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회복탄력성 측정법과 마음의 근력 키우기 비법 정리

원본 제목

[정신건강백과사전] 회복탄력성이란? l 회복탄력성은 어떻게 측정할까? l 회복탄력성의 발견

궁금하심 【궁금하心?】

조회수 조회수 8.4K 좋아요 좋아요 73 게시일 게시일

설명

#회복탄력성 #회복탄력성높이는방법 #KRQ53 [정신의학신문 : 최용원] ▼타임 라인▼ 00:00 인트로 00:24 회복탄력성이란? 00:32 우연하게 발견된 회복탄력성 01:08 회복탄력성의 발견 01:42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회복탄력성 검사, KRQ-53 01:51 KRQ-53의 해석 요소 02:06 KRQ-53 검사는 어떻게 할까? 02:20 아웃트로 사소하지만 궁금했던 정신과 관련 질문들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다음 영상의 주제로 여러분의 궁금증을 해결해드리겠습니다. 🍀 앞으로도 더 많은 선생님들의 더 흥미롭고 유익한 이야기로 찾아뵙겠습니다! 좋아요와 구독 부탁드려요 🍀 ✔ 최신 마음 건강 & 심리 뉴스 보러 가기 http://www.psychiatricnews.net​ BGM : 🎵Music provided by 브금대통령 🎵Track : 딴생각 - https://youtu.be/d-QQCKd33p0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바로 our 아 똑같이 힘든 상황 속에서 어떤 사람은 그 힘든 상황을 잘 견뎌내고 더 강해지는 사람이 있는 반면 어떤 사람은 그 힘든 상황을 이겨내지 못하고 그대로 무너지기도 합니다 왜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일까요 단순히 은 실하게 차이일까요 오늘은 그 이유를 회복탄력성 의 측면에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회복탄력성 이란 크고 작은 다양한 역경 시련과 실패에 대한 인식을 도약의 발판으로 삼아 더 높이 뛰어오르는 마음의 근력 을 말합니다 회복탄력성 은 1950년대 중반 하와이에 위치한 카우아이 섬에서 진행된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우연히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섬의 주민들은 지독한 가난 질병에 시달렸고 주민 대다수가 범죄자나 알콜중독자 혹은 정신질환자 였습니다 그래서 연구진들은 무엇이 이 공동체를 병들게 만드는 이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게 됩니다 1955년 이 섬의 태어난 모든 신생아 패배 칸투 3명이 결국 이 될 때까지를 관찰하여 가정 환경 사회 환경이 상당히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게 되죠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연구를 통해서 연구진들이 얻을 수 있는 결과는 없었습니다 무엇이 문제였는지 서 파악하지 못한 책 실험의 실패로 돌아간 것입니다 모든 사람들이 연구에서 소멸되고 관심을 갖지 않을 때 7 1 실험에 참여했던 의미 워너 라는 심리학자는 영국 이상자 중 가장 열악한 환경의 놓였던 201명 의 성장 과정에 대해 특이한 점을 발견하게 됩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문제와 성장했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약 3분의 1에 해당하는 72명 은 별다른 문제없이 3장 했을 뿐만 아니라 강한 자신감과 강 정점에 가진 훌륭한 젊은이를 성장하게 된 사람들도 더러 있었습니다 이후 추가적인 조사와 연구를 통해 이들에게는 삶에 어떠한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그것을 이겨낼 수 있는 공통된 속성 있음을 발견하고 그것을 회복탄력성 이라며 명하게 됩니다 [음악] 회복 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척도가 연구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0 1 to 13 이라는 회복탄력성 젓갈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kr p53 은 회복탄력성 지수 를 스스로의 감정과 충동을 잘 통제할 수 있는 자기 좀 해야 주변 사람과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는 대의 넘겨요 무정 다 정서를 유발하는 습관이 긍정성 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나누며 이런 각각 세 가지 하위 요소를 지녀 모두 9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kr 표 53 은 53 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척도 검사 항목에 대해서는 검색을 통해 쉽게 써 주실 수 있으니 본인의 회복탄력성 점수가 궁금하시다면 한번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회복탄력성 은 마음의 근육 입니다 한편 할 때부터 근육의 형태는 양이 정해져 있지만 운동과 교정을 통해 변할 수 있다 2 회복탄력성 역시 후천적인 연습과 노력을 통해 충분히 높일 수 있다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테스트 결과 점수가 다소 낮게 나오더라도 너무 낙심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회복 탄력성을 높이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고 또 추장 적일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에 기회가 되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악]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어떤 사람은 어려운 상황을 잘 견뎌내고 강해져요.

2. 반면, 어떤 사람은 무너지고 말죠.

3. 왜 이런 차이가 날까요?

4. 오늘은 회복탄력성으로 그 이유를 설명할게요.

5. 회복탄력성은 역경을 도약의 기회로 바꾸는 마음의 힘입니다.

6. 1950년대 하와이에서 우연히 발견된 개념이에요.

7. 그 당시 주민들은 가난과 질병, 범죄, 알코올 문제에 시달렸어요.

8. 연구진은 이들이 왜 병들었는지 조사했어요.

9. 하지만 연구는 실패로 끝났어요.

10. 이후, 영국의 워너라는 심리학자는 놀라운 발견을 했어요.

11. 201명 아이들을 연구했는데, 세 명 중 한 명은 문제없이 자랐어요.

12. 이 아이들은 자신감이 강하고 훌륭하게 성장했어요.

13. 추가 연구를 통해 이들의 공통점이 밝혀졌어요.

14. 바로 역경을 이겨내는 힘, 회복탄력성입니다.

15. 우리나라에서는 회복탄력성 지수로 0.1부터 13까지 사용돼요.

16. 이 지수는 감정과 충동 조절 능력을 보여줍니다.

17. 긍정적 사고와 정서 조절이 중요하죠.

18. 총 9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요.

19. 53개 문항으로 측정하며, 검색으로 자세히 알 수 있어요.

20. 회복탄력성은 마음의 근육 같아요.

21. 근육처럼 연습과 노력으로 키울 수 있어요.

22. 점수가 낮아도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23. 높이는 방법은 다양하고, 다음에 더 알려드릴게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