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상속인 필수 체크! 상속세보다 중요한 실무 절차 완벽 가이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부모님 돌아가셨을 때 상속세 폭탄 피하는 법!

상속받을 재산이 많으면 싸움이 난다는 말이 있어. 30억 넘으면 싸우고, 50억 넘으면 경찰 부르고, 100억 넘으면 걱정해서 본다는 우스갯소리도 있잖아. 요즘은 집 한 채만 서울 수도권에 있어도 상속세가 꽤 많이 나올 수 있어.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슬픔에 잠겨서 나중에 상속세 폭탄을 맞고 더 힘들어지는 경우가 많대. 그래서 오늘은 상속세 전문가 이장원 세무사님과 함께 상속세 폭탄을 피하는 방법을 알아볼 거야.

1. 장례식장 영수증부터 챙겨!

  • 장례식장 비용은 상속세 신고할 때 경비로 처리돼.
  • 최대 1천만 원까지 인정되니까 영수증 꼭 챙겨두자.
  • 자연장지나 수목장 비용도 500만 원까지 경비 처리 가능해.

2. 사망 신고할 때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꼭 신청해!

  • 사망 신고하러 갈 때 주민센터나 구청에 가서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신청한다고 말하면 돼.
  • 이 서비스를 신청하면 돌아가신 분의 재산, 빚, 토지, 건물, 자동차 내역 등을 한눈에 알 수 있어.
  • 은행 잔액도 알려주는데, 이건 상속인들이 직접 은행에 가서 서류를 받아야 해. 상속인끼리 위임장을 주고받아서 한 명이 가는 게 좋아.

3. 부모님 휴대폰은 함부로 해지하지 마!

  • 휴대폰 번호를 승계받으면 좋은 점이 세 가지나 있어.
    1. 추억: 돌아가신 부모님이 찍어주신 사진이나 영상을 볼 수 있어.
    2. 부고 알림: 해외에 있는 친척이나 친구들에게 부고를 알리기 편리해.
    3. 채권 채무 확인: 메신저나 통화 기록으로 돈을 빌려줬거나 받아야 할 사람들을 확인할 수 있어.

4. 상속 포기나 한정 승인은 3개월 안에 결정해야 해!

  • 부모님 재산보다 빚이 훨씬 많으면 상속을 포기하거나 한정 승인(받은 재산만큼만 빚 갚기)을 해야 해.
  • 이 결정은 돌아가신 날로부터 3개월 안에 해야 하니까, 재산과 빚을 꼼꼼히 따져봐야 해.
  • 보통 배우자나 자녀 중 한 명이 한정 승인을 받아서 상속을 마무리하는 경우가 많아.

5. 부동산 상속, 지분 분배를 잘해야 해!

  • 부동산을 상속받을 때 상속인들의 주택 수를 고려해야 해. 지분을 조금이라도 받으면 무주택자 혜택을 못 받을 수도 있거든.
  • 취득세도 중요한데, 무주택자가 상속받으면 취득세가 훨씬 적게 나와.
  • 그래서 상속인 중 무주택자가 있다면, 그 사람에게 지분을 조금 더 많이 주는 방식으로 분배하면 취득세를 절약할 수 있어.

6. 배우자 상속 공제를 최대한 활용해!

  • 배우자가 있으면 기본 5억 원까지 상속세를 공제받을 수 있고, 최대 30억 원까지도 가능해.
  • 돌아가신 분의 재산 중 일부를 배우자에게 미리 상속시켜서 배우자 상속 공제를 최대한 받는 게 좋아. 이렇게 하면 나중에 배우자가 돌아가셨을 때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어.

7. 10년 치 계좌 내역을 꼼꼼히 확인해야 해!

  • 상속세 신고 전에 10년 치 계좌 내역을 모두 확인해야 해. 폐쇄된 계좌 내역까지 전부 받아야 해.
  • 과거에 증여받은 재산이 있다면 상속 재산에 합산되어 상속세가 더 나올 수 있거든.
  • 증여세는 상속세보다 세율이 낮을 때 미리 하는 게 유리해.

8. 증여는 손주에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 상속인 외의 사람에게 증여할 때는 5년 이내 증여분만 상속 재산에 합산되는데, 손주에게 증여하면 10년 이내 증여분만 합산돼.
  • 요즘은 손주에게 증여하는 경우가 많아. 손주가 대학생이나 사회 초년생이라면 마중물 역할을 해줄 수 있거든.

9. 부동산 가액을 낮추는 방법도 있어!

  • 빌딩이나 땅 같은 비주거용 부동산은 기준 시가로 상속받으면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어.
  • 아파트 같은 경우에도 주변 시세보다 낮게 감정 평가를 받으면 상속세를 줄일 수 있으니, 감정 평가를 꼭 받아보는 게 좋아.

10. 부동산 증여는 신중하게 결정해야 해!

  • 과거에는 부동산 가격 상승을 예상해서 미리 증여하는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은 취득세 부담이 커져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해.
  • 자녀가 세금을 감당할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을 해보고 증여하는 것이 중요해.

부모님이 돌아가시는 건 정말 슬픈 일이지만, 미리 준비하면 상속세 때문에 더 큰 슬픔에 빠지지 않을 수 있어. 이 내용을 잘 기억해두고, 나중에라도 꼭 활용해서 슬픔을 덜어내길 바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