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상위 1% 유튜버들만의 성공 공식이 있을까?

디자인하는AI

조회수 조회수 127.7K 좋아요 좋아요 4.5K 게시일 게시일

설명

미스터 비스트, 라이언 트라한, 캐이시 나이스탯 등의 최고의 유튜버가 말하는 성공 조언을 OpenAI의 ChatGPT를 이용하여 분석해 봤습니다. 인트로 00:00 분석 방법 & 활용한 AI(목차) 01:05 분석 방법론 설정 02:20 스크립트 추출 02:54 MECE 패턴 테이블 도출 04:13 테이블 재분석(피그잼) 06:23 데이터 검증 & 인사이트 도출 07:57 첫 번째 인사이트 08:35 두 번째 인사이트 10:58 세 번째 인사이트 13:13 네 번째 인사이트 19:21 Whisper AI - https://colab.research.google.com/drive/1qeTSvi7Bt_5RMm88ipW4fkcsMOKlDDss?usp=sharing#scrollTo=IuL5nGTIWYTY Figma - https://www.figma.com/ 영상 출처 https://youtu.be/X2huNCHDwMQ?si=eOjIJFuDoJVT40Ph https://youtu.be/9DBJXRy5dvk?si=q-8Mo4vOCEvyMXMX https://www.youtube.com/watch?v=e20l16WP1ZU&t=8s https://youtu.be/wkDlfvTed1c?si=KnCGHTHlyKH1Owvr https://youtu.be/kq56lfn04jw?si=a5ZMI7NmQNNdPAcx 브런치 글 출처 - https://brunch.co.kr/@lee880728/19 사용한 음원 Music by Bensound.com License code: VKCACTI6H5DJRNYA #mrbeast #유튜브알고리즘 #ai #chatgpt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2억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전 세계 구독자 유리 유튜버 미스터 비스트 140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25살의 천재 유튜버 라이언트 스타일이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브이로그의 대중상과 예술을 끌어올린 나이스 그 외에 각 분야에서 인지도가 높은 유튜버들 이들 모두 성공을 거뒀다고 인정받는 유튜버입니다 이들은 어떻게 유튜버에서 성공을 할 수 있었을까요 그들만의 성공 공식이 있을까요 저는이 질문에 대한 해답이 너무 궁금했습니다 성공한 유튜버가 말하는 노하우에는 핵심적인 공통점이 있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그리고 그것을 분석할 수 있다면 저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거라 생각했어요 그래서 최고의 유튜버들이 말하는 노하우를 AI 도움을 받아서 분석해 봤습니다 이번 영상에서는 제가 분석한 방법과 결과를 공유드리려고 해요 먼저 어떻게 분석했고 어떤를 활용했는지 터 말씀드릴게요 저는 사용자 리서치를 진행한다고 가정하고 크게네 가지 단계로 작업을 나누었어요 단계를 나누는 작업은 어떻게 했는지 나중에 설명드릴게요 가장 첫 번째 단계는 인터뷰 진행이에요 이들을 분석할 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직접 인터뷰를 하는 거라 생각했지만 글로벌 스타 유튜버들을 제가 대면할 수 없었기에 이들이 출연한 인터뷰나 좋은 형태의 유튜브 비디오를 선정하여 그 속에 담겨 있는 그들의 생각 느낌 경험 지식 등 깊이 있는 정보를 얻고자 했습니다 두 번째 단계인 녹취는 이미 인터뷰 비디오가 있었기에 진행할 필요가 없었어요 그래서 인터뷰 스크립트를 전사하는 작업만 진행했어요 스크립트 전사 작업은 보통 한 명의 기록자가 작업해야 하는 고된 일이지만 저는 위스퍼 AI 사용하여 비디오의 보이스에서 텍스트를 편리하게 추출했어요 그리고 세 번째 단계는 데이터 분류와 분석이에요이 단계는 리서처가 데이터를 식별해서 같은 데이터끼리 묻고 패턴을 도출하는 등의 작업인데 저는 자연어 처리 기술이 뛰어난 GPT 4가이 작업을 처리해 줄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애초에 제가 선정한 비디오들은 이미 노골적인 유도 질문과 인사이트 위주로 구성되어 있었기에 같은 데이터끼리 묻고 정리만 해 주도 충분하다고 판단했어요 마지막네 번째 단계는 데이터가 얼마나 정확한지 검증하는 것과 인사이트를 부유하는 작업이에요이 단계는 AI 할루시네이션 문제를 경계해서 제가 직접 정성적인 방식으로 검증하고 인사이트를 부여했어요 그럼 어떻게 분석했지만 알아볼게요 우선 추출한 텍스트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할에 대한 방법론이 필요했어요 저는 여러분들이 활용할 수 있는 방식이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웹에서 쉽게 가져올 수 있는 방법론을 찾았습니다 그런 에서 리서처이라는 분이 작성한 사용자 리서치에 대한 글을 활용하겠습니다이 글의 URL 복사해 줄게요 그리고 GPT 와서 웹 파일럿이라는 플러그인을 사용해서 그글을 정리해 줄 거예요 설치하지 않으신 분들은 플러그인 스토어에서 설치해 주세요 그리고 GPT 사용자 리서치 방법을 정리해 달라고 작성하고 URL 붙여 넣고 프롬프트를 전송해 줍니다 