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대별 인생 파괴하는 결정적 함정 3가지 공개!
인생의 변곡점과 함정들, 그리고 행복을 찾는 법
20대, 영원할 것 같은 시간과 잘못된 선택
20대에는 시간이 영원할 것처럼 느껴져서 뭘 해도 괜찮다고 생각하기 쉬워. 하지만 잘못된 방향으로 달려가면 오히려 더 빨리 나락으로 떨어질 수 있어. 작은 불행이 계속 이어지면 삶 전체가 흔들릴 수 있지.
뇌는 변한다! 25살까지는 뇌가 계속 바뀐대.
그래서 20대 초반과 후반이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는 경우도 많아. 인생이 안 풀릴 때 "그때 그 전공을 선택했더라면..." 또는 "그 대학에 갔더라면..." 하고 후회하는 경우가 있는데, 사실 취업 시기가 조금 늦는다고 해서 인생의 큰 변곡점이 되는 건 아니야. 1년 먼저 취직해도 금방 그만두는 사람이 있고, 늦게 시작해도 오래 일하는 사람도 있으니까.
나에게 맞는 삶을 찾아야 해.
- 회사 생활: 회사에 들어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내가 회사 생활에 맞는 사람인지 먼저 생각해야 해. 맞지 않는 회사에 억지로 다니면 계속 불행할 수 있어. 그냥 내 할 일만 열심히 하면 되는 부분을 찾는 게 중요해.
- 결혼: 결혼이 맞는 사람과 안 맞는 사람이 있어. 결혼이 안 맞는데 억지로 하면 인생이 지옥이 될 수도 있지.
- 술: 40대 중반에서 50대 중반에는 술이 사람을 망가뜨릴 수 있어. 술 때문에 직장을 잃거나 뇌가 망가질 수도 있으니 조심해야 해.
외모, 공부, 가능성... 20대에 뭘 신경 써야 할까?
- 외모: 20대에 외모에 신경 쓰는 건 당연해. 외모가 좋으면 유리한 건 사실이야. 하지만 나이 들어서 외모 때문에 후회하는 사람보다, 30대에 힘들어서 외모 관리를 못 한 걸 50대에 후회하는 사람이 더 많아.
- 공부: 공부를 후회하는 사람은 별로 못 봤어. 오히려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결과를 얻는 게 중요하지.
- 가능성: 20대에는 자신의 가능성을 너무 높게 보는 경향이 있어. 가능성은 내 안에 있지만, 남에게 인정받지 못하는 가능성에 너무 매달리다 보면 시간이 다 가버릴 수 있어.
30대 이후, 중년의 함정들
- 자녀 교육: 중년 이후에는 자녀 교육에 너무 신경 쓰다가 오히려 관계가 나빠질 수 있어. 공부 때문에 자녀와 싸우고 질책하는 것은 좋지 않아. 자녀와 함께하는 소중한 시간을 즐거움으로 채워야 해.
- 우울증: 40대에는 우울증이 큰 함정이 될 수 있어. 우울증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거나, 충동적으로 투자하거나, 이혼하거나, 바람을 피우는 등 잘못된 선택을 할 수 있어. 우울증은 중년에 가장 큰 위험 요소야.
불행을 피하고, 비교는 현명하게!
불행해지면 우리는 더 취약해지고, 불행을 극복하려고 더 애쓰게 돼. 잘못된 방향으로 달려가면 더 빨리 떨어질 뿐이야. 비교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누구와 비교하느냐가 중요해. 희망이 있을 때 비교하면 부러워하는 정도지만, 불행할 때 비교하면 괴로워져. 부정적인 감정을 다스리는 능력이 필요해.
걱정과 포기, 그리고 회복 탄력성
걱정이 많다는 건 한계에 도달했다는 신호일 수 있어. 걱정하지 않고 포기하지 않는 사람도 있지만, 걱정은 많지만 포기하지 않는 사람도 있어. 이런 사람들은 준비성이 철저하다고 볼 수 있지.
행복은 타고나는 걸까?
행복하고 재미있게 사는 사람들은 타고나는 부분도 있지만, 회복 탄력성이 강한 사람들도 있어. 하지만 회복 탄력성이 너무 강하면 실패에서도 쉽게 일어나 다시 같은 실수를 반복할 수도 있어.
미래를 위한 노력, 그리고 현재의 행복
미래를 위해 현재를 희생하는 것도 나쁘지 않아. 성취감을 느낀다면 말이야. 돈 모으는 것을 즐거움으로 삼는 사람처럼, 덜 불행한 것도 행복의 한 형태일 수 있어. 미래만 바라보고 고생하는 사람을 너무 비난하지 말자.
나의 기질과 자유 의사
내가 어떤 기질을 가졌는지, 성공을 위해 얼마나 내 의지로 노력했는지가 중요해. 배우자 때문에 돈을 많이 벌어야 했다면, 그 노력은 행복하지 않을 수 있어. 소극적인 사람은 부모님의 강요에도 공부하는 척만 할 수도 있고, 대강대강 살아도 운이 좋아서 잘 되는 사람도 있어. 사회가 열심히 사는 것을 강요해도, 자신의 본성을 따르는 것도 괜찮아.
시간관과 행복
심리학자 진바르도는 시간관에 따라 행복이 달라진다고 했어.
- 과거: 과거를 긍정적으로 기억하는 사람은 행복하지만, 부정적으로 기억하는 사람은 불행해.
- 현재: 현재를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이 행복해.
- 미래: 미래 지향적인 사람이 행복해.
현재를 즐기면서 미래를 조금 더 생각하는 사람이 행복할 수밖에 없어.
불행에서 벗어나는 법
불행하다고 느낄 때는 두 가지 이유가 있어.
- 돈이 없을 때: 선택권이 없기 때문에 돈이 생겨야만 벗어날 수 있어. 이때는 행복을 뒤로 미룰 수밖에 없어.
- 싫어하는 일을 해야 할 때: 하기 싫은 일은 그냥 미뤄두고, 나를 비난하는 사람 대신 나를 좋아해 주는 사람을 만나면 행복해질 수 있어. 게임이나 유튜브를 보며 잠시 불행을 잊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뇌와 도파민, 그리고 나 자신
뇌는 행복할 때 도파민이 차올라. 불행하면 도파민이 낮아져서 더 강한 자극이 필요하게 돼. 쇼츠나 유튜브만 보게 되는 건, 뇌가 현재 그 정도의 즐거움밖에 감당할 수 없는 상태라는 뜻이야. 나 자신을 불쌍히 여기고 원망하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