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버전스 매매법 완벽 가이드: 히든 다이버전스 비밀 공개!
차트 방향 전환 신호, 다이버전스!
차트가 오르락내리락하는 거 봤지? 갑자기 꺾이기도 하고, 또 슬쩍 방향을 바꾸기도 하잖아. 만약에 차트 방향이 꺾이는 순간을 미리 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럼 돈을 엄청 벌겠지? 이런 상상에서 나온 게 바로 다이버전스라는 거야.
다이버전스는 차트랑 보조 지표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 때 나타나는 신호야. 마치 지진 나기 전에 나타나는 전조 현상 같은 거지. 전조 현상이 있다고 무조건 지진이 나는 건 아니지만, 지진이 날 가능성이 있으니 대비해야 하잖아? 다이버전스도 마찬가지야. 이게 나왔다고 무조건 차트 방향이 바뀌는 건 아니지만, 바뀔 가능성이 있으니 준비할 수 있다는 거지.
다이버전스, 어떻게 찾을까?
다이버전스를 찾으려면 RSI라는 보조 지표랑 라인 차트를 준비해야 해. 초보자는 라인 차트에서 다이버전스를 찾는 게 더 쉽거든.
보통 차트랑 RSI는 비슷하게 움직여. 차트가 올라가면 RSI도 올라가고, 차트가 내려가면 RSI도 내려가지. 이때 최근 두 개의 꼭짓점을 이어보면 둘 다 올라가거나 둘 다 내려가는 걸 볼 수 있어.
그런데 가끔 차트랑 RSI가 다르게 움직일 때가 있어. 차트보다 RSI가 더 내려가거나, 차트보다 RSI가 더 올라가는 거지. 이때 최근 두 개의 꼭짓점을 이어보면 차트랑 RSI의 방향이 다르게 나와. 이렇게 차트와 보조 지표가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걸 다이버전스라고 해.
1. 상승 추세일 때 (상승 다이버전스)
- 20일 이동평균선 위에 차트가 있으면 상승 추세라고 봐.
- 이때 차트는 올라가고 있는데 RSI는 내려가는 모습을 보이면 상승 다이버전스 신호야.
- 찾는 방법:
- RSI에서 최근 저점을 찾고, 그 지점에서 오른쪽으로 수평선을 그어.
- 같은 시점의 차트에서도 똑같이 수평선을 그어.
- 시간이 지나서 RSI가 수평선 아래로 내려갔는데, 차트는 여전히 수평선 위에 있다면 상승 다이버전스!
2. 하락 추세일 때 (하락 다이버전스)
- 20일 이동평균선 아래에 차트가 있으면 하락 추세라고 봐.
- 이때 차트는 내려가고 있는데 RSI는 올라가는 모습을 보이면 하락 다이버전스 신호야.
- 찾는 방법:
- RSI에서 최근 고점을 찾고, 그 지점에서 오른쪽으로 수평선을 그어.
- 같은 시점의 차트에서도 똑같이 수평선을 그어.
- 시간이 지나서 RSI가 수평선 위로 올라갔는데, 차트는 여전히 수평선 아래에 있다면 하락 다이버전스!
더 확실하게 잡는 방법: 스토캐스틱 활용!
다이버전스 신호만 보고 바로 매매하면 위험할 수 있어. 그래서 스토캐스틱이라는 지표를 하나 더 같이 쓰는 거야.
- 상승 다이버전스가 나왔을 때, 스토캐스틱 지표가 아래에서 위로 꺾이는 시점을 기다렸다가 롱(매수) 포지션을 잡으면 돼.
- 하락 다이버전스가 나왔을 때, 스토캐스틱 지표가 위에서 아래로 꺾이는 시점을 기다렸다가 숏(매도) 포지션을 잡으면 돼.
손절 라인은 상승하기 바로 전 저점 부근, 하락하기 바로 전 고점 부근으로 잡고, 익절 라인은 손절 라인의 두 배 정도로 잡으면 돼.
중요한 건 원칙!
다이버전스 같은 매매법을 배워도, 돈을 벌려면 올바른 매매 원칙을 습관으로 만드는 게 중요해. 아무리 좋은 방법을 알아도 원칙 없이 매매하면 돈을 벌기 어렵거든. 그래서 코인 투자할 때 꼭 지켜야 할 원칙 세 가지를 따로 정리한 영상도 있으니 꼭 봐봐! 이 영상까지 보면 어떤 매매법으로든 돈을 벌 수 있는 투자자가 될 수 있을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