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정리 1 2022 05 02 11 36 51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부동산 시장 분석: 공급 사이클과 정부 정책의 딜레마
부동산 시장을 이해하는 데는 크게 두 가지 관점이 있어. 하나는 장기적인 관점이고, 다른 하나는 공급 중심의 관점이야.
1. 장기적 관점 (인플레이션 헷지)
- 개념: 물가 상승에 대비해서 부동산을 보유하는 거야. 돈의 가치가 떨어지니 실물 자산인 부동산을 사두면 가치가 유지된다는 생각이지.
- 기간: 10년, 20년, 30년 이상 아주 길게 보는 거야.
- 핵심: 인플레이션 헷지 효과를 기대하는 건데, 이건 공급보다 수요가 많을 때 가능해. 즉, 시간이 지나도 공급이 수요를 못 따라갈 때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거지.
- 주의점: 대부분 사람들이 이걸 장기 투자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입지가 훨씬 중요해. 아무리 오래 가지고 있어도 입지가 안 좋으면 큰 의미가 없을 수 있어.
2. 공급 중심 관점 (5년 주기 사이클)
이건 내가 주로 보는 관점인데, 부동산 공급량 변화에 따라 시장이 움직이는 걸 보는 거야.
- 핵심: 정부의 인허가 → 입주 → 공급량 변화 → 시장 가격 변화 이 흐름을 보는 거지.
- 기간: 보통 2.5년 ~ 3년 정도의 인허가 기간을 거쳐 입주가 시작되고, 그 후 3년 정도의 공급 과잉 또는 부족 시기를 거쳐 시장이 움직여. 이걸 합치면 대략 5년 주기로 볼 수 있어.
공급 사이클 단계별 특징
- 상승장 시작: 인허가 증가 → 입주 물량 증가 → 시장 상승
- 과잉 공급: 입주 물량 누적 → 시장 하락 시작
- 하락장: 공급 과잉 → 시장 하락 (지방 소도시일수록 더 심함)
- 회복: 공급 부족 → 시장 회복
지역별 사이클 차이
- 지방 소도시: 사이클이 짧고, 공급 물량에 따라 가격 변동이 커.
- 광역시: 중간 정도의 사이클.
- 수도권: 인구가 많고 수요가 꾸준해서 사이클이 길고, 공급 물량이 나와도 바로 가격이 떨어지지 않아. 공급 물량이 해소된 후에야 가격에 영향을 미쳐.
공급 사이클 예측
- 지방: 보통 2년 전 입주 물량을 보면 예측 가능해.
- 수도권: 3~5년 후 입주 물량을 보면 예측 가능해.
3. 정부 정책의 딜레마: 재개발/재건축과 공급 부족
정부는 부동산 시장 안정을 위해 공급을 늘리려고 해. 그런데 여기서 큰 딜레마가 발생해.
- 문제: 재개발/재건축을 통해 공급을 늘리려면 멸실(기존 주택 철거)이 필요한데, 이게 시장에 단기적인 공급 부족을 일으켜 가격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거야.
- 정부의 고민:
- 공급 부족 해결: 재개발/재건축 규제 완화 → 멸실 증가 → 단기 공급 부족 → 가격 상승
- 가격 안정: 규제 유지 → 공급 부족 심화 → 가격 상승
- 결론: 정부는 공급 부족을 해결하면서도 가격을 안정시키려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어.
4. 재개발/재건축의 순서와 영향력
멸실로 인한 공급 부족 효과는 어떤 방식의 개발이냐에 따라 달라져.
-
영향력 순서 (큰 순서대로):
- 리모델링: 신축 공급은 없지만, 기존 주택을 개선하는 효과. (멸실 효과는 적음)
- 재건축: 신축 공급이 가능하며, 이주 수요 발생.
- 재개발: 신축 공급이 가능하며, 이주 수요 발생.
- 주거환경 개선: 신축 공급은 적고, 이주 수요 발생.
-
이주 수요: 재개발/재건축 시 발생하는 이주 수요는 주변 집값에 영향을 미쳐. 특히 임대료가 낮은 지역에서 이주 수요가 더 크게 나타나.
- 정부의 정책 방향: 정부는 보통 주거환경 개선 → 재개발 → 재건축 → 리모델링 순으로 공급을 늘리려고 하지만, 실제로는 이주 수요가 적은 리모델링이나 재건축부터 풀어주는 게 공급 부족 해소에 더 효과적일 수 있어.
5. 현재 시장 상황과 전망
- 공급 부족 심화: 최근 몇 년간 인허가가 줄어들면서 앞으로 공급 부족이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
- 정부 정책의 중요성: 정부가 재개발/재건축 규제를 어떻게 완화하느냐에 따라 시장 상황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
- 금리 변동: 금리 인상 추세도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금리 관련 정보도 잘 파악해야 해.
결론적으로, 부동산 시장은 공급 사이클과 정부 정책이라는 두 가지 큰 축으로 움직여. 이 두 가지를 잘 이해하고 분석하면 시장의 흐름을 예측하고 현명한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을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