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알고리즘 해설과 작동 원리 7가지 비법 정리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이 영상은 유튜브 추천 영상이 심리학적 설계로 선정된 것임을 알려줍니다.
- 알고리즘은 인류의 시간을 하루 2시간 20분씩 빼앗으며 진화하고 있습니다.
- 이번 영상에서는 유튜브가 우리 심리를 어떻게 파악하는지 설명합니다.
- 유튜브 직원들은 사악한 악마가 아니며, 알고리즘은 복잡한 유기체와 같다고 합니다.
- 추천 영상 선정은 과거에는 조회수와 댓글만 고려했어요.
- 2010년 이후 유튜브는 시청 지속 시간을 도입해 낚시 영상 문제를 해결했어요.
- 시청 지속 시간은 영상 전체 대비 평균 시청 시간으로, 중요한 지표입니다.
- 유튜브는 그래프를 통해 시청자 관심도를 분석하고 광고 배치 전략을 세워요.
- 개인화 추천은 영상 데이터와 시청자 데이터를 조합해서 만들어집니다.
- 영상 데이터에는 썸네일, 좋아요, 댓글, 권위성 등이 포함됩니다.
- 시청자 데이터는 성별, 구독, 시청 기록, 시간대 등 다양한 정보를 반영합니다.
- 유튜브는 수백만 가지 데이터를 수집하며, 800억 개 이상이라고 합니다.
- 추천 과정은 수백 개 영상 후보군을 선별하고, 좋아할 확률에 따라 정렬합니다.
- 홈피드에는 구독 영상과 관심 영상이 주로 노출됩니다.
- 유튜브는 실시간 만족도를 고려해 다음 영상 추천도 조정합니다.
- 알고리즘은 영상 노출 위치와 버전도 실험하며 최적화합니다.
- 유튜브는 2011년 이후 급성장했고, 하루 시청 시간은 2시간 20분입니다.
- 유명 유튜버와 문화적 현상도 유튜브 덕분입니다.
- 콘텐츠 질 관리는 어려운 문제로, 사회적 범죄 영상은 금지됩니다.
- 경계선 콘텐츠는 삭제 않지만 노출을 제한하는 방식을 씁니다.
- 재미와 감동이 높은 영상은 더 추천받아 인기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결국 유튜브의 목표는 시청자의 심리를 파악해 체류 시간을 늘리는 것.
- 이로 인해 인류의 미래와 자율성 문제가 생기고 있습니다.
- AI와 기술 발전으로 자극적 콘텐츠와 도파민 중독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 현대인은 이미 미디어에 지배당하며, 현실 감각이 희미해지고 있어요.
- 인류 발전은 느린 사고와 깊이 있는 삶으로 이뤄졌습니다.
- 희망적으로, 인공지능이 인간을 뛰어넘어 대부분은 쾌락만 추구할 수도 있습니다.
- 개인 정보 유출보다 더 중요한 것은 행동 데이터와 심리 정보입니다.
- 구글은 데이터를 활용해 광고뿐 아니라 인공지능 학습에 사용합니다.
- 구글이 현실 데이터를 모아 인간 심리를 예측하는 세상이 올 수도 있습니다.
- 우리는 구글과 같은 기업이 사악해지지 않기를 기도하는 수밖에 없습니다.
- 유튜브 추천과 댓글은 편향과 가짜뉴스를 부추길 수 있습니다.
- 인기 댓글과 영상 추천이 사회적 프레임을 형성할 위험이 있습니다.
- 정치적 영향력과 선거에도 유튜브가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우리 스스로 댓글과 영상 소비 방식을 바꿔야 미래를 지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