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재들의 위기? 의대 쏠림 현상과 2025 트렌드 분석!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2025 메리미커 트렌드 리포트 요약 (중학생 눈높이)
최근에 KBS 다큐멘터리 '공대에 미친 중국' 봤지? 거기서 중국이랑 미국은 기술 개발에 엄청 투자해서 AI 분야에서 앞서나가는데, 우리나라는 똑똑한 사람들이 다 의대만 가려고 하는 현실을 꼬집었잖아.
이번에 5년 만에 나온 메리미커 트렌드 리포트라는 유명한 보고서를 읽어봤는데, 이게 딱 그런 이야기를 잘 설명해주고 있더라고. 340페이지나 되는 방대한 내용인데, 기술이랑 세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왜 중국은 공대에 미치고 우리는 의대에 미치는 게 우리에게 위기인지 분석해놨어.
이 보고서는 AI가 올해의 주인공이라고 딱 말하고 있어.
1. AI, 인터넷보다 7배 빨라!
- 세상이 얼마나 빨리 변하는지 데이터로 보여주는데, AI가 가져오는 변화는 인터넷이 처음 나왔을 때보다 훨씬 더 빠르대.
- 챗GPT만 봐도 17개월 만에 사용자 수가 8배 늘어서 8억 명이 됐다고 해.
- AI 기술 발전 속도를 보면, 미국 외 사용자가 90% 넘는 데 인터넷은 23년 걸렸는데, AI는 단 3년밖에 안 걸렸대. 이건 미국만 기술을 발전시키는 게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빠르게 따라오고 있다는 증거야.
- 챗GPT 모바일 앱 사용자 1위가 미국이 아니라 인도라는 것도 놀랍지.
- AI 관련 IT 직업은 지난 7년간 448%나 늘었는데, AI랑 관련 없는 IT 직업은 오히려 9% 줄었대.
2. AI, 얼마나 빨리 우리 삶에 들어올까?
- 100만 사용자를 얻는 데 걸린 시간을 보면, 옛날 자동차(포드 모델 T)는 2,500일, 아이폰은 74일 걸렸는데, 챗GPT는 단 5일 걸렸대.
- 챗GPT 나온 지 2년 후에 사람들이 챗GPT로 검색하는 양이, 구글 나온 지 11년 후 검색량과 똑같다고 하니 얼마나 빨리 퍼지는지 알겠지?
- 지금 챗GPT는 글쓰기, 요약, 정보 찾기 등을 도와주는데, 앞으로 5년 뒤에는 인간 수준의 코딩, 게임 제작, 로봇 조종, 고객 서비스 관리까지 할 수 있대.
- 10년 뒤에는 과학 연구, 신기술 개발, 회사 운영, 전문가 수준의 의사 결정까지 혼자 할 수 있을 거라고 하니 정말 무섭지?
3. AI 투자, 누가 돈 벌고 있을까?
- 기업들이 주가를 올리기 위해 실적 발표 때 AI 언급을 많이 하는데, 2020년에는 10% 정도였던 게 2025년에는 50%가 될 거라고 해.
- AI 투자로 돈 버는 회사는 크게 네 가지야.
- AI 칩 만드는 회사: 대표적으로 엔비디아. AI 사업 매출이 매년 78%씩 늘고 있고, 시가총액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어.
- AI 인프라 제공 회사: 오라클처럼 기업들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 관리하게 해주는 회사들이 AI 인프라 구축에 중요해. 오라클 AI 인프라 관련 매출이 2년간 50배 올랐고, 창업자는 일론 머스크 다음으로 부자 2위가 됐어.
- 데이터 센터 제공 회사: 빅테크 기업들이 데이터 센터 투자를 늘리면서 관련 회사들도 돈을 많이 벌고 있어. 빅테크들의 데이터 센터 투자는 매년 21%씩 늘고 있고, 이 돈으로 엔비디아 칩을 사니까 엔비디아 매출도 늘어나는 거지.
- 생성형 AI 기업: 오픈AI, 앤트로픽 같은 스타트업들이 매출이 매년 10배씩 늘고 있고, 오픈AI 기업 가치는 삼성전자보다 큰 500조 원 이상으로 평가받고 있어.
4. 중국의 무서운 추격과 한국의 현실
- 새로운 AI 모델 수는 미국이 가장 많지만, 중국이 빠르게 따라오고 있어. AI 성능도 중국이 미국을 바짝 추격 중이야.
- 중국은 산업용 로봇 도입도 압도적으로 많은데, 이건 중국 학생들이 얼마나 공대에 진심인지 보여주는 증거 같아. 다큐멘터리에서 본 것처럼 중국 초등학생도 미래에 개발자가 되고 싶다고 말하는 분위기가 부럽더라.
- 예전에는 실리콘밸리에서 잘 나가는 개발자들이 인도 사람들이 많았는데, 요즘은 중국 사람들이 그 자리를 차지하고 있어. 메타 같은 회사에서 비싼 연봉으로 스카우트하는 개발자들도 대부분 중국 이름이라고 해.
-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똑똑한 학생들이 다 의대만 가려고 하는 현실이 안타까워. 중국처럼 공대에 가는 분위기를 만들려면, 한국 테크 기업들이 더 성장해서 좋은 연봉을 줘야 하는데, 그게 쉽지 않다는 게 문제야.
5. AI 시대, 양극화가 온다!
- 이 보고서의 핵심은 AI 없이는 살 수 없는 세상이 올 거라는 거야. 30년 전 인터넷이 없어도 살 수 있었지만, 지금은 상상도 못 하잖아? AI도 마찬가지래.
- 기술 발전 속도가 빠를수록 양극화가 심해진다고 해.
- 커리어 양극화: 변화의 중심에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커리어 격차가 벌어질 거야.
- 부의 양극화: 변화에 투자 잘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부 격차도 커질 거야.
결론적으로, AI 시대에는 기술 변화를 잘 이해하고 준비하는 것이 중요해. 우리 모두 이 양극화 속에서 우상향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