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슬리모닝브리프] 글로벌 주식시장 밸류에이션 체크. 파마리서치/네이버 실적 [25/08/11]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8월 11일 월요일 체슬리 모닝 브리프 요약
미국 시장 리뷰
- 전반적인 상승세: S&P 500 지수는 0.78% 상승하며 마감했고, 애플의 관세 이슈 완화와 실적 호조가 시장을 이끌었습니다. 애플은 이번 주에만 13.3% 상승했습니다.
- 나스닥 100 사상 최고가 경신: 나스닥 지수는 0.98% 상승했으며, 나스닥 100 지수는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습니다. 반도체 관련 관세 이슈 해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빅테크 강세: 구글, 테슬라, 메타, 엔비디아, 넷플릭스 등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상승했습니다. 특히 넷플릭스는 최근 조정을 받다가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 52주 신고가 종목 다양: 특정 섹터에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종목들이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며 중형주 시장도 활기를 보였습니다.
- 국채 금리 상승: 국채 10년물과 2년물 금리가 모두 상승했습니다. 국채 발행 물량에 대한 우려도 있지만, 현재까지는 잘 소화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 원자재 및 암호화폐 상승: WTI 유가, LME 비철금속, 금, 비트코인 모두 상승했습니다.
- SMR 급락: 연초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던 SMR은 실적 발표 후 차익 매물 출회로 11.93% 하락했습니다.
-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상승: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6.3% 상승하며 국내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팔란티어 급등: 팔란티어는 실적 발표 이후에도 2.6% 상승하며 YTD 147.2%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 테슬라 로보택시 관련 이슈: 텍사스에서 로보택시 운영 면허를 발급받았다는 소식에 테슬라는 3.4% 하락했습니다.
- 중국 ADR 혼조세: 알리바바와 징동닷컴은 하락했지만, 핀둬둬와 리오토는 상승했습니다.
시장 우려 요인 및 분석
- 국채 발행 물량 부담: 국채 발행 물량 증가로 인한 금리 상승 및 주식 시장 압박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7월 국채 순발행 규모가 예상치에 부합하며 시장에서 잘 소화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 기업 실적 호조: 2분기 실적 발표에서 S&P 500 기업의 81%가 EPS 추정치를 상회하며 전년 대비 높은 수준의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EPS 증가율도 상향 조정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섹터별 차별화: IT, 금융,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섹터에서 이익 개선이 나타나고 있으며, 대형 섹터들이 지수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섹터별로 실적 차별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 엔비디아 및 AMD 중국 판매 관련 이슈: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 내 칩 판매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했다는 소식이 나왔습니다. 이는 영업이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향후 대법원 판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
- 밸류에이션 부담: 주요 지수가 사상 최고치 근처에 있는 상황에서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 종목 선별과 분산 투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주요 경제 지표 및 전망
- 이번 주 주요 경제 지표: CPI, 주간 소매 판매,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 지수 발표 예정입니다. 시장에서는 CPI와 PPI가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미중 관세 유예 기간 만료: 8월 12일 미중 관세 유예 기간 만료를 앞두고 협상 결과에 주목해야 합니다.
국내 시장 리뷰
- 코스피 하락, 코스닥 상승: 금요일 코스피는 0.5% 하락했지만, 코스닥은 상승 마감했습니다.
- 개인, 외국인, 기관 매도: 개인, 외국인, 기관 모두 순매도를 기록했습니다.
- 삼성전자 강세, 하이닉스 약세: 삼성전자는 4.2% 상승했지만, 하이닉스는 2%대 약세를 보이며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습니다.
- 중소형주 강세: 카카오, 한국전력, KT&G 등 중소형주들이 강세를 보이며 지수 상승에 기여했습니다.
- 반도체 소부장 강세: HPSP, 원익IPS, 심텍, 두산테스나 등 반도체 장비 및 소재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화장품 및 바이오 섹터 강세: 파마리서치, APR, KT&G 등 화장품 및 관련 섹터가 강세를 보였으며, LG엔솔은 하락했지만 LNF와 세비캠은 상승했습니다.
- 방산주 약세: LIG넥스원, 하나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등 방산주들이 부진한 실적 발표로 약세를 보였습니다.
- 엔터테인먼트 섹터 강세: 하이브, JYP, SM 등 엔터테인먼트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개별 종목 분석
- 파마리서치: 2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하며 매출과 이익 모두 성장세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국내 리주란 매출이 크게 증가했으며, 유럽 등 해외 수출 확대도 기대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인 전망이 제시되었습니다.
- 네이버: 2분기 실적은 시장 기대치에 부합했습니다. 커머스 부문의 성장이 지속되고 있으며, AI 기반 서비스 강화 노력이 진행 중입니다. 다만, 밸류에이션 부담과 경쟁 심화에 대한 우려도 존재합니다.
중국 시장 리뷰
- 미중 관세 불안감 및 실적 발표 대기: 미중 관세 관련 불확실성과 주요 기업들의 실적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짙어졌습니다.
- 일부 섹터 강세: 소비재, 산업재, 에너지 섹터가 강세를 보였으며, 특히 철강 및 기계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습니다.
- 리튬 가격 상승 기대감: 일부 리튬 광산 가동 중단 소식과 중국의 전통적인 전기차 판매 성수기 진입 기대감으로 리튬 가격 상승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화훙반도체 실적 호조: 화훙반도체는 2분기 실적이 시장 가이던스를 상회하며 매출과 이익이 모두 증가했습니다. 중국 반도체 고도화 수혜가 기대됩니다.
금주 시장 전망
- 양봉 예상: 시장 참여자들은 대체로 양봉 마감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금리 인하 기대감과 시장의 매수 심리가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 주요 관심사: 미중 관세 협상 결과, 물가 지표 발표, 기업 실적 발표 등이 시장의 주요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