그럼 브런치에 있던 글을 GPT 정리해 줍니다 이렇게 정리한 방법론을 활용해서 분석에 단계를 나눠줬어요 첫 번째로 진행할 단계는 스크립트 전사에 위스퍼 AI 사용하여 비디오의 보이스에서 텍스트 를 추출해 줄게요 위스퍼 AI URL 접속해 줄게요 그럼 이렇게 구글 코랩에서 위스퍼 AI 사용할 수 있어요 상단에 수정을 클릭하고 노트 설정을 클릭하면 창이 뜨는데 여기서 GPU Pro 설정되어 있는지 체크해 주세요 체크되어 있다면 런타임을 클릭하고 모드 실행을 클릭해 줍니다 그리고 무시하고 계속하기를 클릭하면 실행이 돼요 좀 기다리면 아래에 러닝온 퍼블릭 URL이 생성되는데 클릭해 줄게요 그럼 위스퍼 AI 웹 유가 실행이 돼요 먼저 모델을 설정해 줄 건데요 저는 가장 느리지만 성능이 좋은 라지 v3 모델을 선택해 줄게요 언어는 영어로 설정하고 스크립트를 추출할 유튜브 URL 복사해서이 URL 인풋에 붙여 넣게 해 줄게요 그리고 제출하기를 클릭해 줍니다 추출이 완료되면 스크립트를 바로 확인할 수 있고요 파일을 다운받을 수 있어요 필요한 파일을 다운받아 줄게요 저는 같은 방식으로 다섯 개의 비디오의 스크립트를 추출해 줬어요 이제 GPT ES 추출한 스크립트를 분석해 줄게요 원래 2 단계에서는 인터뷰 스크립트의 데이터를 같은 계층 그리 식별해서 그룹핑하고 같은 계층 그리에 공통된 패턴이 있는지 찾아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야 해요 하지만 보통의 인터뷰 데이터는 계층별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지 않아요 인터뷰 대상자가 이런 단계를 생각하며 논리 정연하게 말하지는 않잖아요 그렇지만 제가 분석할 비디오는 이미 인사이트 덩어리로 가득하기에 섬세한 계층 식별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저는 곧바로 mece 패턴을 도출해 달라고 할 거예요 MC 패턴은 데이터 전체를 이해하면서 누락된 정보나 중복된 정보 없이 패턴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하는 방법이에요 mec 패턴을 사용한 이유는 인터뷰 스크립트에서 공통된 내용은 묻고 나머지 묶이지 않은 내용도 살펴볼 거기 때문이에요 이제 GPT ES 프롬프트를 작성해 줄게요 우선 추출한 스크립트를 업로드하고 미리 준비한 프롬프트를 붙여 넣어 줬어요 프롬프트 구성은 보시는 대로 스크립트를 분석해서 mec 패턴을 도출하고 테이블을 그려 달라고 했어요 그리고 테이블의 열을 카테고리와 디테일로 구분에 달라고 했습니다 프롬프트를 전송하면 데이터 분석이 시작되어 결과가 0어 나누는데 한글보다 영어가 토큰 소모가 적고 더 정확하게 분석되기 때문에 이렇게 아웃풋으로 출력되는 양이 많은 경우에는 영어로 진행하는게 더 좋다고 생각해요 나중에 최종 결과물만 한글로 번역해 주면 돼요 결과물이 출력됐습니다 카테고리와 디테일 열로 테이블을 잘 나눠 주었고 디테일에 해당되는 내용과이를 포괄하는 카테고리로 데이터를 잘 묶어서 분류해 줬어요 그런데 디테일에 해당되는 행에 여러 개의 내용이 다 담겨 있어요 하나의 행에 하나의 디테일이 담기도록 분리해 줄게요 각 디테일을 분리하고 카테고리를 재구성해 달라고 작성해서 전송해 줄게요 테이블이 다시 생성되었고 각 디테일이 하나의 행에 잘 담겨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어요 이제 각 디테일의 중요도를 계산해 볼게요 중요도를 계산하는 이유는 객관성을 얻기 위해서예요 이런 정성적인 분석은 수치로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분석의 결과가 주관적일 수 있어요 그래서 이런 단점을 객관화된 수치로 보완하려고 했어요 아주 100% 정확하진 않더라도 GPT 감정 분석도 가능하기에 참고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하려고 했어요 중요도를 계산했는데 하이 미디엄 로우 세 가지로만 구성되어 있어요 저는 더 구체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 중요도를 1부터 10점까지 세분화 해 달라고 했어요 세분화된 중요도 수치가 테이블에 잘 반영되었습니다 각 디테일에 해당되는 원문 출처도 작성해 달라고 요청해 줄게요 이제 mec 패턴 테이블은 다 만들었고 한글로 번역해 줄게요 한글로 잘 번역되었고 하지만 디테일의 내용을 확인해 보면 내용이 꽤 포괄적이라 비디오를 보지 않고서는 상세한 내용을 파악하기가 힘들어요 그래서 각 디테일에 해당되는 원문 내용을 찾아줬어요 디테일에 관련된 원문 내용을 찾고 핵심 내용을 요약해 달라고 요청해 주었어요 그럼 이렇게 디테일에 관련된 원문 내용과 핵심 내용이 요약되어 어떤 내용인지 파악이 용이해요 저는 이런 식으로 모든 디테일의 원문 내용을 다 찾고 핵심 내용을 요약했고 도출한 테이블을 다시 정리하고 분석해 줄 거예요 이때 사용할 툴은 피그마에서 제공하는 피그 nam이에요 피그마 를 실행해서 피그 잼 보드 버튼을 클릭해 줄게요 그리고 드래프트를 클릭하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피그 Z 보드가 생성되요 이제 GPT ES 생성한 테이블을 피그 잼으로 가져와 줄게요 복사에서 피그 잼에 붙여 넣으면 알아서 테이블을 만들어 줘요 그리고 각 디테일에 해당되는 원문 내용도 가져와 줄게요 가져온 테이블과 원문을 분석하기 편하게 정리해 줄게요 피그 잼에서 이렇게 테이블에 열을 늘리거나 행을 옮기고 컬러를 넣는 등의 작업을 아주 직관적으로 할 