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가 미국 자산을 매도하는 이유와 레이 달리오의 경고! 진짜 위기 분석
레이 달리오가 말하는 미국 경제와 투자 전략
올해 주식 시장에서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미국 자산에 대한 의구심이야. "미국 괜찮아, 미국 주식 괜찮아, 미국 채권 괜찮아"라고 말하지만, 이런 우려를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적극적으로 이야기한 사람이 바로 레이 달리오야. 그래서 오늘은 레이 달리오가 왜 미국에 대해 걱정하는지, 그리고 투자자로서 어떻게 해야 할지 쉽게 알아보자.
왜 미국 자산에 대한 의구심이 생겼을까?
레이 달리오에 따르면, 미국 자산에 대한 의구심은 갑자기 생긴 게 아니라, 오래전부터 쌓여온 근본적인 문제 때문이야.
- 정부 부채 증가: 미국 정부의 빚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어. 특히 제로 금리 시대 이후로 이 빚이 폭발적으로 늘어났지.
- 재정 적자 및 무역 적자 (쌍둥이 적자): 미국은 정부 지출이 수입보다 많은 재정 적자와 수출보다 수입이 많은 무역 적자를 동시에 겪고 있어. 이건 수십 년 된 문제야.
이런 문제들은 단순히 경기가 안 좋았다가 좋아지는 단기적인 경기 순환이 아니라, 아주 긴 역사의 흐름 속에서 나타나는 패턴이라고 해. 마치 우리가 태어나고, 늙고, 죽는 것처럼, 국가도 흥하고 망하는 큰 사이클이 있다는 거지.
레이 달리오가 말하는 '거대한 사이클'
레이 달리오는 세계 질서가 패권국의 흥망성쇠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봐. 그리고 패권국의 국력이 변하는 데에는 다섯 가지 요인이 있다고 주장해.
- 경제적 요인 (부채): 빚이 늘어나면서 경제가 어려워지는 거야. 중앙은행이 위기를 막기 위해 계속 돈을 풀다 보면 결국 감당할 수 없는 상황이 오게 돼. 레이 달리오는 지금 미국이 이 '죽음의 소용돌이'에 거의 다 왔다고 보고 있어.
- 국내 갈등: 사회 내부의 갈등이 심해지는 거야. 경제 불평등이 심해지면 사람들의 생각도 극단으로 나뉘고, 결국 정치와 법치가 무너지고 폭력이 지배하게 될 수 있어. 심해지면 강력한 지도자를 원하는 독재로 이어질 수도 있지.
- 국제 갈등: 패권국과 그에 도전하는 국가들 사이의 갈등이야. 과거에는 힘의 논리(일방주의)가 지배하다가 전쟁이 일어나고, 지친 인류가 협력(다자주의)을 추구하는 사이클이 반복되었어. 지금은 다시 일방주의로 돌아가고 있다고 봐.
- 자연재해: 전쟁보다 더 많은 국가를 무너뜨렸다고 해.
- 기술 발전: 장기적으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다고 해.
레이 달리오가 가장 걱정하는 건, 이 다섯 가지 요인 중에서 경제적 요인, 국내 갈등, 국제 갈등 이 세 가지가 모두 변곡점에 이르렀다는 거야. 과거에도 이런 징후들이 나타났을 때 국가가 쇠퇴했었는데, 지금 미국에서 그런 징후들이 보인다는 거지.
트럼프의 정책은 해결책이 될 수 있을까?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고 미국 제조업을 살리려는 정책은 미국의 패권을 유지하려는 시도라고 봐. 하지만 레이 달리오 생각은 달라.
- 제조업 부흥의 어려움: 미국 성인들의 문해력 수준이 낮아서 생산성 있는 제조업을 하기가 어렵다고 지적해. 중국처럼 뛰어난 생산 기술을 가진 나라와 경쟁하기 어렵다는 거지.
그렇다면 진짜 해결책은 뭘까? 레이 달리오는 두 가지를 제시해.
- 부채 문제 해결 (재정 건전성 확보):
- 실질 금리를 마이너스로 낮추고
- 세금을 올리고
- 정부 지출을 줄이는 긴축을 해야 한다고 말해.
- 노동력 질 향상 (공교육 정상화):
- 교육에 엄청난 투자를 해서 노동력의 질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해.
투자자로서 어떻게 해야 할까?
레이 달리오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투자 전략을 생각해 볼 수 있어.
-
각자도생의 시대, 분산 투자:
- 세계 질서가 변하면서 각 나라의 경제 상황이 달라질 거야. 어떤 나라는 물가 상승, 어떤 나라는 경기 침체를 겪을 수 있지.
- 이 때문에 환율 변동도 커지고, 자산 시장도 국가별로 다르게 움직일 수 있어.
- 레이 달리오처럼 미국이나 중국보다는 중립적인 신흥국이 좋을 수 있다고 보지만, 신흥국 안에서도 양극화가 심해질 수 있으니 국가별로 더 세세하게 봐야 해.
- 결론적으로, 미국 주식에만 몰빵하지 말고, 다양한 국가와 자산에 분산 투자해서 비중을 조절하는 게 중요해.
-
금리 인하 가능성:
- 미국이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리를 내려야 한다는 명분이 생길 수 있어. 물가가 오르더라도 말이야.
- 트럼프가 연준 의장을 바꾸려고 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볼 수 있지. 새로운 연준 의장이 금리 인하를 단행할 수도 있어.
-
미국 자산의 리스크 프리미엄:
- 미국 자산의 위험도가 높아지면, 투자자들은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하게 돼.
- 이는 곧 미국 주가가 재조정될 수 있다는 의미야. 즉, 미국 주식의 기대 수익률이 높아지려면 주가가 빠져야 할 수도 있다는 거지.
가장 중요한 건, 레이 달리오의 예측이 맞을 수도 있고 틀릴 수도 있다는 점이야. 역사의 변곡점을 정확히 맞추는 건 정말 어렵거든. 중요한 건 시장의 가격 반응을 보고, 자신의 투자 기간에 맞게 전략을 세우는 것이야. 레이 달리오의 이야기가 시장의 가격 반응과 비슷하게 흘러간다면, 그 관점에서 투자를 고려해 볼 수 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