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어위브 분석으로 보는 써클 투자 필수 체크포인트 2탄!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X1의 주간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및 전략 분석
안녕하세요! 새로운 한 주가 시작되었네요. 구독자 2,000명 돌파, 정말 감사합니다! 더 열심히 할게요.
1. 10만 달러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 구글: 180달러 돌파 시 추격 매수 (2,800달러 매수 완료)
- 서클: 새로운 '안전 마진 전략' 투입 (1% 편입 완료, 앞으로 추가 편입 및 매도 예정)
2. 서클 '안전 마진 전략' 상세 설명
- 핵심: 주가가 10% 하락할 때마다 1%씩 추가 매수. 본전 오면 보유 물량의 절반 매도. 최대 6%까지 투자.
- 원리: 주가가 하락했을 때 추가 매수를 통해 평균 매수 단가를 낮춰, 더 적은 상승으로도 본전에 도달하게 하는 전략.
- 예시:
- 20% 하락 시: 그냥 기다리면 25% 올라야 본전. 물타기 하면 10% 손실 후 11%만 올라도 본전.
- 10% 하락 시: 그냥 기다리면 11% 올라야 본전. 물타기 하면 5% 하락 상태에서 5.5%만 올라도 본전.
- 서클 세팅:
- 현재가: 202달러 (1% 매수)
- 추가 매수 구간: 182달러, 164달러, 147달러, 133달러, 119달러 (각 1%씩)
- 매도 조건: 본전 도달 시 보유 물량의 절반 매도
- 10% 구간 설정 이유: 과거 박스권 하단(105달러)과 상단(135달러)의 평균값인 120달러를 고려하여 5번의 추가 매수가 마지막에 120달러 근처에 오도록 설정.
3. '안전 마진 전략' 실제 사례 (엔비디아, 테슬라)
- 엔비디아: 연초 대비 14% 상승 시, 이 전략 사용 시 54% 수익 달성.
- 주가 하락 시마다 추가 매수, 본전 시 절반 매도로 평단가를 낮추고 수익률 극대화.
- 테슬라: 연초 대비 16% 하락 시, 이 전략 사용 시 31% 수익 달성.
- 마찬가지로 하락 시마다 추가 매수, 본전 시 절반 매도로 수익률을 높임.
4. 코어 위브 (CoreWeave) 분석 및 IPO 전략 적용
- 코어 위브 소개: AI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 엔비디아의 핵심 파트너이자 투자사. GPU 운영 기술을 바탕으로 AI 시장에 진출.
- 강점:
- AI 작업 속도 및 비용 효율성 우수 (최대 35배 빠르고 80% 저렴)
- 엔비디아와의 강력한 파트너십 (최신 GPU 우선 공급, 투자)
- AI 데이터센터 전력 확보를 위한 코어 사이언티픽 인수
- 리스크:
- 막대한 부채 (12조 원) 및 지속적인 적자
- 내부 통제 취약점 (회계 시스템 미비)
- 매출의 62%가 마이크로소프트에 집중
- IPO 전략 적용:
- 상장 후 박스권 돌파 시 매수, 이전 양봉 저점에 스탑 로스 설정.
- 리스크 대비 5배, 10배, 15배 타겟으로 분할 매도.
- 코어 위브의 경우, 5배와 10배 타겟은 달성했으나 15배는 아쉽게 놓침.
- 20일선 지지 및 반등 시 거래량 확인 중요. 거래량 부족 시 추가 하락 가능성.
- 현재 50일선 터치 임박, 108달러 지지선 확인 필요.
5. 시장 섹터별 움직임 (지난 주)
- 상승: 에너지 (+2.41%), 유틸리티 (+0.75%), 산업재 (+0.52%), 원자재 (+0.16%), 임의소비재 (+0.1%)
- 하락: 헬스케어 (-0.23%), 기술주 (-0.43%), 부동산 (-0.55%), 필수소비재 (-1.67%), 커뮤니케이션 (-1.88%), 금융 (-1.94%)
- 총평: 관세 문제에도 불구하고 S&P 500은 0.29% 약보합으로 선방. 필수소비재, 커뮤니케이션, 금융 섹터가 지수 하락을 주도.
6. 이번 주 전망
- 관세 문제로 시장 변동성 예상. 하락 시 매수 기회로 활용할 계획.
결론적으로, 저희는 계획대로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으며, 특히 서클에 '안전 마진 전략'을 도입하여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고 수익률을 높이는 데 집중할 것입니다. 코어 위브 사례를 통해 IPO 전략의 유효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으며, 앞으로도 룰에 맞춰 꾸준히 투자해 나가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