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들어온 건 맹물인데 나간 건 소금물 - SIADH의 원리

기역

조회수 조회수 258 좋아요 좋아요 21 게시일 게시일

설명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니은 멤버십 - 저나트륨혈증"에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1aTiWcwp5zpePh-kXHvYY0zWbSbYAOaT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늘은요.

들어올 때는 물만 들어왔는데 나갈 때는 소금물이 나간다라는 어, 주제로 말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 SIAH라고 하는 그런 병의 원리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하는 거예요.

이 병은 뭐냐면 ADH라고 하는 호르몬이 많이 나오는 병입니다.

부적절하게.

어,이 ADH라고 하는 호르몬은 무엇인가? 이건 뭐냐면은요.

간단하게 얘기하면 콩팥으로 우리가 소변 보잖아요.

소변 보시면 콩팥으로 물이 나간다고 볼 수 있죠.

그럼 콩팥으로 이렇게 물이 나갈 때 어 안 돼.

너 나가지 마.

이러면서 그 물을 물을 재흡수하는 그런 호르몬이에요.

어 하는 호르몬.

그러니까 뭔가 우리 몸에이 물이 부족하다라고 이제 생각이 되는 그런 상황에서 이게 나오면 물을 제흡수해서 다시 보충을 해 주는 그런 호르몬인 거예요.

근데 이제 얘는 어 특이한게 보통 소금물을 제흡수하거든요.

소금을 제흡수하면서 물이 같이 딸려오는 형태로 제흡수가 되는데 얘는 그런게 아니라 그냥 딱 물만 물만 딱 재흡수를 합니다.

음.

그럼 이제 어떤 일이 생기는가 볼게요.

우리 몸에 이제 뭐 물도 있고이 H2O도 있고음 H2O가 뭐 물이 한 여섯 개 있고요.

그다음에 뭐 소금도 있겠죠? 소금.

소금도 뭐 요렇게 둘 한 여섯 개 정도 있다 이렇게 볼게요.

그래서 균형을 맞추고 있었어요.

원래 요런 상태였다가 지금 뭐 이런 거 부족하지도 않은데 물이 뭐 부족한 상황도 아니에요.

그런데 SADH는 부족절하게 그냥 ADH가 분비되잖아요.

그럼 콩팥으로 물이 이렇게 막 나가는데 그걸 다시 제흡수에서 여기로 보내 주겠죠.

필요 없는데이 보내주면은 여기 이제이 물이 막 쌓인단 말이에요.

이렇게 어 물이 막 쌓여요 이러면서 이제 물이 막 막 쌓였어요.

한 여섯 개 정도 더 쌓였다고 할까요? 그러면은 갑자기 얘는 물이 이렇게 많아졌잖아요.

그렇죠? 그러면은 원래 우리 몸에 부피가 부피가 이만큼인데 부피가 이만큼 늘어났잖아요.

응.

체액량이 늘어났죠.

어, 체액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체액량이 늘어나면 우리 몸은 이거 갖다 균형을 다시 잡으려고 하는 성질이 있어요.

그러면은 어떤 기전이 발동하냐면 나트리 유래틱 펩타이드라고 하는게 올라갑니다.

나트리 유레틱 예, 펩타이드.

얘가 이제 올라.

얘는 이제 뭘 하는 거냐면 소금하고 물을 같이 내보내는 거예요.

어, 채액량이 많네.

그러면은 저기 소금하고 물하고 좀 같이 내보내자.

양이 왜 이렇게 많아졌어? 이러면서 이제 내보내는 거예요.

어 그러면서 얘를 그냥 어떻게 내보내냐면이 H2O만 내보내는게 아니라 소금 세 개.

소금 세 개 그리고 물 세 개 요렇게 이제 내보내는 거예요.

그러면은 결론적으로는 얼만큼 돼요? 우리 몸의 볼륨이 요만큼 될 거 아니에요.

