도 큰 원인입니다.
- 탄소중립과 환경 보호 노력이 필요해요.
- 작은 실천들이 모여 기후변화 해결에 도움 될 수 있어요.
- 기아 해결을 위해선 인도적 조치, 국가 지원, 인프라 정비가 필요해요.
- 부패와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중요해요.
- 강대국들이 어려운 나라를 계속 압박하는 것도 문제입니다.
- 인프라와 자급자족이 기아 해결의 핵심이에요.
- 돈이 없거나 부패한 정부는 도움을 받기 어렵죠.
- 인간의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게 중요해요.
- 기아 문제는 해결이 어렵지만, 작은 도움도 필요해요.
- 오늘 산책길에 책을 통해 많은 것을 배웠어요.
- 모두가 함께 노력하면 기아 문제를 조금씩 해결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