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연 4200만원 수익! 40대가 선택한 미국 배당주 투자 비밀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기술사 자격증 취득 후 투자 이야기

왜 기술사가 되려고 했을까?

  • 돈 벌려고! 솔직히 말하면, 우리 업계 월급이 300만원 정도에서 더 안 오르더라고. 내 발로 뛰지 않으면 더 이상 돈을 못 벌겠다 싶어서 기술사 시험에 도전했어.

얼마나 투자했어?

  • 총 7억 정도 투자했어. 한국에 4억 4천, 미국에 2억 6천 정도.

주식 투자는 왜 시작했어?

  • 사업 소득도 있지만, 부가적으로 돈을 더 벌고 싶었어. 물가도 오르니까 주식이라도 해야겠다 싶었지. 부동산은 자신 없어서 주식을 선택했어.

수익률은 어때?

  • 올해만 18% 넘었어. 작년에도 10% 넘었고. 주가 등락으로 보면 꾸준히 10% 정도는 올린 것 같아.

한국 주식은 어떻게 할 거야?

  • 한국 주식은 좀 정리하려고 해. 주가도 떨어지는데 배당금도 잘 안 주니까 그냥 다 팔고 ETF에 몰빵할까 생각 중이야. 그냥 놀러 다니는 게 제일 편할 것 같아.

배당금으로 뭐 해?

  • 여행 다니고, 골프 치고, 취미 활동하면서 여가 생활을 즐겨.

기술사 취득 후 삶은?

  • 기술사 자격증 따고 소득이 늘어서, 그 돈으로 배당주에 투자해서 제2의 현금 흐름을 만들었어. 덕분에 배당 투자로 비즈니스도 하고 해외여행도 다니는 여유로운 삶을 살고 있어.

2022년 폭락장 때 뭐 했어?

  • 그때 미국 주식도 생각했지만, 한국 주식은 정보 찾기가 쉬워서 한국 주식만 샀어. 미국 주식은 정보 공개가 잘 안 돼서 좀 그랬거든.

지금 한국 주식에 미련이 좀 있어?

  • 응, 좀 있어. 고려화연이나 SK 같은 경우에 경영권 분쟁이나 이혼 소송 이슈로 주가가 오르내릴 수 있잖아. 아직 배당금으로 4천만원 이상 확보해 놔서 주가가 좀 떨어져도 괜찮을 것 같아.

결과적으로는 어때?

  • 결과적으로 보면, 그때 미국 주식이나 SCHD ETF에 투자했으면 수익률이 훨씬 좋았을 거야.

앞으로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할 거야?

  • 지금 한국 주식 비중이 60%인데, 앞으로 10% 미만으로 낮출 거야. 나머지 90% 이상은 미국 주식으로 채울 생각이야. 그러면 주식 시장 신경 안 쓰고 배당금만으로 여유롭게 살 수 있을 것 같아.

처음 투자한 건 뭐야?

  • 작년 3월, 4월쯤 코카콜라 같은 개별 종목에 투자했어. 지금은 SCHD 비중을 늘려가고 있어.

SCHD는 왜 좋아해?

  • 싱글파이어 채널에서 SCHD에 집중 투자하는 사람 인터뷰를 봤는데, 데이터를 보니 신뢰가 가더라고. 과거 흐름을 보면 배당 수익률도 꾸준히 오르고 주가도 안정적인 것 같아. 커버드콜 전략 상품은 배당 수익률은 높지만 아직 검증되지 않은 부분이 많아서 좀 더 지켜보려고 해.

SCHD는 그냥 한 번에 사면 안 돼?

  • 겁이 많아서 분산 투자하고 분할 매수하는 편이야. 시장 변수가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 그래도 SCHD는 꾸준히 우상향하는 걸 보니 한 번에 담아도 나쁘지 않겠다는 생각도 들어.

미국 주식은 어떻게 투자해?