수 있어요 저는 이렇게 테이블네 개를 따로 더 만들어서 결과물의 객관성을 얻고자 했어요이네 개의 테이블은 중요도를 누적 빈도와 강조도 분리해서 구분하기 스크립트에서 반복된 누적 빈도를 측정한 테이블 두 개 그리고 스크립트 문맥 상에서 강조된 정도를 측정한 테이블 두 개를 만들었어요 이렇게 한 이유는 좀 더 디테일한 분석을 하기 위함이에요 또 AI 생성한 결과가 그때마다 조금씩 다르거나 할루시네이션 즉 그럴싸하게 구라를 치는 경우도 있어이를 해소하려고 했어요 각 디테일에 해당되는 원문 내용도 분류해서 정리해 줬어요 이제 테이블을 다시 분석해서 좀 더 객관적이고 정지된 데이터를 도출해 줄 거예요 먼저 테이블을 하나씩 분리해서 같은 정보기기 묶어 주는 작업을 진행했어요 누적 빈도와 강조들은 수치화해서 계산한 값도 작성해 줬어요 묶기는 그룹별로이를 포괄하는 타이틀을 작성해 주었고 그룹끼리 묶기는 것에는 더 상유 레벨의 타이틀을 작성해서 식별 해 줬어요 참고로 이렇게 데이터를 분류하는 작업은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이고 해요 이렇게 식별한 정보는 얼마나 많이 그루핑 되었는지 누적 빈도와 강조도 합은 얼마나 높은지 참고해서 정보의 신뢰도와 중요도를 예측할 거예요 더 디테일한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 준비한 원문 내용까지 직접 분석해 줬어요 스크립트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하이라이팅을 하고 스티키 노트에 간단히 정리해 줬어요 그리고 이렇게 정리한 정보 또한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을 통해 정보를 분류해 줬어요 마지막은 인사이트 도출 단 예요 정리해 놓은 데이터는 단순한 사실 정보를 나열하는 곳에 가깝기 때문에 이제 발견된 패턴과 관계를 통해 더 넓은 맥락에서의 의미를 해석해야 해요 예를 들어 그룹핑된 특정 현상이 있다면 왜이 현상이 발생하는지 원인을 찾아보거나 다른 그룹간 연관성이 있는지 등을 생각하면서 넓은 시야에서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찾아보는 거예요 저는 아까 정리한 mec 패턴 데이터와 원문 내용 데이터를 취합해서 인사이트를 도출했고 파악한 인사이트는 그대로 공유 드리기보다 제가 직접 비디오를 한 번 더 시청하고 분석 검증한 뒤 정재된 정보를 알려 드리는게 좋다고 생각해서 한번 정성인 분석을 진행했어요 이렇게 총 네개 인사이트를 도출했고 결과를 비디오와 함께 공유드릴게요 첫 번째 인사이트는 품질에 대한 중요성에 누적 빈도와 강조를 합산했을 때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제가 직접 분석한 정성 분석에서도 중요하다고 판단한 사이트예요 그리고이 부분은 미스터 비스트가 매우 강조를 하고 있어요 00만 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라이언트 품질에 대한 중요성을 말하면서 사랑이란 단어로 표현합니다 이들은 왜 이렇게 품질을 강할까요 이에 대한 의견을 들어볼게요 100 videos a lot of small YouTubers they just post Like videos That aren't bad but they're not great and they just do that and and none of them ever POP off so never get an audience where it might be better to like you know upload half or a third or even like a Fifth of the videos but make the videos you upload so freaking good that like the algorithm has to promote it and that you know It has to find audiences forse It's such an interesting and good Video When you I'm like I'm done striving Because if I'm striving That's where all burnout has stemmed from That's where my worst videos 요약해 보면 양보다는 질을 높이는게 더 대박을 내기 쉽고 품질을 위해서라면 제작 속도를 낮추는 것까지 권장하고 있습니다 제가 3주 넘게 업로드를 하지 않았던 이유도 바로 이겁니다이 품질에 신경을 쓰기 위해서요 그럼 품질에 집중을 해야 한다는 건데 이런 질문이 생길 수 있어요 하나의 비디오 의 영혼을 갈아 넣었는데 실패하면 어떻게 하냐 실패할지 성공할지 어떻게 알고 투자해 오히려 더 리스키 한 거 아닌가라고 말이에요 맞아요 실패할지 성공할지에 대해서는 알기 어려워요 결국 내다 놓아야 결과를 알 수 있는 거니까요 그럼 성공적인 유튜브 비디오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이 질문을 생각하기 전에 성공적인 유튜브 비디오가 무엇인지부터 정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요 성공적인 유튜브 비디오란 무엇일까요 조회수가 높은 비디오 아니면 알고리즘에 최적화하여 상의 노출되는 비디오 다음으로 소개할 인사이트가 이에 대한 답이 될 듯합니다 이 인사이트는 정적 수치가 높진 않지만 품질을 높여야 하는 이유와 연관되어 있고 성공적인 유튜브 비디오에 대한 방향성을 얻을 수 있어요 이에 