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들어온 건 맹물인데 나간 건 소금물 - SIADH의 원리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1. 오늘은 물만 들어오는데 나갈 때는 소금물이 나가는 상황을 설명했어요.
  2. SIAH는 ADH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병이에요.
  3. ADH는 콩팥에서 물을 재흡수하는 역할을 해요.
  4. 보통은 소금과 함께 물이 재흡수되지만, SIAH는 물만 재흡수해요.
  5. 이로 인해 몸에 물이 쌓이게 되고, 체액량이 늘어나요.
  6. 체액이 늘어나면 나트륨 농도는 낮아지게 돼요.
  7. 그래서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는 저나트륨혈증이 생겨요.
  8. 원래는 체액량은 비슷하지만,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는 상태예요.
  9. 몸의 체액 조절에는 ADH, 알도스테론, 나트리 유레틱 펩타이드가 관여해요.
  10. ADH는 순수 물 조절, 나트리 유레틱 펩타이드는 소금과 물 배출을 돕죠.
  11. 정상 나트륨 농도는 135에서 145 사이로 유지돼요.
  12. 농도가 낮아지면 저나트륨혈증, 높아지면 고나트륨혈증이라고 해요.
  13. 나트륨 농도가 126 이하로 떨어지면 교정이 필요해요.
  14. 교정 방법에는 노말 셀라인과 3% 소금물이 있어요.
  15. 노말 셀라인은 농도와 비슷하지만, 교정이 어려울 수 있어요.
  16. 3% 소금물은 나트륨 농도를 빠르게 높이는데 사용돼요.
  17. 급격히 농도를 올리면 세포 손상 위험이 있어요.
  18. 하루에 8~10 이상 농도를 올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해요.
  19. 너무 빠른 교정은 뇌 손상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20. 교정은 천천히, 조심스럽게 하는 게 정말 중요해요.
  21. 대부분의 경우 교정이 필요 없지만, 필요하면 조심스럽게 해야 해요.
  22. 오늘은 SIAH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했어요.
  23. 더 궁금하면 니은 멤버십의 혈증 관련 자료를 참고하세요.
  24.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