어 요만큼이면은 원래 볼륨으로 다시 찾아졌죠.

체행량은 다시 정상화가 됐어요.

정상화가 됐는데 이제 문제는 뭐예요? 문제는 문제는이 어 나트륨의 농도죠.

원래는 원래는 이제 H2O 물이 여섯 개 그다음에 나트륨이 여섯 개 있었잖아요.

6대 6으로 있었는데 지금 어떻게 됐어요? 이렇게 하고 보니까 하나 둘 셋 넷 다섯 여섯 일곱 여덟 아홉 물이 아홉 개인데 나투륨 몇 개밖에 없어요? 세 개 이렇게 된 겁니다.

이거 이게 이제 뭐냐면 이런 상황이 저 나투륨 혈증에 빠졌다.

이렇게 이제 얘기를 하는 거죠.

어 그래서 뭐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이 SIAH가 되면 들어올 때는 물만 들어왔는데 나갈 때는 소금물이 나가다 보니까 점점 우리 몸에 나트륨이 어 부족해지는 그런 상황이 이제 된 거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근데 이제 책량은 어때요? 량은 큰 차이가 없죠.

그래서 이걸 갖다 이제 유볼래믹 유볼래믹 U가 이제 동일하다라는 거거든요.

그러니까 그 책량 자체는 동일한 상태에서 오는 하이포나트림이야.

어 저 나트륨 혈증의 어떤 예로서 어이 이제 SAD라고 하는 병이 많이 나오게 되는 거죠.

음 즉 이제 우리 몸에이 책량 볼륨이라는 거를 컨트롤하는 녀석은 사실 세 명이에요.

첫 번째는 ADH.

두 번째는 이제 알도스테론.

제가 오늘은 알도스테는 너무 복잡해질까 봐 말씀 안 드렸는데 얘도 관여로 합니다.

그다음에 세 번째는 이제 나트리, 유레틱, 펩타이드 이렇게 이제 세 가지 어떤 기전이 관여를 해요.

근데 2번, 3번은 전부 다 소금물로서 어떻게 조절합니다.

근데 ADH는 이상하게도 그냥 순수한 물, 순수한 물로 조절하다 보니까 얘가 뭔가 잘못되게 되면 뭔가이 나트륨의 농도 문제가 같이 생기게 되는 거죠.

음.

음.

그래서 우리 몸에 이제 나트륨 그 농도 정상 나트륨 농도가 어 135에서이 145 사이를어 아주 타이트하게 맞추거든요.

이 135보다 내려가면 이게 이제 저 나트륨 혈증 그다음 145보다 이제 위로 올라가게 되면 그게 이제고 나트륨 혈증 거예요.

근데 어 이런 상황이 발생하 돼서 예를 들어서 뭐 한 126 요렇게 이제 떨어졌다고 볼게요.

나트륨 농도가.

자 이렇게 떨어지면 보통 이제 어떻게 생각하냐면은 어 나투륨이 떨어졌네.

이게 뭐 뭔가 문제가 있나 하고서 이제 교정을 해 줘야 될 거 아니에요.

이렇게 어 정상 균형이 깨진 상태니까.

원래는 이게 이제 원인을 파악해서 이제 해 줘야 되는데 어쨌든 교정을 해 준다고 칩시다.

그러면은 어떤 걸로 교정을 해 줘야 될까요? 이걸 해서 이때 이제 주의해야 될게 그냥 소금물 그냥 우리 몸의 농도와 같은 소금물이 있거든요.

어 노말 셀라인이라고 합니다.

노말 셀라인 이게 임상에서 의사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그 수액 중에 하나죠.

노말 셀라인 그리고 5% DW 요거 두 가지를 가장 많이 사용을 하는데요.

이 우리 몸의 농도와 동일한 그런 소금물이라고 보시면 돼요.

