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좋은 생각했는데 왜 나쁜 일이 생기지?

서건남 - 서른에 건물산 남자

조회수 조회수 3.8K 좋아요 좋아요 203 게시일 게시일

설명

“좋은 감정을 보내면 좋은 일이 생긴다” 그런데 왜 나는 끌어당김을 해도, 때때로 안 좋은 일이 생기는 걸까? 카르마는 나를 벌주기 위한 개념일까? 끌어당김과 카르마, 이 모순처럼 보이는 두 원리를 오늘 하나로 꿰어봅니다 #카르마 #마음공부 #끌어당김 #차원상승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끌어당김의 법칙 상상의 현실을 만든다.

플러스는 플러스를 끌어당긴다.

카르마 세상은 결국 제로에 수렴한다.

플러스가 있으면 마이너스도 있다.

잠깐만.

내가 좋은 감정을 세상에 보내면 끌어당김으로 좋은 감정이 온다는 거야.

카르마의 균형으로 나쁜 감정이 온다는 거야.

이거 완전 모순 아닙니까? 네.

모순이 아닙니다.

저도 예전에 알면 알수록 카르마와 끌어당김이 너무 모순적이라고 느껴져서 혼자 정말 많이 찾아보고 사색도 많이 했었는데요.

카르마는 정말 중요하기도 하면서 헷갈리는 개념이기도 하고 만약 오늘 개념을 여러분들이 이해하신다면 제가 추구하는 단계적 끌어당김 라이프를 설득시킬 수 있을 것 같아서 준비해 봤습니다.

그리고 솔직히 딴 건 모르겠고 그냥 재밌잖아요.

아네 반갑습니다.

석건남입니다.

이전 영상에서 말씀드렸는데 세상은 카르마의 관점으로 항상 균형 즉 재료를 맞추려고 한다고 했었잖아요.

예전에 저도 그랬었고이 부분을 잘못 이해하시는 분들이 참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가령 이렇게죠.

기쁨이 있으면 슬픔도 있는 거지.

혹은 복과 화는 같이 오는 거야.

정말로 좋은 감정이나 긍정적인 현실은 반드시 그에 맞는 반작용이 와야 하는 걸까요?네 네, 당연히 아닙니다.

대부분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균형이라는 개념을 인간의 관점으로만 단순하게 받아들였기 때문인데요.

모든 것이 에너지로 이루어진이 우주라는 시험장에서 감독한 역할을 하는 우리 FM 카르마 여시님은요.

단순히 행동 하나만 보고 오케이, 너 몇 점 이렇게 평가하지 않아요.

감정, 의도, 에너지의 진동까지 다차원적으로 다 체크합니다.

그러니까 인간의 관점인 단지 1대 1 혹은 복과 화가 균형 맞춰서 돌아온다.

이건 카르마 여신님 입장에서는 계산이 전혀 안 맞는 거죠.

재밌죠? 결론은 카르마는 굉장히 입체적이고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요.

이걸 오늘 영상에서 다 파헤치려면 진도가 아예 안 나갑니다.

그래서 기회가 되면 카르마에 대해서는 따로 심중적으로 다뤄보도록 하고요.

오늘은 일단 균형이라는 개념에 대해 새로의 감각만 잡고 넘어가고 이제 본격적으로 카르마와 끌어당김이 실제로 어떤 성질인지이 두 가지를 어떻게 조화롭게 써 먹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두 가지 개념을 간단하게 짚고 넘어가 볼게요.

카르마는 과거의 잔상입니다.

내가 과거 혹은 전생에 어떤 감정, 행동, 의도를 세상에 보냈느냐에 따라 그 에너지가 시간차를 두고 현실로 되돌아오는 구조예요.

쉽게 말해 예전에 내가 뿌린 감정이 지금이 현실을 만든 원인일 수도 있다는 뜻이죠.

반면 끌어당김은 지금의 선택입니다.

내가 어떤 감정과 생각을 내보내느냐에 따라 앞으로 펼쳐질 현실이 정해진다는 원리예요.

이건 지난번 영상에서도 넷플릭스 리모컨 비유로 설명드렸죠.

