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만에 나온 충격적 신호, 무주택자는 꼭 '이렇게' 하세요 (김기원 대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부동산 시장, 앞으로 어떻게 될까? (중학생 눈높이 설명)
1. 지금 부동산 시장, 뭐가 문제일까?
- 지방 미분양: 지방에는 집이 안 팔려서 남아도는 곳이 많아. 30평대 아파트가 4억, 5억 아래로 떨어지는 곳도 있어. 이런 곳 중에 잘 찾아보면 보물 같은 집이 숨어 있을 수도 있대.
- 온라인 시대: 요즘은 온라인으로 뭐든지 할 수 있잖아? 그래서 가게나 상가 같은 상업용 부동산은 온라인 쇼핑 때문에 힘들어지고 있어.
- 공사비 폭등: 집을 짓는 데 드는 돈, 즉 공사비가 엄청나게 올랐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2년 만에 25%나 올랐대. 이건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야. 그래서 집값이 비싸질 수밖에 없어.
- 원자재 수입: 집을 지으려면 외국에서 재료를 가져와야 하는데, 요즘은 나라마다 사이가 안 좋아서 이런 것도 더 어려워지고 공사비가 더 오를 수밖에 없어.
2. 10년 뒤에도 유망한 부동산은?
- 주거용 부동산 (집): 아무리 AI가 발전해도 사람이 살 집은 필요하잖아? 그래서 집은 앞으로도 계속 중요하고 좋은 투자 대상이 될 거야.
- 서울 핵심 지역 아파트: 서울에서 정말 좋은 위치에 있는 아파트는 온라인으로 대체할 수 없기 때문에 계속 인기가 많을 거야.
3. 지방 광역시 중 유망한 곳은?
- 대구 & 울산: 이 두 곳은 지금 부동산 가격이 너무 비싸지 않고, 앞으로 좋아질 가능성이 높다고 봐.
- 울산: 이미 집값, 전셋값이 오르고 있고, 거품도 없어. 집을 사려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어서 앞으로 더 좋아질 거라고 예상돼. 지금 집을 사도 늦지 않았대.
- 대구: 지금은 집값이 바닥을 찍고 조금씩 오르기 시작하는 단계야. 10년 전 가격 수준으로 저렴하고, 앞으로 집 지을 곳도 별로 없어서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아.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까지가 집 사기 좋은 시기라고 해.
4. 재건축, 공급 부족에 영향 줄까?
- 공사비 갈등: 공사비가 너무 올라서 집 짓는 회사와 집주인 사이에 갈등이 생기고, 집 짓는 사업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
- 서울 공급 부족: 서울은 빈 땅이 거의 없어서 재건축이나 재개발을 해야 집을 더 지을 수 있는데, 이런 과정이 복잡하고 오래 걸려.
- 정부 정책: 정부가 이런 재건축 규제를 풀어주면 공급이 늘어날 수 있지만, 지금은 시장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해.
5. 정부 부동산 정책, 앞으로 어떻게 될까?
- 주식 시장 활성화: 정부는 부동산보다는 주식 시장을 더 활성화해서 경제를 좋게 만들려고 하는 것 같아.
- 전세 제도 변화: 앞으로는 전세보다 월세가 더 많아질 거야. 전세 사기 때문에 불안해하는 사람들도 많고, 월세는 목돈이 적게 들어가서 더 안전하다고 느낄 수도 있어.
- 무리한 투자 조심: 집을 살 때 무리하게 대출을 받으면 나중에 집값이 떨어졌을 때 위험할 수 있으니,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신중하게 결정해야 해.
6.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
- 마지막 기회: 2030년, 2040년이 되면 부동산으로 자산을 늘리기 어려울 수도 있대. 지금이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무릎 밑에서 (즉, 너무 비싸지 않을 때) 집을 사는 것을 고려해 보는 게 좋다고 해.
- 다양한 정보 참고: 유튜브나 기사 등 다양한 정보를 보면서 공부하되, 잘못된 결정은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