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영상은 피라미드가 최고 권력 상징임을 설명해요.
- 작은 나라에서 KTX로 공간이 더 압축됐어요.
- 좁은 땅에서 계속 싸우면 제로섬 마인드에 빠질 수 있어요.
- 유튜버, 건축학 교수님이 공간에 대해 이야기하셨어요.
- 책 '공간 인간'을 통해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했어요.
- 인간에게 중요한 세 가지는 시간, 공간, 인간이죠.
- 건축가는 인간 중심으로 공간을 다루는 직업이에요.
- 공간은 경험과 생각을 아우르는 큰 그릇 같아요.
- 저자는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책을 썼어요.
- 도시, 건축, 공간 모두 관심사에 포함돼 있어요.
- 책에는 메타버스와 공간 관련 이야기도 나와요.
- '포모스파티움'이라는 별칭도 교수님이 만드셨어요.
- '공간 인간'이란 이름은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보여줘요.
- 호모 사피엔스는 공간을 잘 이용하는 인간을 의미해요.
- 건축은 관계를 이어주는 매개 역할을 해요.
- 벽, 창문, 계단 등은 관계를 조율하는 건축 요소예요.
- 건축물은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하며 발전했어요.
- 로마와 몽골 제국의 건축 차이도 언급돼요.
- 로마는 건축으로 권력을 보여줬어요.
- 몽골은 유목민이라 건축물 없이 통치했어요.
- 피라미드, 지구라트는 권력 상징이에요.
- 피라미드는 높이와 돌 규격이 대단했어요.
- 돌을 멀리서 가져와 쌓았던 기술이 놀라워요.
- 피라미드는 노동력과 조직력을 보여줘요.
- 고대 인부들도 치료받으며 일했어요.
- 건축물은 권력과 본능을 보여주는 상징이에요.
- 인간은 본능적으로 거대한 건축물을 좋아해요.
- 크고 무거운 건축물에 경외심이 생기죠.
- 현대도 대기업, 교회 등 건축으로 권력을 보여줘요.
- 인간은 본능적으로 크고 무거운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 커다란 집, 두꺼운 책상은 권력 느낌을 줘요.
- 부동산이 현대 권력의 상징이 됐어요.
- 어디 사느냐가 사람 가치를 보여줘요.
- 우리나라의 다양성 부족 이유는 표준화 때문이에요.
- 기후 차이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이 생기는데, 한국은 작아요.
- KTX로 공간이 더 압축돼서 도시화가 빨라졌어요.
- 앞으로 초고속 교통으로 하나의 도시처럼 될 거예요.
- 우리나라 사람들은 제로섬 마인드에 빠졌어요.
- 네덜란드 사람들은 바다를 확장 공간으로 봐요.
- 일본은 유럽과 무역하며 공간을 확장했어요.
- 우리나라는 농경사회라 땅 중심 사고가 강했어요.
- 바다로 나갈 생각이 적었어요.
- 신라 때 해양 국가적 면모도 있었어요.
- 고려 때 해양 무역이 활발했어요.
- 통일신라는 해양 접근성이 좋아요.
- 서울은 해양 국가로 발전하기 어려웠어요.
- 우리나라 지리적 한계와 조수 차가 문제였어요.
- 과거 장보고의 활동지인 완도는 해양 강국이었어요.
- 고려 때 해양 문화가 발달했어요.
- 통일신라는 유럽 문화도 받아들였어요.
- 한양은 내륙에 있어 해양 진출이 어려웠어요.
- 통일 후 수도를 바꾸는 것도 고려했어요.
- 우리나라가 다양성 부족한 이유는 역사와 지리 때문이에요.
- 공간이 우리 마음속에 깊게 자리 잡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