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에 대해 의외로 많이 물어보는 질문! 납입한도, 가입조건, 투자 시 활용포인트 정리해드립니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ISA, 네 연금 살리는 프로젝트!
ISA에 대해 궁금한 점들을 속 시원하게 풀어줄게!
1. 일반 주식 계좌 vs ISA 계좌: 주식 그대로 옮길 수 있을까?
- 일반 주식 계좌에서 ISA 계좌로: 주식, 펀드, ETF 같은 걸 그대로 옮기는 건 불가능해.
- ISA 계좌에서 일반 주식 계좌로: 이건 가능해! 다만, ISA 계좌에서 받던 세금 혜택은 못 받게 되니 조심해야 해. 손해 보고 있는 주식을 옮겨서 손실을 확정하는 게 아쉬울 때 이렇게 할 수 있어.
2. 일반형 ISA vs 서민형 ISA: 혜택 더 많은 서민형으로 바꿀 수 있을까?
- ISA 유형별 혜택:
- 서민형: 비과세 한도 400만 원
- 일반형: 비과세 한도 200만 원
- 가입 조건:
- 서민형: 작년 소득이 총 급여 5천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3,800만 원 이하인 경우
- 일반형: 위 기준을 넘는 경우
- 변경 가능성: 원칙적으로 불가능해.
- 하지만! ISA 가입할 때 소득 기준은 작년 소득을 보는데, 이게 2월에 확정되거든. 그래서 1월에 가입하면 아직 소득이 확정 안 돼서 일반형으로 가입되더라도, 2월에 소득이 확정돼서 서민형 기준을 충족하면 자동으로 서민형으로 전환돼.
- 만기 연장 시: 만기 연장할 때도 소득 기준을 다시 보는데, 이때 소득이 늘어서 일반형으로 바뀌어야 하면, 서민형 혜택을 계속 받고 싶으면 해지하고 새로 가입해야 해. 이때 연간 납입 한도를 다시 채워야 하니 신중하게 결정해야 해.
- 가장 좋은 방법: 처음부터 만기를 길게 잡으면 이런 고민을 덜 수 있어!
3.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ISA 가입 조건 체크!
- 가입 조건: 가입일 또는 만기 연장 신청일 기준으로 직전 3년 동안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아니어야 해.
- 3년 계산: 예를 들어 2024년에 가입한다면, 2021년, 2022년, 2023년에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가 된 적이 있는지 보는 거야.
- 소득 확정 시차: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자 여부는 2월에 확정되는데, ISA 가입은 4월 말에 확정되는 걸로 되어 있지만 실무적으로는 8월 말~9월에 이루어지기도 해.
- 애매할 때: 만약 2023년에 금융소득이 2천만 원을 넘을지 말지 애매하면, 일단 ISA 가입은 가능해. 나중에 2023년 소득이 확정돼서 종합과세 대상자가 되면 ISA 가입이 부적격 통보를 받을 수 있어.
- 부적격 통보 시: 잘못된 것 같으면 14일 이내에 이의 신청을 할 수 있어.
- 가입 부적격 판명 시: 더 이상 납입은 불가능하고, 계좌는 해지 절차를 밟게 돼. 이때까지 발생한 이익은 일반 과세로 처리돼.
4. ISA 연간 납입 한도, 언제부터 다시 채울 수 있을까?
- 연간 납입 한도 계산: 연도별로 계산돼.
- 예시: 2021년 12월 1일에 가입해서 2천만 원을 납입했다면, 2021년 납입 한도를 다 채운 거야. 2022년이 되면 다시 2천만 원을 납입할 수 있어. 짧은 기간 안에 4천만 원을 납입할 수도 있다는 거지!
5. ISA 제도 변경? 기존 가입자도 혜택 받을 수 있을까?
- 개정 추진 내용: ISA 연간 납입 한도를 2천만 원에서 4천만 원으로, 총 납입 한도를 1억 원에서 2억 원으로 늘리는 방안이 추진 중이야.
- 기존 가입자 혜택: 이 개정안은 기존 가입자에게도 소급 적용될 예정이야.
- 납입 한도 이월: ISA 납입 한도는 채우지 못한 만큼 다음 해로 이월되는데, 만약 개정안이 확정되면 3년 차 가입자라면 기존에 이월된 한도에 더해 개정된 한도까지 한꺼번에 납입할 수 있게 돼. 최대 1억 원까지도 가능할 수 있어! 다만, 정확한 내용은 가이드라인이 나와봐야 알 수 있어.
6. ISA로 장기 투자하면 뭐가 좋을까?
- ISA 장기 투자의 장점:
- 9.9% 저율 분리과세: 비과세 한도를 넘는 수익에 대해 일반 주식 계좌보다 훨씬 낮은 세율(15.4%보다 낮음)로 분리과세돼.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되지 않는 것도 큰 장점이야.
- 손익 통산: ISA 계좌 안에서 발생한 모든 이자 소득과 배당 소득을 합산해서 세금을 계산하기 때문에 유리해.
- 과세 이연: ISA 계좌 안에서는 수익이 발생해도 바로 세금을 떼지 않아. 만기 해지 전까지는 계속해서 이익을 재투자할 수 있어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
- 중도인출: 납입 원금 안에서는 중도인출이 자유로워. 다만, 중도인출하면 그만큼 납입 한도가 다시 채워지지 않으니 신중해야 해.
결론적으로 ISA는 장기 투자를 할 때 세금 혜택과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좋은 수단이야. 만기를 길게 잡고 꾸준히 투자하는 것이 중요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