이걸 이제 집어넣어 주면 이게 이제 얘가 여기에 들어 있는 소금의 농도는 얼마냐? 154가 들어 있어요.

사실 조금 더 들어 있죠.

이걸 주면은 우리 몸은 지금 126이니까 154를 주면 뭔가 어 그냥 이렇게 소금이 가가지고 교정이 될 거 같잖아요.

근데 이렇게 들어와도 교정이 안 됩니다.

Sadh 상황에서는 교정이 안 되는 경우가 많아요.

왜 그럴까요? 왜 그럴까요? 음.

아까 말씀드렸다시피 이렇게 준다고 해도 어때요? ADH가 계속 분비가 되고 있으니까이 H2O가 계속 늘어나는 거예요.

이거 이건 계속 늘어나고 나갈 때는 어때요? 나트리로틱 펩 펩타이드 해에서 소금물이 계속 나가는 거예요.

그러니까 154가 들어와도 그 소금은 들어오는 족쪽 나가고 물은 계속 당기니까 계속 그냥 126인 상태 아니면 점점 더 심해질 수도 있어요.

그런 상태로 이제 어 될 수가 있다는 거죠.

그래서 이런 상태에서는 어떻게 해주는게 가장 치료의 기본이냐? 그러면은 일단 물제한입니다.

물제한 영어로는 워터리스트릭션 워터 그니까 물섭치를 어 제한하는 거예요.

그러면은 우리가 이게 이제 기본적으로 뭐라 그랬어요? 뭔가 콩팥에서 빠져나가는 물을 제흡수해서 이런이 H2가 증가하는 거잖아요.

근데 이걸 갖다가 아예 물을 딱 제한을 해 버리면 뭐 들어올 만한 이런게 없어.

어, 그렇게 되면서 이제이 병을 컨트롤하게 되는 그런 원리로 물 제한을 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그냥 뭐 마시는 물, 음식으로 섭취되는 물 다 포함해 가지고 하루에 한 500ml에서 1L 이상 1L 이하로 딱 컨트롤 하는 겁니다.

그러면서 어, 요걸 이제 조절하게 되는 어, 그렇게 되죠.

또는 이제이 물 제한으로 안 된다.

그런데 이걸 반드시 교정을 해야 되겠다.

그런 경우에는요.

어 이렇게 154 정도 애매한 그런 소금물을 주는게 아니라 3% 셀라인 그니까 3% 그 소금물 용액을 주는 거예요.

이건 엄청나게 많은 그 NA거든요.

엄청나게 많은 나트륨.

얼마가 들어 있냐면 513이 들어와요.

513.

그니까 이렇게 513짜리가 빵 하고 들어오게 되면 126이었잖아요.

그러니까 154 정도는 그냥 ADH 뭐 이렇게 내보내고 해서 내보낼 수는 있어요.

근데 이렇게 너무 많이 들어오게 되면은 얘는 뭐 그 내보낼 케파가 안 되는 거죠.

그러면서이 나트륨이 점점 ADH가 분비가 된다 할지라도 나트륨이 점점 쌓이면서 126, 127, 128 요렇게 이제 오를 수가 있다는 거예요.

근데 이제 요거 할 때 굉장히 주의해야 될 점.

이거 레지던트 1년 차 때 이거 못 하면은 아주 심하게 많이 혼났었죠.

너무 급하게 오르면 안 됩니다.

한 126에서 이걸 확 줬는데 막 그다음날 막 145가 됐어.

이러면 이제 엄청 혼나는 거예요.

어 딱 하루에 하루에 8 이상 올리면 안 되죠.

8에서 10 이상 올리면 안 돼요.

만약에 너무 많이 올라가는 거 같다 그러면 그냥 더 오히려 내리는 그런 용액을 쓰더라도 올리면 안 됩니다.

왜냐면은 이걸 너무 급하게 올리잖아요.

그럼 우리 몸에이 여러 모든 세포들이 다 영향을 받잖아요.

