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요즘 위험한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들이 늘어날까?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인생의 목적과 의미를 알려주겠다고 합니다.
- 극단적 이데올로기는 완전한 논리 체계라고 주장합니다.
- 하지만 현실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고 말합니다.
- 과학도 세상에 대한 완전한 설명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이데올로기는 맹목적 믿음에서 시작된 것이 아니었습니다.
- 프랑스 귀족이 과학적 방법으로 믿음을 연구했어요.
- 이데올로기는 관찰과 추론의 과학으로 탄생했죠.
- 지지자들은 개인의 자유로운 사고를 중요시했습니다.
- 권위주의자들은 무지와 전통을 유지하려 했어요.
- 마르크스는 이데올로기가 인간 이성을 과신한다고 비판했습니다.
- 그는 사회 변화 없인 진정한 자유가 없다고 봤어요.
- 하지만 그의 생각은 계급 투쟁으로 왜곡됐어요.
- 이데올로기는 개인을 자유롭게 하는 게 아니게 됐어요.
- 각각의 이데올로기는 세상에 구원을 약속합니다.
- 왜 사람들은 이 약속을 믿을까요?
- 뇌는 미래를 예측하고 소통하려고 합니다.
- 뇌는 패턴을 감지하고 의미를 찾습니다.
-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연결을 원합니다.
- 인정받는 느낌이 뇌에 큰 보상입니다.
- 그래서 우리는 중요한 존재가 되려 합니다.
- 뇌는 미래 예측과 연결 욕구를 충족시킵니다.
- 종종 미신이나 이데올로기를 찾게 되는 이유입니다.
- 이데올로기는 세상을 흑백으로 보여줍니다.
- 모든 운명은 명확하다고 말하죠.
- 그래서 인생의 정답을 찾기 쉽습니다.
- 같은 정답표로 세상을 이해하고 공유합니다.
- 이데올로기는 서로를 인정하게 만듭니다.
- 하지만 그 내용이 중요한 건 아니에요.
- 뇌의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게 핵심입니다.
- 왜냐하면, 그게 뇌의 본능이기 때문이죠.
- 극단적 이데올로기는 경직된 사고를 만듭니다.
- 내부 모순을 무시하고 세상을 봅니다.
- 아이들은 인지적 경직성을 보입니다.
- 고정된 분류와 엄격한 관계를 선호합니다.
- 변화와 유연성을 받아들이기 힘들어요.
- 인지적 경직성은 극단적 믿음과 연결됩니다.
- 신성한 가치는 목숨을 바쳐서라도 지켜집니다.
- 버림받거나 위협받으면 강한 경직성이 생깁니다.
- 청소년기에 이데올로기는 특히 위험합니다.
- 존놈성을 회복하려는 욕구와 맞물리기 때문입니다.
- 이데올로기는 자신을 지키는 수단이 됩니다.
- 외부 위협이 클수록 경직성은 강해집니다.
- 과학도 인과론으로 이데올로기화될 위험이 있어요.
-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더 나은 환경 제공입니다.
- 아니면 무시하거나 배제할 수도 있습니다.
- 하지만 그럴수록 세상은 위험해집니다.
- 이데올로기는 결국 우리를 바라봅니다.
- 책 '이데올로기 브레인'은 이 현상을 설명합니다.
- 이데올로기는 뇌에서 생겨나고 영향을 줍니다.
- 마지막으로 실험에 참여하라는 초대가 있습니다.
- 규칙을 지키며 실험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언제든 그만둘 권리도 있음을 기억하세요.
- 자연스럽게 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 규칙과 강요는 사실 강제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