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만성통증, 우울 모두 해결한다! 노화를 늦추는 최고의 습관! 기독교, 불교, 힌두교에서 공통으로 가르치는 이 방법은? [안될과학 인터뷰 연세대학교 김주환 교수 편]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힘든 걸 참고하는 건 명상이 아니에요. 명상은 편하려고 하는 거예요.
- 명상은 인내심 훈련이 아니고, 행복과 건강을 위한 거예요.
- 연세대 김주환 교수님은 뇌과학으로 명상 연구를 하고 있어요.
- 어릴 때부터 명상과 불교책에 관심이 많았다고 하셨어요.
- 교수님은 명상 효과를 과학적으로 연구하며 책도 냈어요.
- 명상의 핵심은 알아차림, 즉 현재를 인지하는 거예요.
- 눈 감고 하는 명상보다 활동적이고 다양한 방법이 있어요.
- 멍때리기 대회는 명상의 한 종류가 아니라고 하셨어요.
- 내면 소통은 자기와 대화하는 과정, 모든 소통의 기본이에요.
- 내면 소통 없이는 진짜 대화도 불가능하다고 하셨어요.
- 글 읽기, 쓰기, 영화 보기 모두 내면 소통이에요.
- 마음의 근력은 근육처럼 훈련으로 늘릴 수 있어요.
- 마음 근력은 자기 조절력, 대인 관계력, 자기 동기력으로 구성돼요.
- 감정과 몸은 분리되지 않고, 몸이 감정을 만들어내기도 해요.
- 감정은 몸의 신호를 뇌가 해석하는 과정에서 생겨나요.
- 몸을 다스리면 감정을 조절할 수 있어요.
- 몸과 마음은 하나이며, 몸의 문제는 감정 문제와 연결돼 있어요.
- 몸과 마음이 연결된 과학적 근거를 설명해 주셨어요.
- 스트레스 반응은 편도체 활성화로 시작돼요.
- 위기 시 근육에 에너지를 몰아주는 게 편도체 역할이에요.
- 현대인은 만성 스트레스로 인해 편도체가 계속 활성화돼요.
- 수능 시험 같은 스트레스는 전전두피질 기능을 떨어뜨려요.
- 몸을 다스리면 스트레스와 두려움을 줄일 수 있어요.
- 편도체를 안정시키는 훈련이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 호흡을 느끼고 몸을 이완하는 연습이 도움이 돼요.
- 용서와 사랑, 감사, 존중은 뇌과학적으로도 좋아요.
- 용서는 건강에 매우 좋은 효과를 가져와요.
- 인정 중독은 타인 인정을 지나치게 갈망하는 거예요.
- 자기 존중감이 낮으면 인정 중독에 빠지기 쉬워요.
- 긍정적 태도와 용서, 감사로 인정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어요.
- 만성통증은 몸의 이상이 아니라 뇌의 추론 시스템 문제예요.
- 내부 감각, 즉 몸의 신호를 무시하는 게 문제예요.
- 만성통증은 신체 이상이 아닌, 뇌의 과잉 해석에서 온 거예요.
- 몸의 내부 감각은 뇌가 무시하거나 과잉 반응할 수 있어요.
- 명상은 몸의 감각을 알아차리고 인식하는 연습이에요.
- 습관이 되기 어려워서 명상은 훈련이 필요해요.
- 편안하게 하는 게 명상의 목표이고, 인내심이 필요 없어요.
- 명상은 존재하는 것, 지금 여기로 돌아오는 것과 같아요.
- 하루 5분이라도 명상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하셨어요.
- 우리나라 아이들도 명상으로 사회적 문제 해결 가능하다고 믿어요.
- 운동처럼 명상도 일상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아야 해요.
- 과학적 방법으로 명상 효과를 검증하는 게 중요해요.
- 명상은 단계가 아니고,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어요.
- 명상은 존재하는 것, 알아차림이 핵심이고 어렵지 않아요.
- 편안하고 기분 좋은 상태에서 하는 게 제일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