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깨부순 지정학적 가상현실의 경계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요약 정리
1. 소리 테스트 및 와이파이 문제
- 방송 시작 전 소리 테스트를 진행했고, 마이크에 소리가 잘 들어가는 것을 확인했다.
- 와이파이 연결 상태가 좋지 않아 방송 중 렉이 걸릴 수 있다는 점을 미리 알렸다. (3~4천 명 이상 동시 접속 시 발생)
- 와이파이로 다시 연결하여 방송을 진행했지만, 통신사 문제일 가능성도 언급했다.
2. 이더리움 대불장과 '퀵머니' 추구의 위험성
- 최근 이더리움 가격이 급등하며 '대불장'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 원래 비트코인 다음 이더리움 순서인데, 이번에는 이더리움이 먼저 치고 나갔다고 설명했다.
- 비탈릭 부테린의 "비트코인처럼 심플해지자"는 선언이 시장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했다고 언급했다.
- 과거 비트코인 투자로 큰 수익을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퀵머니'만 쫓는 사람들은 결국 성공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 이더리움이 잠시 주춤했을 때 "이더는 왜 안 가냐"는 댓글을 단 사람들은 이 생태계에 맞지 않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3. '엣지'와 '퀵머니'에 대한 오해
- '퀵머니'를 쫓는 사람들이 성공하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하며, '엣지'라는 개념을 잘못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 자신의 '엣지'를 과대평가하는 사람들은 도박이나 선물 옵션 등으로 망하는 경우가 많다고 경고했다.
- 성공한 도박사들은 '엣지'를 2% 정도로 보지만, 일반인들은 몇 번 성공하면 자신을 과대평가한다고 설명했다.
- 특히 남자들이 자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했다.
4. 비트코인 투자와 '선택권'에 대한 고찰
- 비트코인 투자에 대한 확신이 있었지만, 무모하게 빚을 내서 투자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생활 유지, 시간 지체 가능성 고려)
- 마이클 세일러의 비트코인 투자 방식과 한국의 상황을 비교하며, 한국에서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 모빅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몰라서 안 한 것이 아니라, 똑같이 행동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 사람들이 비트코인을 '가짜 돈'으로 규정하고 비판하는 태도를 비판하며, 이는 논리가 아닌 편견이라고 지적했다.
- 사토시 나카모토의 비트코인 창시와 자신의 모빅 실험을 비교하며, '선택권'이라는 것은 환상일 뿐이라고 말했다.
5. 엘리티시즘과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
- 스마트폰, AI, 자동차 등 현대 문명의 발전을 소수가 이끌었음을 지적하며, 엘리티시즘을 깔고 있다고 주장했다.
- 민주주의가 절대적인 가치 기준이 되는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며, 인류 문명의 밑바탕은 '1인 1표'가 아닌 '1인 다수'의 기여라고 말했다.
- 수학 능력에 대한 '척도 스케일'을 설명하며, 천재들은 일반인과 비교할 수 없는 존재라고 강조했다.
- 소수 엘리트들이 세상을 이끌어가는 것이 당연하며, 이를 무시하고 평등만을 외치는 것은 잘못되었다고 주장했다.
- 자신이 '엘리티시즘'을 이야기하는 것은 귀족 체제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6. 지정학과 금융 질서의 변화
- 한국 사회의 지정학적 사고의 한계를 지적하며, 세상의 '외곽'을 생각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 트럼프의 등장을 시스템이 만든 현상으로 분석하며, 미국의 지정학적 위치 변화를 언급했다.
- 선배 세대들이 지정학적 온실 속에서만 사고했기 때문에 변화를 받아들이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등장으로 기존 금융 질서가 깨지고 있으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정학을 알아야 한다고 말했다.
- 강달러와 달러 패권을 혼동하는 오류를 지적하며, 미국 재무장관의 발언 변화와 그 의미를 설명했다.
7. 세상의 변화와 개인의 태도
- 6개월 만에 세상이 변했으며, 자신을 만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 서울시 공무원이 자신을 배제했던 사건을 언급하며, 세상의 인식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 비트코인에 대해 비판적인 사람들은 사토시 나카모토와 멀리 있는 사람들이라고 정의하며, 그들은 결국 소외될 것이라고 말했다.
- 자신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징징거리지 말라고 당부하며, 세상은 바뀌고 있으니 인내심을 가지라고 강조했다.
- '주제 파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신이 세상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파악하고 행동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