대한 유튜버들의 의견을 들어볼게요 human humy any algm just replace it with audience and it works perfectly like the algorithm didn't like that Video no the audience didn't like that Video you know literally That's it if people are clicking watching then it gets promoted more and That's all That's literally all the algorithm does is reflect what the people want 28 and If you deny that you just make terrible videos that are trying toap I think it's really just on AUD is sometimes you might not know Audi is listen to theman very quickly able to tell Somebody likes a video or They don't like a video in the comments want to be a successful creator you have to embrace the fact That your audience is not only The final audience but they also your focus group traditional media youve got the focus group and then you've got the intended audience that distinction goes away your fans are your focus group and If you don't listen to not going to be 요약해 보면 성공적인 유튜브 비디오란 시청자들이 원하는 비디오였다 좋아하는 고품질의 비디오를 만들면 긍정적인 반응이 쌓이고 그러면 알고리즘의 홍보를 하게 되고 조회수와 구독자 수가 늘어나게 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겠네요 어찌 보면 당연한 것이지만 조회수나 구독자수 알고리즘 노출에 대해서만 집중하다 보면 간과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성공적인 유튜브 비디오에 대해서는 알았는데 그러면 시청자가 원하는 고품질의 비디오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요이를 위해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되는 것은 보통 자신만의 특별한 주제나 틈새 시장을 찾는 것 실 거예요 아마 대부분은 영상을 하나 올리기도 전에 엄청난 고민과 분석의 시간을 가지거나 실행을 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할 거예요 이런 접근은 효과적일 수 있지만 결국 투자 비용이 들어가는 건 매 한가지죠 이에 대해 최고의 유튜버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다음 인사이트를 소개할게요이 인사이트는 누적 빈도와 강도의 합산이 두 번째로 높았고 성공하는 비디오를 만들기 위한 실행 단계에서는 어떤 스탠스를 취하면 좋은지 제시해주고 있어요 Any of you listening if If you especially If you have zero on your channel your first Video is not going to give views period It's not your first 10 are not going to get views I can very confidently say that so stop sitting there and thinking for months and months on in and just get to work and start uploading move before you're motivated too often we wait for motivation to Strike whether We want to pick up a fitness Habit or Start a new side project we think we need to feel fired up to begin and while sometimes that strategy might work most often we be waiting a really really Long Time to get started AS MS the common misconception is that motivation leads to action but the Reverse is action pred motivation you have to prime the pump and get the juices flowing No Matter the change you're looking to make in your life the only thing you need to get started is the first step that small step turns into another and then another and it won't take long for the Momentum to build and before you know it you're motivated make a channel make a video and upload I think that is people I Don't i and