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부격차의 진실! 서울대 김태유 교수가 밝히는 충격적 이유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산업 혁명과 일자리, 그리고 네덜란드의 비밀
1. 잘 사는 나라에서 태어나는 게 최고!
- 잘 사는 나라에서 태어나면 굶어 죽을 일은 없다. 미국이나 노르웨이처럼 잘 사는 나라에서 태어나는 게 인생에서 가장 쉬운 성공 방법이야.
- 나라가 잘 살면 나도 덩달아 좋아진다. 내가 특별히 뭘 하지 않아도 나라가 잘 살면 혜택을 받는 거지.
2. 산업 혁명, 일자리가 사라질까?
- 산업 혁명 때문에 일자리가 없어질까 봐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아. 기계나 인공지능이 사람 대신 일하니까 말이야.
- 과거에도 이런 걱정은 있었다. 1차 산업 혁명 때 영국에서 기계를 부수는 '러다이트 운동'이 있었지. 일자리를 잃을까 봐 걱정했던 거야.
- 하지만 결과는 달랐다. 산업 혁명 덕분에 힘들고 위험한 일자리는 줄고, 쾌적하고 좋은 일자리가 많이 생겼어. 영국 노동자들의 실질 임금도 두 배나 올랐지.
- 미래에도 일자리는 더 많이 생길 거야. 2016년에는 일자리가 줄어든다고 했지만, 최근에는 오히려 더 많이 생긴다고 예측하고 있어.
- 왜냐하면 새로운 기술이 새로운 직업을 만들기 때문이야. 마차가 자동차로 바뀌면서 마부는 사라졌지만, 정비공, 부품 조립공 같은 새로운 직업이 생겼잖아.
- 미래에는 인간의 삶을 상품화하는 시대가 올 거야. 건강, 심리, 취미까지 관리해 주는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더 많은 직업이 생길 거라고 예상돼.
3. 빈부 격차, 좋은 걸까 나쁜 걸까?
- 빈부 격차는 나쁜 거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런 건 아니야. 빈부 격차가 있어야 사람들이 열심히 일할 동기가 생기거든.
- 예를 들어, 모든 학생에게 A 학점을 주면 누가 열심히 공부하겠어? 적절한 경쟁이 있어야 발전하는 것처럼 말이야.
- 능력 있는 사람이 더 많이 벌고, 그 돈으로 사회 전체가 발전하는 게 중요해. 물론, 그 과정에서 피해를 보는 사람들을 돕는 정치와 제도가 필요하지.
4. 네덜란드의 비밀: 자산 소득
- 네덜란드 사람들은 왜 잘 살게 되었을까? 바로 '자산 소득' 덕분이야.
- 자산 소득은 주식 투자 같은 걸로 버는 돈이야. 네덜란드 사람들은 동인도 회사라는 세계 최초의 주식회사에 투자해서 자산 소득을 얻었지.
- 근로 소득과 자산 소득을 함께 가지는 것이 중요해. 그래야 힘들 때나 노후에 대비할 수 있고, 더 행복한 사회를 만들 수 있어.
- 자본주의의 시작은 네덜란드에서부터라고 할 수 있어. 주식회사라는 제도가 '자본'을 만들어냈고, 이게 인류 문명을 크게 발전시켰지.
5. 불로소득, 정말 나쁜 걸까?
- 불로소득은 노력 없이 버는 돈인데, 이게 사회를 망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어.
- 하지만 땅값이 오르는 것처럼, 노력 없이 돈을 버는 경우도 있지만, 그게 꼭 나쁜 건 아닐 수도 있어. 예를 들어, 땅을 개발해서 가치를 올리는 건 노력의 대가라고 볼 수 있지.
- 중요한 건 어떤 종류의 소득이 사회 발전에 더 도움이 되느냐는 거야. 기업 활동, 근로, 투자를 통해 얻는 소득은 사회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시세 차익 같은 불로소득은 그렇지 않을 수도 있어.
- 결국, 사회 발전을 위해 어떤 제도를 만들고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는 거지.
결론적으로, 산업 혁명은 일자리를 없애는 게 아니라 변화시키고, 빈부 격차는 적절히 관리하면 사회 발전을 위한 동력이 될 수 있어. 그리고 네덜란드의 사례처럼 자산 소득을 통해 더 많은 사람이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중요해.