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 막는 천박한 말과 행동, 우학스님 생활법문 1편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복 나가는 행동과 말, 조심하자!
우리가 하는 말과 행동은 복을 부르기도 하고, 복을 달아나게 하기도 해. 그래서 항상 조심해야 하는 거야. 마치 씨앗을 뿌리면 그 씨앗에 맞는 열매가 열리는 것처럼, 우리가 하는 행동 하나하나가 우리에게 돌아오는 결과가 되는 거지. 이걸 '인과응보'라고 하는데, 정말 중요한 말이야.
오늘은 복이 달아나는, 즉 '복 나가는' 행동과 말 13가지를 세상의 관점에서, 그리고 부처님 경전의 관점에서 이야기해 줄게.
세상에서 말하는 복 나가는 행동 13가지
- 자주 한숨 쉬기: 너무 자주 한숨을 쉬면 복이 달아나. 의식적으로라도 한숨 쉬는 걸 줄여보자.
- 다리 떨기: 다리를 떨면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는 말은 헛소리야. 다리를 떨면 복이 달아나. 옛날 이야기 하나 해줄게. 관상쟁이가 엄청 부자 관상을 가진 사람이 초라한 집에 사는 걸 보고 이유를 궁금해했어. 알고 보니 그 사람이 자면서 다리를 심하게 떨고 있었던 거야. 관상쟁이가 그 다리를 쇠뭉치로 내리치자, 몇 년 뒤 그 사람은 엄청난 부자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어. 다리 떠는 습관, 고치자!
- 평소에 인상 쓰기: 웃지 못할지언정, 평소 대화할 때 인상을 쓰면 복이 달아나.
- 밥을 맛없게 억지로 먹기: 먹는 것에도 정성을 다해야 해. 맛없게 억지로 먹으면 복이 달아나.
- 밥상 숟가락으로 치기: 밥 먹을 때 숟가락으로 밥상을 툭툭 치는 행동, 복 나가는 행동이야.
- 선행하는 사람 험담하기: 좋은 일 하는 사람을 시기하거나 험담하면 복이 달아나.
- 아무 데서나 코, 귀 파기: 장소 가리지 않고 코나 귀를 파는 행동은 복 나가는 행동이야.
- 음식물 흘리면서 먹기: 밥 먹을 때 음식을 질질 흘리면 복이 달아나.
- 음식물 지저분하게 남기기: 음식을 먹고 지저분하게 남기면 복이 되지 않아. 깔끔하게 먹고 남기자.
- 고개만 돌려 자꾸 뒤돌아보기: 길 가다가 고개만 돌려 자꾸 뒤를 돌아보면 복이 달아나. 돌아볼 때는 온몸을 돌려서 보자.
- 부정적인 말 많이 하기: 부정적인 말을 많이 하면 부정적인 일이 찾아오고, 좋은 복은 달아나.
- 어른 앞에서 말대꾸하고 딴짓하기: 어른 앞에서 말대꾸하거나 딴짓하는 행동은 복 나가는 행동이야.
- 곁눈질로 흘겨보기: 곁눈질로 흘겨보는 사람은 잘 사는 사람을 본 적이 없어.
경전에서 말하는 복 나가는 행동 11가지
부처님 경전에서도 복이 달아나는 행동들을 이야기하고 있어.
- 곤충이나 미물 함부로 죽이기: 습관적으로 개미나 벌레를 함부로 죽이면 복이 달아나.
- 불쌍한 사람 비웃기: 불쌍하거나 어려운 사람을 보고 비웃거나 빈정대면 복이 달아나.
- 촛불이나 등불 함부로 끄기: 촛불이나 등불을 일부러 끄는 행동은 복 나가는 행동이야.
- 절이나 도량에서 침 뱉기: 절이나 깨끗한 곳에 침이나 가래를 뱉는 행동은 복 나가는 행동이야.
- 경전 소리 빈정대기: 경전 소리를 듣고 개 짖는 소리 같다거나 하는 식으로 빈정대면 복이 달아나.
- 절하는 사람 흉보기: 부처님 앞에서 절하는 사람을 보고 뚱뚱하다거나 못생겼다며 흉을 보면 복이 달아나.
- 경전이나 불상 발로 차기: 경전이나 불상을 발로 차거나 넘으면 복이 달아나.
- 스님 흉보기: 스님들의 용모나 행동을 흉보거나 뒷말을 하면 복이 달아나.
- 공양하면서 불평하기: 절에 와서 공양을 하면서 맛이 어떻다느니, 양이 어떻다느니 불평하면 복이 달아나.
- 부처님 모습 흉보기: 부처님 상호를 보고 못생겼다거나 시원찮다고 말하면 복이 달아나.
- 절에서 소란 피우기: 절에 와서 소란을 피우거나 스님들과 시비를 걸면 복이 달아나는 정도가 아니라 수명이 단축될 수도 있어.
우리가 하는 말과 행동 하나하나가 우리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것을 잊지 말고, 복 나가는 행동과 말은 조심하며 살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