I think the act most difficult obstacle is putting up a piece of content that might not be your best and just seeing What happens I think you have make A Certain amount of videos before you find your n so often the med they focus on like Oh 계획하기보다는 실행에 대한 중요성을 말하고 있어요 그리고 425만 유튜버 미쉘 카리는 니를 찾기 전에 일정량의 비디오를 먼저 업로드 하라고 합니다 여기서 니란 틈세 시장이나 특별한 주제를 의미해요 미쉘은이 니를 찾기 위해서는 실행을 통한 경험이 필요하다고 말을 하고 있어요이 부분은 GPT 분석한 결과에서는 잘 보여지지 않았지만 제가 직접 진행한 정성 분석에서 꽤 많은 유튜버들이 강조하고 있어요 to make videos about it would be like a writ saying I don't know what to write about therefore I'm not going to write It's totally for your niche to emerge over time There's a misconception out there that says Hey I need to know my niche Before I can post any videos I'll tell you a Personal story took me 10 years to start up my youtube channel I've always wanted to be a youtuber since high school specifically ied to do Make ied to be a make beauty blogger I fin and the moment that I makei ied Oh my I hate doing this and you know what really took me 10 years to figure out that the N I thought I wanted to do was actually not what I wanted to do all and so what did i do after that piv I piv and I thought you know what I don't really know my niche yet I had qu my corporate job and so I really want to post videos for millennials who are one to Two years into corporate job trying to find their Identity they going through identity crisis and think 약하면 실행을 통해 천천히 니를 찾아가라고 합니다 하지만 이런 말은 다소 막연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그래서 니를 컨설팅하는 마케팅 전문가 에린을 통해 니치의 특징과 단점에 대해 더 알아볼게요 can but gr audien is kind of just fatigue of you talking about the same thing all the time so With ning It does get a little bit difficult to contain to be more and more creative over time because you know you kind of just Feel like things Don't change that much Right So um layering is a little bit different It's about taking the layers of who you are And what you want to connect with your audience on and creating your content strategy based off of multiple pillars um but ultimate B lay which is to beining your defining content pill If You will so for me for example entrepreneur Life is entrepreneurship in General is my bas layer when most people think of me they think of entrepreneurship branding productivity social media tips and marketing strategy so those are like my that know I 가 너무 좁아지면 컨텐츠 제작의 다양성을 이룰 수 있다고 말하고 있어요 그래서 레이어링이 개념을 제안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저 같은 경우는 가장 상위의 기둥 레이어가 생산성이 그 아래가 AI 디자인 그 아래는 uui 비주얼 디자인 광고 디자인 등등 더 세분화된 레이어가 위치하고 있어요 이렇게 되면 생산성이라는 정체성 레이어 아래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다룰 수 있다는 것이에요 지금 여러분이 보고 계시는이 영상은 AI 유튜브 비디오를 분석하는 방법 유튜브 비디오를 잘 만드는 법을 알려 주는 것으로 보여지지만 엑스 리서치에 대한 하위 레이어를 포괄하고 있어요 또이 개념 을 이용하면 내가 누구인지를 더 선명하게 정의하고 브랜딩할 수 있으니 아주 유용하다고 생각해요 그럼 