그러니까 방향이 이렇게 되는 거죠.

카르마는 과거 출발 도착 예정지 미정.

끌어당긴 현실 출발 도착 예정지 미정.

사실 앞에서 길게 설명드렸던 이유는 이걸 하나를 이해시키기 위함이었습니다.

예, 집중해 주세요.

카르마는 바꿀 수 없는 과거의 세팅값이고 끌어당김은 지금 내가 조작할 수 있는 선택 버튼이다.

이게 전부예요.

너무 쉽죠? 게임으로 한번 더 비유해 보겠습니다.

카르마는 게임 시스템입니다.

이미 정해진 규칙, 인생의 난이도, 맵의 구조, 날씨 뭐 이런 것들이죠.

절대로 본인이 바꿀 수 없습니다.

주어진 세팅이에요.

반면 끌어당김은 조작법입니다.

내가 지금 어떤 키를 누르느냐, 어떤 방향으로 캐릭터를 움직이느냐에 따라 게임속 캐릭터의 삶이 완전히 달라지죠.

이해가 좀 되시나요? 자, 그럼 이걸 현실에서 조금 더 감각적으로 풀어 보겠습니다.

푹지는 7월 집이 너무 더워요.

이 더위는 내가 과거에 세팅한 현실 즉 카르마예요.

그리고 리모컨으로 에어컨을 켜는 행위.

이게 끌어당김인 거죠.

더 쉽게 말해서 더위는 카르마, 에어컨, 리모컨은 끌어당김이라는 거죠.

하지만 주의하실 점이 하나 있어요.

이걸 모르고 넘어가면 다시 나쁜 카르마를 쌓고 미래의 시스템을 고정된 방향으로 되돌릴 수도 있습니다.

이때는 뭐 어쩔 수 없이 모순이 아니라 진짜 충돌인 거죠.

그래서 다음 영상에서는 시원한 바람에 집착하는 순간 냉방병이 시작된다라는 주제로 이야기해 보려 합니다.

오늘 내용만 확실히 이해하셔도 이미 다 아시는 여러분들께서는 카르마와 끌어당김 사용법에 대해서 어느 정도 감을 잡았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첫 영상을 올린 후에 너무 재밌어서 본이 아니게 1일 1 영상을 이어고 있는데요.

첫 유튜브 데뷔데도 불구하고 많은 분들이 좋아해 주셔서 정말 성이 만극합니다.

어제는 미드조니 공부에 살짝 빠져 있어서 영상을 못 올렸지만 더 좋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성장통이라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고요.

앞으로 유튜브판 어디에도 없는 마음 공부에 대한 저만의 해석으로 진짜 인사이트를 나누고 싶습니다.

저를 믿고이 서툰 여정에 발을 맞춰 동참해 주신 96명의 구독자 여러분들 진심으로 감사드리고요.

혹시 제가 저평가주라고 생각드시는 분들은 지금 구독하여 삐겨 주시면 제가 평생 기억할 수 있을 듯합니다.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끌어당김의 법칙은 상상의 현실을 만든다.

2. 플러스는 플러스를 끌어당기고, 마이너스도 있다.

3. 좋은 감정을 보내면 좋은 일이 온다.

4. 나쁜 감정도 균형을 이루려 한다는 모순이 있다.

5. 카르마와 끌어당김은 서로 다르게 작용한다.

6. 카르마는 과거의 행동과 감정의 잔상이다.

7. 끌어당김은 지금의 선택과 생각이다.

8. 카르마는 바꿀 수 없고, 끌어당김은 조작 가능하다.

9. 카르마는 정해진 시스템, 끌어당김은 조작법이다.

10. 예를 들어, 더위는 카르마, 에어컨은 끌어당김이다.

11. 잘못 이해하면 나쁜 카르마를 쌓을 수 있다.

12. 앞으로는 냉방병과 관련된 이야기를 할 예정이다.

13. 이해하면 카르마와 끌어당김을 잘 활용할 수 있다.

14. 유튜브 시작 후 많은 분들이 좋아해 주셔서 감사하다.

15. 앞으로도 마음 공부와 인사이트를 나누고 싶다.

16. 구독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