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어디 사세요?" 이제 가장 불편한 질문이 될 겁니다...사는 지역이 등급이 된 시대 / 유현준 교수 (1부)

  1. 이 영상은 피라미드가 최고 권력 상징임을 설명해요.
  2. 작은 나라에서 KTX로 공간이 더 압축됐어요.
  3. 좁은 땅에서 계속 싸우면 제로섬 마인드에 빠질 수 있어요.
  4. 유튜버, 건축학 교수님이 공간에 대해 이야기하셨어요.
  5. 책 '공간 인간'을 통해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했어요.
  6. 인간에게 중요한 세 가지는 시간, 공간, 인간이죠.
  7. 건축가는 인간 중심으로 공간을 다루는 직업이에요.
  8. 공간은 경험과 생각을 아우르는 큰 그릇 같아요.
  9. 저자는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라는 책을 썼어요.
  10. 도시, 건축, 공간 모두 관심사에 포함돼 있어요.
  11. 책에는 메타버스와 공간 관련 이야기도 나와요.
  12. '포모스파티움'이라는 별칭도 교수님이 만드셨어요.
  13. '공간 인간'이란 이름은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보여줘요.
  14. 호모 사피엔스는 공간을 잘 이용하는 인간을 의미해요.
  15. 건축은 관계를 이어주는 매개 역할을 해요.
  16. 벽, 창문, 계단 등은 관계를 조율하는 건축 요소예요.
  17. 건축물은 자연스럽게 관계를 형성하며 발전했어요.
  18. 로마와 몽골 제국의 건축 차이도 언급돼요.
  19. 로마는 건축으로 권력을 보여줬어요.
  20. 몽골은 유목민이라 건축물 없이 통치했어요.
  21. 피라미드, 지구라트는 권력 상징이에요.
  22. 피라미드는 높이와 돌 규격이 대단했어요.
  23. 돌을 멀리서 가져와 쌓았던 기술이 놀라워요.
  24. 피라미드는 노동력과 조직력을 보여줘요.
  25. 고대 인부들도 치료받으며 일했어요.
  26. 건축물은 권력과 본능을 보여주는 상징이에요.
  27. 인간은 본능적으로 거대한 건축물을 좋아해요.
  28. 크고 무거운 건축물에 경외심이 생기죠.
  29. 현대도 대기업, 교회 등 건축으로 권력을 보여줘요.
  30. 인간은 본능적으로 크고 무거운 것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31. 커다란 집, 두꺼운 책상은 권력 느낌을 줘요.
  32. 부동산이 현대 권력의 상징이 됐어요.
  33. 어디 사느냐가 사람 가치를 보여줘요.
  34. 우리나라의 다양성 부족 이유는 표준화 때문이에요.
  35. 기후 차이로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이 생기는데, 한국은 작아요.
  36. KTX로 공간이 더 압축돼서 도시화가 빨라졌어요.
  37. 앞으로 초고속 교통으로 하나의 도시처럼 될 거예요.
  38. 우리나라 사람들은 제로섬 마인드에 빠졌어요.
  39. 네덜란드 사람들은 바다를 확장 공간으로 봐요.
  40. 일본은 유럽과 무역하며 공간을 확장했어요.
  41. 우리나라는 농경사회라 땅 중심 사고가 강했어요.
  42. 바다로 나갈 생각이 적었어요.
  43. 신라 때 해양 국가적 면모도 있었어요.
  44. 고려 때 해양 무역이 활발했어요.
  45. 통일신라는 해양 접근성이 좋아요.
  46. 서울은 해양 국가로 발전하기 어려웠어요.
  47. 우리나라 지리적 한계와 조수 차가 문제였어요.
  48. 과거 장보고의 활동지인 완도는 해양 강국이었어요.
  49. 고려 때 해양 문화가 발달했어요.
  50. 통일신라는 유럽 문화도 받아들였어요.
  51. 한양은 내륙에 있어 해양 진출이 어려웠어요.
  52. 통일 후 수도를 바꾸는 것도 고려했어요.
  53. 우리나라가 다양성 부족한 이유는 역사와 지리 때문이에요.
  54. 공간이 우리 마음속에 깊게 자리 잡았어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