요약해 볼게요 고품질의 비디오를 만들기 위해 고민하기보다는 실행을 통해 나만의 니를 찾아가라 그리고 니치 좁으면 콘텐츠의 다양성이 좁아질 수 있으니 레이어링을 활용해서 정체성에 맞는 카테고리를 만들고 다양한 콘텐츠를 시도하라였습니다 그리고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최고의 유튜버가 제안합니다 마지막 인사이트를 소개할게요 are cases you but the average like us You don't have these exceptional personalities and you backgrounds and filmmaking just make 100 videos improve something each time and then talk to me on your Video well the improve something time is the tricky one How do you improve something each time the second one just I don't know put more effort into the script the third one try to learn a new editing trick the fourth one try to figure out a way that you can have better reflections in your voice the Fifth one try to you know study a new thumb implement the six one try to figure out a new title There's infin ways That's the Beauty of content creation There's literally infin ways from the coloring to the frame rate to the editing to the filming to the production to the jokes to the pacing to every little thing can be improved and they can never not be improved There's no There's literally no such thing as a perfect Video so I would suggest for the average channel in your first si months aiming to make between 25 and 50 videos and the first thing I will guarantee When you meet this quantity milestone is that thousand hours andar is it's better to do all of this in public because you get so much feedb from it and there are pretty much no penalties especially When you're starting out your new channel because you got nothing to L making these videos will help devel consistency getting better at Video production optim your content the TI and thar takes make van who the most brilliant mind on all of youtube and you know van had this initial explosion of interest because he I work hard to promote his First you know first videos and I exp It's all going to go away you're to find your baseline build from and he consistently uploading for year making the best work He can make and Now building 아까는 다소 추상적인 한이었는데 이제는 아주 구체적으로 양적인 목표를 제시하고 있어요 비디오 50개 100개 올리기가 그 예에요 특별할 것이 없는 평범한 사람이라면 양적인 목표를 두고 비디오를 만들면서 무가 하나씩 개선해 나가라고 합니다 그러면 고품질의 성공적인 비디오를 만드는데 필요한 능력을 얻게 되고 장기적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고 해요이 과정 에서 니치도 파악할 수 있는 거겠죠 이렇게 분석 방법과 네개 인사이트를 다 소개해 드렸어요 이번 비디오를 통해 제가 전달하고 싶었던 메시지가 있어요 누구나 할 수 있다 해요 AI 잘 활용하면 관련 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리서치와 분석을 어느 정도 할 수 있다고 생각해요 물론 깊이 있는 분석까지 하려면 그만큼 또 투자를 해야겠죠 유튜브 또한 마찬가지예요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에 도전하려고 하지만 막상 실행에 옮기거나 꾸준히 하기가 쉽지 않아요 하지만 이제는 마음만 먹으면 원하는 것들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해요 제가 소개한 방법이 여러분들에게 좋은 영감 되길 바라는 저는 디자인하는 아이였습니다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유튜버 미스터 비스트와 라이언트 등 성공한 유튜버들은 대중성과 예술성을 높였어요.

