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꼰대로) 살지 마세요. 좋은 (어른으로) 살아야 합니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50대 후반이나 60대에 자신이 어떻게 살아야 할지 물어보는 건 슬픈 일입니다.
- 왜냐하면 자신을 돌아보지 않고, 궁금해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우리나라 전체가 꿈이 없는 사회가 되었어요.
- 지금은 할 일이 없고, 싸울 일만 남았어요.
- 장자는 말과 태도에 질서가 없으면 어른이 아니라고 했어요.
- 어른은 원리에 맞는 말과 태도를 보여야 해요.
- 정해진 마음에 빠지면 생각이 멈추고, 진영 싸움만 하게 돼요.
- 정해진 마음에 갇히면 세계의 원리와 궁금증을 잃어요.
- 말과 태도에 질서가 있으면 보편적이고 가치 있는 어른이 될 수 있어요.
- 좁은 마음은 당연한 것에 집착하게 만들고, 말이 많아져요.
- 당연한 것에 집착하면 궁금증도 사라지고, 진리도 왜곡돼요.
- 청춘은 호기심과 궁금증이 많은 사람입니다.
- 자신에 대해 끊임없이 궁금해하는 게 중요해요.
- 자신을 돌아보는 길이 가장 어렵고, 그게 가장 가치 있어요.
- 자기 자신을 궁금해하면 성숙하고, 삶도 풍요로워집니다.
- 자기 안에서 솟아나는 열정과 포부가 지치지 않게 해줍니다.
- 꿈과 포부가 있으면 하루하루 힘들지 않아요.
- 꿈이 없으면 하루하루가 힘들고 지치기 쉽습니다.
- 자기 삶의 경로를 만들어야 하고, 그게 슬픈 현실입니다.
- 자기를 궁금해하고, 자신에게 질문하는 게 중요해요.
- 자신이 하는 일을 설명하며 의미를 찾는 게 성장의 길입니다.
- 꿈이 없는 사회는 존재론적 성장이 멈춘 사회입니다.
- 꿈이 없으면 할 일이 없고, 싸움과 모방만 남아요.
- 야망과 포부가 있으면 절대 지치지 않아요.
- 인생은 짧고, 자기 내면을 탐구하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