  • 개별 종목은 주가가 5% 떨어질 때마다 기계적으로 매수해. 오르면 그냥 놔두고. SCHD는 매월 꾸준히 적립식으로 투자하고, 여유 자금이 생기면 한 번에 크게 담으려고 해.

한국 주식은 어떻게 투자해?

  • 떨어질 때마다 분할 매수하고, 반등하면 원금만 회수하는 방식으로 투자해. 원금을 회수하지 않으면 다시 떨어졌을 때 손실이 크더라고. 수익금만 시장에 놔두고 흐름을 지켜보는 거지.

개별 종목 관리 방법은?

  • 주가가 만 원일 때 500만원을 담으면, 오르면 원금 500만원을 빼고 25만원만 남겨. 떨어지면 다시 500만원을 담고. 이렇게 구간별로 관리하면서 매매일지를 작성해. 좀 번거롭긴 하지만.

한국 주식 중에 속상한 건 없어?

  • 응, 효성 같은 기업이 인적 분할하면서 주주를 위한 기업이 없다는 걸 느꼈어. 그냥 다 팔고 SCHD에 몰빵할까 하는 생각도 많이 해.

배당 수익률 5%를 기준으로 삼는 이유는?

  • 리스크를 감수하면서도 그 이상은 벌어야 하지 않겠어? 운이 좋았던 것 같아. 잃지 않는 것에 집중했지.

2022년 폭락장 때 계좌는 어땠어?

  • 코스피 지수가 30% 정도 하락했는데, 내 계좌는 -3% 정도로 방어했어. 매매 시나리오를 기록하고 감정은 배제하고 기계처럼 투자하는 게 도움이 됐어.

한국 주식에서 미국 주식으로 넘어가는 데 얼마나 걸릴까?

  • 한국 주식만 투자했을 때도 5년 넘게 걸렸는데, 미국 주식으로 넘어가는 것도 5년 이상 걸릴 것 같아.

투자금을 더 늘릴 생각 있어?

  • 응, 은행 예금 1억 5천만원 만기가 되면 SCHD에 다 넣을 거고, CMA 계좌에 있는 2억도 투자할 거야.

세금 때문에 힘들진 않아?

  • 종합소득세로 1900만원이나 나왔어. 회계 사무실에서는 강남 아파트 같은 부동산에 투자하라고 조언하는데, 솔직히 내키지 않아. 사업이 언제까지 잘 될지도 모르고.

현금 흐름이 왜 중요해?

  • 오르는 자산에 묻어두는 것보다 내가 필요한 현금 흐름이 늘어나니까 삶이 바뀌었어. 배당금으로 여행도 다니고 골프도 치고.

마흔 전에는 어땠어?

  • 마흔 전에는 한 달 생활비 150만원으로 살고 나머지는 다 저축했어. 거의 짠돌이였지. 마흔 넘어서 처음으로 해외여행을 갔는데, 그때부터 생각을 바꿨어.

요즘은 뭘 하고 싶어?

  • 그냥 놀고 싶어. 안 해봤던 것들을 해보고 싶어.

기술사 자격증 취득하면 뭐가 좋아?

  • 내 삶 자체가 메리트야. 후배들에게도 시간 낭비하지 말고 기술사 공부해서 소득 올리고 투자 공부해서 나처럼 여유로운 삶을 살라고 조언해.

경제적 자유를 위해 가장 중요한 건?

  • 정답은 다 알고 있지만, 실행력이 가장 중요해. 기술사 공부도, 투자 공부도 실행이 어렵잖아.

기술사 공부를 결심하게 된 계기는?

  • 월급도 제때 안 들어오는 힘든 시기였어. 내 인생을 남한테 맡기지 말고 내가 개척해야겠다 싶어서 사표 내고 기술사 공부에 올인했지.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 생각나는 게 있으면 뭐든지 시도하고 실행해. 생각만 하고 멈추지 마. 이게 가장 중요해.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