2. 이들의 성공 비결을 분석해보니 공통된 노하우가 있을 것 같았어요.

3. 그래서 AI 도움을 받아 유튜버들의 노하우를 체계적으로 분석했어요.

4. 분석 과정은 인터뷰, 스크립트 전사, 데이터 분류와 분석, 검증의 네 단계로 진행했어요.

5. 인터뷰는 영상이나 유튜브 비디오를 선정해 정보를 얻었어요.

6. 스크립트는 위스퍼 AI로 쉽게 전사했어요.

7. 자연어 처리 GPT-4를 활용해 데이터 패턴을 도출했어요.

8. 분석 결과는 영어로 진행했고, 최종 한글 번역 후 정리했어요.

9. 데이터는 카테고리와 디테일로 분류했고, 중요도도 1~10점까지 세분화했어요.

10. 원문 내용도 찾아서 핵심만 요약해 정리했어요.

11. 피그마 피그 잼 보드로 정리해 시각화했어요.

12. 여러 테이블을 만들어 누적 빈도와 강조도를 분석했어요.

13. 그룹별로 묶고, 중요도와 빈도를 종합해 신뢰도를 평가했어요.

14.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인사이트를 도출했어요.

15. 첫 번째 인사이트는 품질이 가장 중요하다는 거예요.

16. 고품질 영상은 알고리즘보다 시청자가 좋아하는 콘텐츠를 만들어야 해요.

17. 성공 영상은 시청자가 원하는 내용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어요.

18. 시청자 중심의 콘텐츠가 조회수와 구독자를 늘린다고 해요.

19. 두 번째 인사이트는 실행이 가장 중요하다는 거예요.

20. 처음부터 완벽하려 하지 말고, 일단 많이 만들어보라고 조언해요.

21. 많은 유튜버들이 일정량의 영상 업로드를 통해 니치(틈새)를 찾는다고 해요.

22. 니치를 찾기 위해선 경험이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23. 레이어링 전략으로 자신만의 정체성을 만들어 다양한 콘텐츠를 시도하라고 해요.

24. 예를 들어, 생산성, AI, 디자인 등 여러 레이어를 겹쳐서 콘텐츠를 확장하는 거죠.

25. 마지막 인사이트는 꾸준히 영상 개선하며 성장하는 게 핵심이라는 거예요.

26. 50개, 100개 영상 업로드를 목표로 하며, 계속 개선하라고 조언해요.

27. 양적 목표를 세우고 꾸준히 업로드하면 자연스럽게 니치도 파악된다고 해요.

28. 이 분석 방법과 인사이트를 통해 누구나 유튜브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어요.

29. AI 활용으로 지식이 부족한 사람도 충분히 리서치와 분석이 가능하다고 믿어요.

30. 유튜브는 꾸준히 도전하는 것과 양질의 콘텐츠 제작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어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