이거는.

어, 경제에서 금리 같은 거예요.

그러니까 이게 다 모든 세포가 다 영향을 받아요.

그러니까 126에 이미 적응이 돼 있었던 상태인데 갑자기 밖에이 나트륨이 막 많아지는 145 막 이런 상황이 되면이 세포 안에 있던 물들이 쪽쪽촉쪽 빠져나가죠.

그러면은이 세포가 이렇게 이렇게 작아지게 되면서 뭔가 일을 못 하게 되는 그런 이제 상황이 될 수가 있습니다.

이게 대표적으로 이제 어 폰스라고 하는 그 뇌 교라고 하는 우리 몸의 호흡을 관장하는 뇌 부분인데 여기에 또 이런 문제가 생기면 굉장히 치명적입니다.

어 사실 이게 원리가요 간단하진 않아요.

이게 제가 물이 쪽쪽 빠져나간다라고 말씀드렸는데 이거보다 조금 복잡한 원리가 있는데요.

어쨌든음 어쨌든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음 어 반드시 천천히 교정을 하는게이 저 나트륨 혈증에서는 굉장히 중요합니다.

또 어떤 경우에도 교정이 필요 없는 경우도 있어요.

웬만하면 교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예.

근데 이제 문제가 되는 경우에에 교정을 해야 되는데 그때 교정하더라도 굉장히 조심스럽게 천천히음 교정을 해 줘야 되는 그런 병에 해당이 되겠죠.

자, 그래서 오늘은요.

SIAH에 대해서 말씀을 드렸는데요.

이거에 대해서 조금 더 궁금하신 분들은 최근에 업로드된 니은 멤버십의 전 아트륨 혈증 플레이리스트를 참조하시면 되겠습니다.

자, 오늘도 경청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오늘은 물만 들어오는데 나갈 때는 소금물이 나가는 상황을 설명했어요.

2. SIAH는 ADH 호르몬이 과도하게 분비되는 병이에요.

3. ADH는 콩팥에서 물을 재흡수하는 역할을 해요.

4. 보통은 소금과 함께 물이 재흡수되지만, SIAH는 물만 재흡수해요.

5. 이로 인해 몸에 물이 쌓이게 되고, 체액량이 늘어나요.

6. 체액이 늘어나면 나트륨 농도는 낮아지게 돼요.

7. 그래서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는 저나트륨혈증이 생겨요.

8. 원래는 체액량은 비슷하지만, 나트륨 농도가 낮아지는 상태예요.

9. 몸의 체액 조절에는 ADH, 알도스테론, 나트리 유레틱 펩타이드가 관여해요.

10. ADH는 순수 물 조절, 나트리 유레틱 펩타이드는 소금과 물 배출을 돕죠.

11. 정상 나트륨 농도는 135에서 145 사이로 유지돼요.

12. 농도가 낮아지면 저나트륨혈증, 높아지면 고나트륨혈증이라고 해요.

13. 나트륨 농도가 126 이하로 떨어지면 교정이 필요해요.

14. 교정 방법에는 노말 셀라인과 3% 소금물이 있어요.

15. 노말 셀라인은 농도와 비슷하지만, 교정이 어려울 수 있어요.

16. 3% 소금물은 나트륨 농도를 빠르게 높이는데 사용돼요.

17. 급격히 농도를 올리면 세포 손상 위험이 있어요.

18. 하루에 8~10 이상 농도를 올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해요.

19. 너무 빠른 교정은 뇌 손상 같은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요.

20. 교정은 천천히, 조심스럽게 하는 게 정말 중요해요.

21. 대부분의 경우 교정이 필요 없지만, 필요하면 조심스럽게 해야 해요.

22. 오늘은 SIAH와 관련된 내용을 설명했어요.

23. 더 궁금하면 니은 멤버십의 혈증 관련 자료를 참고하세요.

24.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