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선/자본회귀/절벽/막달/마중물 효과 (2022 02 17 14 46 05)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경제 효과 쉽게 알려줄게!
요즘 몸이 좀 안 좋아서 강의가 늦어졌어. 감기 기운도 있고, 피곤해서 제대로 회복이 안 됐거든. 그래서 오늘은 본격적인 강의 대신, 우리가 자주 듣는 경제 효과 몇 가지를 쉽게 설명해 줄게.
1. 풍선 효과 🎈
풍선 효과는 말 그대로 풍선을 누르면 다른 쪽이 튀어나오는 것처럼, 어떤 정책으로 한쪽을 막으면 다른 쪽이 더 부풀어 오르는 현상이야.
- 언제 발생할까? 풍선 입구가 잘 막혀 있을 때! 즉, 규제가 나왔을 때 돈이 빠져나갈 곳이 없으면 다른 곳으로 몰리는 거지.
- 언제 발생 안 할까? 풍선 입구가 열려 있을 때! 돈이 쉽게 빠져나가면 풍선 효과는 없어.
- 예시: 부동산 규제로 특정 지역에 집을 못 사게 하면, 돈이 다른 지역으로 몰려서 그 지역 집값이 오르는 거야.
2. 자본 회귀 효과 🔄
자본 회귀 효과는 돈이 원래 있던 곳으로 돌아가는 현상이야.
- 예시: 2017년 부동산 대책 때, 수도권 규제가 심해지니까 돈이 인천 빌라 같은 곳으로 몰렸다가, 다시 수도권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나타났어. 규제가 심한 곳에서 돈이 빠져나갈 곳을 찾다가, 오히려 돈이 원래 있던 곳으로 다시 돌아가는 거지.
3. 절벽 효과 📉
절벽 효과는 어떤 정책이 특정 시점까지만 적용될 때, 그 시점이 다가오면 사람들이 행동을 멈추거나, 시점이 지나면 갑자기 행동이 줄어드는 현상이야.
- 예시: 취득세 감면 혜택이 12월 말까지라고 하면, 사람들은 12월 말까지 집을 사려고 몰리다가, 1월부터는 갑자기 집 사는 사람이 줄어드는 거지.
4. 막달 효과 🏃♀️
막달 효과는 절벽 효과와 비슷하지만, 특정 시점까지 혜택이 있을 때, 그 시점이 다가오기 전에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이야.
- 예시: 임대사업자 규제가 발표되기 전에, 사람들이 임대사업자 등록을 하려고 몰려서 집값이 오히려 올랐던 적이 있어. 규제가 시행되기 전에 혜택을 받으려고 서두르는 거지.
5. 마중물 효과 💧
마중물 효과는 시장이 하락하거나 상승할 때,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거나 추세를 더 강하게 만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거야.
- 예시: 시장이 하락할 때, 정부가 규제를 완화해서 돈이 시장으로 흘러 들어오게 하면, 하락세를 멈추고 상승세로 전환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어. 마치 물을 붓기 전에 마중물을 붓는 것처럼 말이야.
이런 효과들은 시장 상황이나 정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 중요한 건 이런 효과들이 있다는 걸 알고 시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